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48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신춘문예

 

 

외로움 맑게 피려 찬바람 붙든 눈꽃 

새들의 목멘 가락 흰 햇살 품고 산다

속으로 내일 키우며 찬란히 핀 그리움

 

소복이 눈이 내려 핀 꽃이 아닌 거야

언 가지 시릴수록 거듭나 빛나잖아

겪어본 사람은 알아, 눈꽃 가지 꽃눈을

 



?
  • ?
    Chuck 2017.01.25 10:32

    나 홀로 웃는 것(獨笑) - 茶山丁若鏞

    조선 정조시대 실학자 정약용(1762~1836) 선생께서 

    1804년 유배지 강경에서 쓰셨다는 시조 '독소(獨笑)'입니다.  
      250여 년 전의 사회풍자 내용이지만 
    지금의 세태(世態) 는 것 같군요. ( 펌 )
     
     나 홀로 웃는 것(獨笑) 茶山丁若鏞 
    1601C9194C043AC04B7126

    有粟無人食
     (유속무인식 
    양식 많은 집은 자식이 귀하고
     

    多男必患飢
     (다남필환기)   
    아들 많은 집엔 굶주림이 있으며,
     

    達官必準
     (달관필준우)   
    높은 벼슬아치는 꼭 멍청하고
     

    才者無所施
     (재자무소시 
    재주 있는 인재는 재주 펼 길 없다.


     


    47aac8f1677d4&filename=6.jpg
     
     
    家室少完福 (가실소완복)   
    완전한 복을 갖춘 집 드물고,
     

    至道常陵遲
     (지도상릉지 
    지극한 도는 늘상 쇠퇴하기 마련이며,
     

    翁嗇子每蕩
     (옹색자매탕 
    아비가 절약하면 아들은 방탕하고,
     

    婦慧郞必癡
     (부혜랑필치 
    아내가 지혜로우면 남편은 바보이다.
     
     
    2794159132_f20a269089.jpg 
      
     
    月滿頻値雲 (월만빈치운)   
    보름달 뜨면 구름 자주 끼고
     

    花開風誤之
     (화개풍오지 
    꽃이 활짝 피면 바람이 불어대지.
     

    物物盡如此
     (물물진여차)   
    세상일이란 모두 이런 거야.
     

    獨笑無人知
     (독소무인지 
    나 홀로 웃는 까닭 아는 이 없을

    "https://www.youtube.com/embed/tH-FSCrvFFc" 
  • ?
    동아줄 김태수 2017.01.27 03:53
    이루고 못 이루고를 뛰어넘어 거기까지 자신이 다달하고 웃을 수 있는 여유!
    과정(노력)은 자신의 일이나 결과(성공)는 하늘의 뜻이라 여기는 마음이겠지요.
    신춘문예는 하나의 목표로 문학의 꽃을 피우는 일인데 지난한 과정을 겪어야만 피울 수 있는 봄의 꽃눈이기도 하고요. 지금은 눈꽃이지만 꽃눈의 자리이기도 하다는...
  • ?
    Chuck 2017.01.27 04:39
                梅 花 

                                           

    480380477879d&filename=%EC%84%A4%EC%A4%9


    매화 향기로운 밤 달은 방금 돋았는데    梅香良夜月方登


    4803804871590&filename=%EC%84%A4%EC%A4%9

    비단 옷 입은 여인 빈 방에 홀로 있어     錦衣幽人在空室


    48038047d24d2&filename=%EC%84%A4%EC%A4%9

    흰 이슬 달빛 창에 수정 발 드리웠네.     白露月窓水晶簾 

    4803804826697&filename=%EC%84%A4%EC%A4%9

    초생달 눈섶 아래 호수같이 맑은 눈       曲眉之下淸眼湖


    4803804871590&filename=%EC%84%A4%EC%A4%9

    그대는 이 분이 누구신지 아시겠는가     公知此位是誰呀


    48038048c1e5c&filename=%EC%84%A4%EC%A4%9

    50년 전 매화가 부끄러워한 분이네.  五十年前梅花恥  


    이詩에서 꽃하나를 보아도 지나치지않는

    옛 우리 선인들의 운치가 엿보이네요


    "https://www.youtube.com/embed/YHZaxk3lawk"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소설 김태수 약력 동아줄 김태수 2016.11.11 612
109 Salmon caught by fishing pole 동아줄 김태수 2012.02.14 507
108 행시 발가락 양말 동아줄 2012.04.18 507
107 라면 김태수 2011.12.05 500
106 시조 지구의 감기 몸살 동아줄 2012.10.18 494
105 나이테 김태수 2011.12.05 486
104 자작나무 서 있는 도심 냇가[미주문학 12년 여름호] 동아줄 2012.07.24 480
103 춘정 동아줄 2012.05.15 475
102 부정 동아줄 2012.04.07 463
101 시조 샘터 시조 2016, 2월호/문학바라기, 겨우 살이 동아줄 김태수 2016.02.22 459
100 수필 C형과 삼시 세판[재미수필 13년 15집, 맑은누리 14년 여름호] 동아줄 2014.03.14 459
99 가사 지구의 감기 몸살 [제14회 전국 가사. 시조 창작 공모전, 가사 장려상] 동아줄 김태수 2013.11.01 457
98 새봄이다 동아줄 2012.04.25 456
97 콩나물 동아줄 2012.05.31 451
96 수필 해외 봉사활동이 꿈[제2회 8만시간디자인공모전 최우수상] 동아줄 김태수 2013.10.25 442
95 수필 어머니와 매운 고추[2014 재미수필] 동아줄 2014.12.04 431
94 시작 연습[나성문학, 12년 창간호] 동아줄 2011.12.05 424
93 행시 너와 내가 동아줄 2013.04.27 416
92 시조 행시 폭풍은 지나가고[퓨전수필 12년 겨울호] 동아줄 2012.12.17 413
91 행시 제일회 재미수필 에세이 데이[퓨전수필 13년 겨울호] 동아줄 김태수 2013.12.01 407
90 달님에게 하는 사랑고백[맑은누리 14년 여름호] 동아줄 2014.06.23 40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14
어제:
26
전체:
1,168,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