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마음 베어내어

2017.06.06 11:03

박영숙영 조회 수:398


224AAB4B5876D9040D2FF4



내 마음 베어내어

 

             박영숙영

 

 

애끊는 마음

님께서 알지 못해

오시는가

마음에 길이 없어

오시는가

 

임께서 보시라고

마음 베어내어

둥근 달로 걸어 놓았더니

 

만인[萬人] 나를 보고 말을 하네

사랑은 채워질 없는 그리움이라고

 

그리워

그리워서 외로움에 떨고 있는

둥근 마음

 

하늘과 사이를 바람이 쓸고 가며

임을 있는데

 

어디에서 무얼 하고 계실까

 

새벽닭이 우네

 

 

 

 시집”어제의 사랑은 죽지를 않고”ㅡ중에서

 

 

http://cafe.daum.net/reunion1004

http://mijumunhak.net/parkyongsuk/home


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

 내 마음 베어내어



【시조】- 정철(鄭澈)

   내 마음 베어내어 저 달을 만들고자

   구만리 장천(九萬里長天)에 번듯이 걸려 있어

   고운님 계신 곳에 가 비추어나 보리라.


【어구 풀이】

<구만리 장천(九萬里長天)> : 머나먼 푸른 하늘

<번듯이> : 번듯하게. 뚜렷하게.

<고운님> : 사랑하는 임. 여기서는 임금을 가리킴.


【현대어 풀이】

   내 마음을 베어서 별 달을 만들고 싶구나.

   아득히 넓고 먼 하늘에 번듯이 떠 있으면서

   임금님이 계신 곳을 훤하게 비추어 보고 싶구나.


【개관】

▶작자 : 정철(鄭澈.1536∼1593)

▶형식 : 평시조

▶성격 : 연군가(戀君歌)  

▶제재 : 달

▶주제 : 선조 임금에 대한 변함 없는 충정(忠情)



【감상】

   오죽이나 그리웠으면 마음을 베어 달이 되게 해 가지고 임을 바라보겠다고 한 것일까? 그 임은 그것도 모르고 잠들어 있을텐데. 사랑이란 받는 것보다 주는 것이 아름답다고 한다. 이 노래의 사랑이야말로 그런 것이 아닐까?


   임진왜란을 전후한 당시의 조정의 몰골이, 나라 되어가는 꼴이 얼마나 어수선하고 어지러웠기에 송강에게 이런 시상을 낳게 하였을까? ‘고운 님’은 물론 선조 임금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로써 임금에 대한 송강의 우국충정을 역력히 읽을 수가 있다.


   한편 이 시조의 문면상의 표현을 순수하게 받아들여 ‘고운 님’을 연인으로 설정하여 순수한 남녀간의 애정을 읊은 것으로 보면, 이 작품의 순수성이나 문학성이 한결 돋보임을 느낄 수가 있을 것이다.

 

   무릇 인간의 감정에는 희(喜)ㆍ노(怒)ㆍ애(哀)ㆍ락(榮)ㆍ애(愛)ㆍ오(惡)ㆍ욕(欲) 등 칠정(七情)이 있다고 하나 애(愛)는 칠정의 중추이니만큼 사랑 없이 인간은 살아갈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사랑은 그리움의 정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인간은 그리움 속에 살아가게 된다. 그래서 아주 못견디게 그리울 때에는 그 그리움을 시가의 형식을 빌어 표현하게 된다.


