최선호의 문학서재






오늘:
3
어제:
3
전체:
281,128

이달의 작가

산문 5월 5일

2016.12.13 05:21

최선호 조회 수:4

 

 

5월 5일

 

 

 

  올해에도 어김없이 푸른 5월이 다가온다. 5월의 푸른 문턱에 들어서자마자 어린이날을 만나게 된다. 어린이들의 즐거움을 한층 북돋아 주는 한편, 어른들은 어렸을 때를 회상하며 다시 한번 인생을 생각하게 된다. 분명, 어린이날인데도 어린이에게만 국한된 날이 아니고 어른들에게도 많은 의미를 부여하는 날이기도 하다. 어린이의 인격을 존중하고 어린이의 행복을 도모하는 뜻에서 정해진 날이기에 더욱 그렇다.

 

  이 날의 기본정신은 제네바선언, 국제연합아동헌장의 구성에 따른 아동복지사상으로써 대한민국에서는 1957년 5월 5일, 어린이헌장 선포에 의하여 정해진 날이다. 이 날은 아동복지사상의 보급과 일반 아동생활 향상을 위한 계몽선전, 어린이를 위한 다채로운 행사 등이 열린다.

 

  어쨌든, 이 날을 맞는 우리로서는, 특히 어른들로서는 아동들의 복지증진을 위하여 국가, 사회, 가정이 마땅히 책임지고 이행해야 할 기본적인 요건이 무엇인지 깊이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그 기본정신은 바로 어린이헌장에서 찾을 수 있다. 대한민국 어린이헌장을 그대로 음미해 보는 것도 좋을 성싶다.

 

  어린이는 나라와 겨레의 앞날을 이어나갈 새 사람이므로 그들의 몸과 마음을 귀히 여겨 옳고 아름답고 씩씩하게 자라도록 힘써야 한다.

  (1) 어린이는 인간으로서 존중되어야 하며 사회의 한 사람으로 올바르게 키워야 한다.
  (2) 어린이는 튼튼하게 낳아 가정과 사회에서 참된 애정으로 교육하여야 한다.
  (3) 어린이에게는 마음껏 놀고 공부할 수 있는 시설과 환경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4) 어린이는 공부와 일이 몸과 마음에 짐이 되지 않아야 한다.
  (5) 어린이는 위험한 때에 맨 먼저 구출하여야 한다.
  (6) 어린이는 어떠한 경우라도 악용의 대상이 되어서는 아니 된다.
  (7) 굶주린 어린이는 먹여야 한다. 병든 어린이는 치료해 주어야 하고, 신체와 정신에 결함이 있는 어린이는 도와주어야 한다. 불량아는 교화하여야 하고 고아와 불량아는 구호하여야 한다.
  (8) 어린이는 자연과 예술을 사랑하고 과학을 탐구하며 도의를 존중하도록 이끌어야 한다.
  (9) 어린이는 좋은 국민으로서 인류의 자유와 평화와 문화발전에 공헌할 수 있도록 키워야 한다. 등이다.  (1996. 4. 1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5 시편 99편 최선호 2016.12.03 166
74 눈물 속에는 미소가 있다- 방동섭 시집 [1] paulchoi 2017.07.04 168
73 시편 4편 최선호 2016.12.04 170
72 <평론>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자아의식-최선호 최선호 2016.12.08 170
71 축사: 정지윤 시사집 발간 - 최선호 최선호 2016.12.08 171
70 <평론> 현대시에 나타난 기독정신 - 최선호 최선호 2016.12.09 174
69 수잔 브링크의 눈물 최선호 2016.12.13 176
68 <평론> 조옥동 시인의 시세계 "인생과 자연의 파수꾼" - 최선호 최선호 2016.12.09 178
67 연인들의 찬가 최선호 2016.12.06 179
66 <서평> 유지애 에세이 “밑줄 긋는 여자”의 매력 - 최선호 최선호 2016.12.09 184
65 <시평> 이필주 시집 “이 밤이 지나면” - 최선호 최선호 2016.12.09 185
64 시편 87편 최선호 2016.12.03 192
63 <나의 생각> “아리랑은 우리 겨레의 신앙민요”일 것 - 최선호 최선호 2016.12.10 194
62 <표지> 시편정해 최선호 최선호 2016.12.11 195
61 감사와 찬양으로 물든 은혜의 시인 이인미- 최선호 최선호 2016.12.08 197
60 시편 13편 최선호 2016.12.04 198
59 옷자락 [4] paulchoi 2017.12.07 198
58 김주경 시인론-제2시집을 읽고 - 최선호 최선호 2016.12.09 201
57 (촌평) 곽상희 시집 “고통이여 너를 안는다”를 읽고 - 최선호 최선호 2016.12.09 203
56 시인과 문학-목회와 시 사이-조옥동 시인, 문학평론가 [4] paulchoi 2017.02.20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