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영의 시 '돈' 감상

2017.05.05 00:56

정국희 조회 수:277


 

 

 

 

나에게 30원이 여유가 생겼다는 것이 대견하다.

 

나도 돈을 만질 수 있다는 것이 대견하다

 

무수한 돈을 만졌지만 결국은 헛 만진 것

 

쓸 필요도 없이 한 3.4일을 나하고 침식을 같이한 돈

 

-어린놈을 아귀라고 하지

 

그 아귀란 놈이 들어오고 나갈 때마다 집어갈 돈

 

풀방구리를 드나드는 쥐의 돈

 

하여간 바쁨과 한가와 실의와 초조를 나하고 같이한 돈

 

바쁜 돈

 

아무도 정시正視하지 못한 돈 돈의 비밀이 여기 있다

 

 

 

 

     김수영 시인은 비속어를 포함하여 시어로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일상어를 적극적으로 시에 사용했다고 한다. 그리고 자연을 노래하거나 서정시를 쓰지 않고, 오히려 시 같지 않는 시를 쓰려고 하였으며 의도적으로 관념어나 산문적인 문장을 사용하여 전통적인 서정시를 깨고 비시적인 요소를 시에 끌어들였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이 시도 지극히 평범한 일상어뿐이다

 

      돈을 표제로 한 이 시는 돈이 갑자기 생겨남에서 쓴 시다. 첫 시작은 심리적 정황에서 나온 묘사로서 생긴 돈을 가지고 있는 화자 자신의 상태를 썼다. 이런 이야기는 일시적 사실의 표현이므로 어떤 상상이나 구문의 이야기가 아니다. 그러므로 좀 더 현실적으로 구체화하거나 의미화 했으면 사뭇 뜻이 달라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첫 행과 둘째 행에는 대견하다는 말이 두 번 나온다. “나에게 30원의 여유가 생겼다는 것이 대견하다. 나도 돈을 만질 수 있다는 것이 대견하다“. 이 두 행은 화자가 일을 했든 공짜로 생겼든 일단 돈이 생겼다는 것이 몹시 대견한 것으로서 화자가 어떤 상황에 처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구체성의 진실이 좀 빈곤하다는 느낌이 든다.

 

     또한, 이 시의 4행에서 쓸 필요도 없이 한 3.4일을 나하고 침식을 같이 한 돈은 그 돈으로 먹고 또 자기고 했다는 뜻이다. ”하여간 바쁨과 한가와 실의와 초조를 나하고 함께 한 돈은 또한 화자가 그 돈으로 인하여 삶의 근원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는 뜻도 된다. 이 시는 그 내용이 어렵지 않아 비교적 쉽게는 읽히지만 분명하고 효과적으로 배열되어 있지는 않은 것 같다. 다시 말하면 리듬이 결여되어 있어 읽는 즐거움이 없고 문장의 어색함도 문제지만 시어가 지니고 있는 함축적 의미가 독자에게 바로 전달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그 때의 30원의 가치가 얼마인지 확실하지는 않지만 아마도 지금의 30만 원쯤 되지 않을까 싶다. 돈이 없는 사람에게 갑자기 돈이 생기면 쓸 일이 더 생긴다. 돈이 나올 데가 있으면 돈이 더 먼저 알고 쓰려고 나선다는 말이 있다. 한 때 돈이 없을 땐 살 것도 어찌 그리 많던지, 지금 생각해 보면 여유가 없으니까 모든 게 더 갖고 싶었던 것 같다. 예전엔 백화점에 가면 전부가 다 갖고 싶은 물건뿐이었다. 그런데 요즘은 사고 싶은 게 없다. 설사 어떤 물건이 수중에 없다하더라도 마음에서 이미 갖고 있는 거나 진배없는 그런 마음의 여유가 생겼기 때문인지 모르겠다. 아니 어쩌면 나이가 들어서 그럴 수도 있겠다.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가장 좋아하는 한 가지가 있다면 그건 돈일 것이다. 그래서 참 치사하고 더러운 게 돈이다. 돈 앞에서 누구라도 꼼짝을 못하니 말이다. 그래서 작가는 풀방구리를 드나드는 쥐의 돈이라고 했다. “풀방구리에 생쥐 드나들 듯 한단 말이 있다.” 이 말은 돈이 있으면 돈이 바빠진다는 뜻이다. 아무도 정시하지 못하는 돈이지만, 작가는 돈의 비밀을 이미 알고 있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3 가장 기억에 남는 영화에 대한 소개, 비평적 감상 정국희 2015.12.16 190
62 루이스 세풀베다의 <연애소설 읽는 노인>에 대한 비평 이론 정국희 2015.12.20 468
61 김지하의 시세계에서 불교적 상상력의 특성, 내용, 위상 정국희 2016.01.01 521
60 노스캐롤라이나의 밤 정국희 2016.01.28 102
59 윤대녕의 소설 <천지간> 정국희 2016.05.04 794
58 피터 언더우드의 (FIRST MOVER) 요약과 느낀점 정국희 2016.06.02 290
57 최명희의 『혼불』 이해와 감상 정국희 2016.06.08 160
56 한강/채식주의자 감상문 [1] 정국희 2016.06.21 469
55 인간의 시간 혹은 우주의 공간(배한봉/복사꽃 아래 천년) 정국희 2016.07.04 485
54 이중톈의 중국인을 말하다 요약과 느낀점 정국희 2016.07.13 221
53 독특한 상상력과 특유한 재치의 작가/ 이외수 정국희 2016.08.23 219
52 리처드 리키의 인류의 기원 요약 정국희 2016.09.04 415
51 이남호의 교과서에 실린 문학작품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읽고 정국희 2016.10.15 358
50 황지우의 너를 기다리는 동안 정국희 2016.10.16 461
49 최금진의 원룸생활자 정국희 2016.11.12 179
48 백석의 시 /고방/ 감상 정국희 2016.11.23 754
47 김수영의 너를 잃고 정국희 2016.12.01 1374
46 한국문학사 요약 정국희 2016.12.05 490
45 크리스마스와 새해를 스페인과 포루투칼에서... 정국희 2017.01.05 38
44 백석의 시 "수라" 감상 정국희 2017.01.16 954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0
어제:
8
전체:
88,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