   그리하여 조선 시대에는 모든 형태의 애정, 즉 친자(親子)간의 은애(恩愛), 남녀간의 연애, 형제간의 우애, 친구간의 신애(信愛), 군신(君臣)간의 충애(忠愛) 등을 시조의 형식을 빌어 표현하였던 것이다. 현존하는 시조 작품에서 애정 문학이 가장 많다는 것은 감정의 대표적인 형태가 애정 때문이기도 하나, 유학자들이 애정을 윤리적으로 해석하였던 유교 시대를 배경으로 하였다는 데도 그 원인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송강 정철의 작품을 보면 항상 종장 부분에 '님'이 등장하고 있는데 주지하다시피 이 '님'은 남녀간의 연애를 바탕으로 한 '님'이 아니라  군신(君臣)간의 충애(忠愛)를 배경으로 하여 성립된 '님', 곧 '임금', 더욱 구체적으로는 '선조 임금'을 지칭하고 있다. 송강의 유명한 가사인 사미인곡과 속미인곡이 다 여인이 님을 그리는 심정을 통하여 연군(戀君)의 정을 노래하고 있는 작품인데, 이 시조 또한 같은 수법이라고 할 수 있다. 송강의 문학은 이런 '님'을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는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이 시조는 임금을 그리워하는 안타까운 마음을 우회적인 표현으로 형상화한 작품이다.

   송강 정철(鄭澈)의 대부분의 작품은 연군지정(戀君之情)을 노래한 작품이다. 문학적으로는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살렸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하지만 그가 그리는 임은 너무도 치우친 임금에 대한 사랑이다.


   당시 사대부의 대부분의 작품에 등장하는 임은 작자가 생존할 때 왕권을 잡고 있는 임금이다. 그러나 다시금 생각하면 그들이 그토록 그리워하는 임은 권력자이기에 그들의 그리움에는 임금에 대한 충성이고, 비판적으로 말하면 맹목적인 권력지향적인 사고방식이 들어 있다. 특히 송강의 작품 또한 그러한 범주에서 벗어날 수 없다.


   그럼에도 송강의 작품이 의미가 있는 것은 한문과 고사성어와 명문을 인용하던 당대의 다른 문인들과는 달리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살리고 있다는 데 있다. 송강의 '사미인곡'과 '속미인곡'이 다 여인이 님을 그리는 심정을 통하여 연군(戀君)의 정을 노래하고 있는 작품인데, 이 시조 또한 같은 수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시조는 자신의 진솔한 마음을 칼로 베어 내어 달을 만들어서 임금이 계신 궁궐에 비춤으로써, 자신의 충정(衷情)을 임금께 전하고 싶다는 내용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세계 한글작가대회 ㅡ언어와 문자의 중요성ㅡ 박영숙영 2015.10.30 439
공지 내가 사랑 시를 쓰는 이유 박영숙영 2015.08.02 205
공지 사부곡아리랑/아버님께 바치는헌시ㅡ시해설 박영숙영 2015.07.18 845
공지 시와 마라톤ㅡ 재미시인 박영숙영 인터뷰기사 박영숙영 2014.10.17 515
공지 사부곡 아리랑(아버님께 바치는 헌시)ㅡ 인터뷰기사 박영숙영 2014.01.16 460
공지 시집 5 -《인터넷 고운 님이여》'시'해설 박영숙영 2013.04.20 1030
공지 시집 4 -사부곡아리랑/아버님께 바치는헌시/서문 박영숙영 2013.04.20 795
공지 시집 3ㅡ어제의 사랑은 죽지를 않고 시'해설 박영숙영 2010.11.03 1357
공지 시집을 내면서ㅡ1, 2, 3, 4, 5, 6 권 박영숙영 2010.10.27 1258
공지 빛이고 희망이신 “인터넷 고운님에게” 내'시'는 박영숙영 2009.08.24 1671
공지 시집 1 ㅡ영혼의 입맞춤/ 신달자 /명지대교수 박영숙영 2008.09.09 1583
153 사부곡(思父曲) 아리랑/ 아버님께 바치는 헌시 (獻詩) 박영숙영 2013.12.29 409
152 인터넷 고운 님이여! 박영숙영 2014.01.07 372
151 천 년의 뿌리 아리랑 박영숙영 2014.01.15 341
150 사모곡(思母曲) 아리랑 박영숙영 2014.02.02 406
149 엄마의 염주 박영숙영 2014.02.12 403
148 님들께 감사합니다 박영숙영 2014.02.14 355
147 선혈(鮮血 ) 한 방울 박영숙영 2014.02.14 417
146 좋은 것만 보면은 박영숙영 2014.03.04 331
145 사람이 그리울 때 시장에 간다 박영숙영 2014.03.06 354
144 고장 난 나침반처럼 박영숙영 2014.03.18 335
143 지옥과 천당이 공존하는 에덴의 동산 박영숙영 2014.03.31 305
142 그렇지 않느냐 백로야~ 박영숙영 2014.04.14 261
141 사막에 뜨는 달 박영숙영 2014.05.08 254
140 나는 엄마의 어린 딸 박영숙영 2014.05.14 207
139 나는, 고독하다 박영숙영 2014.05.22 235
138 가지 끝에 내가 앉아 file 박영숙영 2014.05.28 242
137 여보게 젊은이, 그대 부모님은 안녕하신가 박영숙영 2014.06.10 398
136 죽음 뒤를 볼 수 없다 해도 / 죽음에 대한 금언 박영숙영 2014.07.02 369
135 이것이 삶이다./ 수필 박영숙영 2014.07.13 296
134 미리 하는 이별 박영숙영 2014.07.24 236
133 죽음 연습, 이별 연습 박영숙영 2014.07.31 225
132 국론분열 멈추고 단결합시다 / 수필 박영숙영 2014.08.13 331
131 박근혜 대통령님께 file 박영숙영 2014.08.14 338
130 사랑이 머무는 곳에 박영숙영 2014.09.02 215
129 열정과 희망사이 박영숙영 2014.10.04 153
128 가로수는 배 고프다 박영숙영 2014.10.04 139
127 유명품은 씨았인가 박영숙영 2014.10.04 128
126 피어라 무궁화 꽃이여 박영숙영 2014.10.04 148
125 가을 인생 박영숙영 2014.10.04 186
124 노을꽃 박영숙영 2014.10.04 187
123 달리기를 즐겨라 / 수필 file 박영숙영 2015.01.16 181
122 진해마라톤대회를 다녀와서 / 수필 file 박영숙영 2015.01.16 361
121 조국이여 영원하라 file 박영숙영 2015.04.19 28
120 "나는 대한민국의 문인이다!" 박영숙영 시인 박영숙영 2015.04.19 102
119 겨레여! 광복의 날을 잊지 맙시다 박영숙영 2015.08.15 16
118 겨레여! 조국을 위하여 단결합시다 file 박영숙영 2015.08.15 234
117 오해 박영숙영 2016.02.23 66
116 삶이란, 용서의 길 박영숙영 2016.02.23 210
115 여자가 산을 넘는 나이 박영숙영 2016.02.23 140
114 외로운 여자의 연가 박영숙영 2016.02.23 94
113 어느 여자의 상실감 박영숙영 2016.02.23 105
112 아, 내 전우 향군이여!. 박영숙영 2016.04.11 31
111 당신 손잡고 박영숙영 2016.04.24 176
110 그대 여인으로 살고 싶소 박영숙영 2016.04.24 165
109 그대에게 고백하고 싶습니다 박영숙영 2016.04.24 7076
108 사랑 그 신비의 묘약 박영숙영 2016.04.24 7038
107 내 영혼에 새겨진 연비 박영숙영 2016.04.24 680
106 마지막 사랑 박영숙영 2016.04.24 138
105 아내의 노래 박영숙영 2016.04.24 38
104 도끼와 면도칼의 사랑 박영숙영 2016.04.24 79
103 고독한 그 남자 박영숙영 2016.04.24 26
102 십자가와 은장도 박영숙영 2016.04.24 116
101 여자와 자동차 박영숙영 2016.04.24 158
100 고독속에 승화시킨 사랑은 생명 박영숙영 2016.04.24 746
99 잊고 살자 하면서도 박영숙영 2016.04.24 7014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20
어제:
97
전체:
888,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