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아침에] 산책길에서 만난 꽃과 사람 6/20/14
2014.06.20 05:56
이른 아침 동네공원 산책길에 나섰다. 덜덜거리는 소리. 서너 명의 아저씨가 잔디 깎는 카트를 타고 풀밭을 돌고 있다. 깎여 나온 풀 더미의 풋풋한 향을 맡으며 공원을 걷는다. 카트가 다다르지 않은 저쪽 풀밭 위에 하얀 꽃이 안개처럼 덮여있다. 추억의 꽃반지, 토끼풀이다.
쪼그리고 앉아 하나 쏙 빼 본다. 클로버가 졸졸 딸려 나온다. 꽃반지와 행운의 네 잎 클로버, 추억이 각각 다르게 입력된 탓인지 한동안 다른 식물로 생각하고 있었던 자신을 발견한다. 이런 무식. 잘못된 기억을 바로 잡으며 실없이 웃는다.
덜덜거리는 소리가 잦아들 때까지 주변 동네길로 산책의 반경을 넓혀 본다. 집 주인의 취향과 닮은 듯한 색색의 꽃들이 저마다의 모양과 향기로 한 시절을 구가하고 있다. '그래, 다 때가 있는 거야.' 웅얼거리며 걷다가 내 눈에 확 들어와 가슴 뭉클하게 하는 꽃 한 무더기 있어 가던 길 멈춘다. 시원한 가을바람에 하늘하늘 흔들려야 제멋이 살아나는 코스모스, 이국 하늘 아래 철도 모르고 피어 있다. 하긴 4월의 목련이 이곳에선 1월에 피었으니 코스모스도 제 꽃 피울 차례 서둘러야 했으리라.
어느 철에 피어나든 꽃은 아름답다. 같은 종류끼리 오글오글 모여있어도 아름답고 다른 종류와 와글와글 섞여 있어도 아름답다. 수없이 많은 꽃 종류, 어린 시절 산이나 들에서 보았음직한 야생화도 드문드문 보인다. 다른 꽃들과 잘 어우러져 있지만 내 눈에 도드라지는 것들, 도회지로 갓 진출한 시골뜨기처럼 어리숙해 보인다. 하지만 저들이 있어 더 조화로운 꽃밭이 된 게 틀림없다.
멀찍이서 보면 '피어있다' 혹은 '무성하다' 싶은 나무들, 다가가 보면 지는 꽃도 치인 꽃도 벌레 먹은 꽃도 보인다. 화사하게 피어나 제 시절을 누리는 나무도 있지만, 간발의 차이로 물이 닿지 않아 성장이 멈춘 나무도 있다. 가까이 또 자주 들여다보면 보이는 것이 더 많고, 어쩌면 꽃의 말을 알아들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러고 보니, 나무들이 목이 마르다고 투정하는 소리가 들리는 것 같다. 얼마 전 다녀온 뉴저지는 비가 충분히 오기 때문에 따로 스프링클러를 설치하지 않는단다. 동부 쪽을 다녀오면 늘 느끼는 거지만, 준사막 지역인 캘리포니아의 초록 빛깔이 다시 보인다. 온전히 하늘에 기대지 못하는 식물들, 귀하고 안쓰럽다.
덜덜거리는 소리가 그쳤다. 말끔해진 공원 풀밭 위로 한 노부부가 느릿느릿 걸음을 옮기고, 짧은 운동복 차림의 한 젊은 남자가 날 듯이 그들 곁을 스쳐 지나가고 있다. 조금 있으려니 개를 끌고 나온 조그만 남자아이가 엄마와 보조를 맞추려는 듯 종종걸음치며 공원으로 들어간다. 남자아이, 젊은 남자, 노인…. 인생의 주요 시점이 한편의 영상으로 이어진다. 멀리서 보면 초록 풀밭 위의 멋진 그림 한 편 같아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우여곡절 희로애락이 담겨 있을 것이다. 사람도 나무도 그렇게 한 시절 꽃 피우다가 자신을 키워 준 대지의 품으로 돌아간다. 한눈을 파는 사이에 겨울이 닥칠지도 모른다. 오랜만의 공원 산책, 오늘 하루가 조금은 더 충실해질 것 같다.
미주 중앙일보 2014. 6. 20
쪼그리고 앉아 하나 쏙 빼 본다. 클로버가 졸졸 딸려 나온다. 꽃반지와 행운의 네 잎 클로버, 추억이 각각 다르게 입력된 탓인지 한동안 다른 식물로 생각하고 있었던 자신을 발견한다. 이런 무식. 잘못된 기억을 바로 잡으며 실없이 웃는다.
덜덜거리는 소리가 잦아들 때까지 주변 동네길로 산책의 반경을 넓혀 본다. 집 주인의 취향과 닮은 듯한 색색의 꽃들이 저마다의 모양과 향기로 한 시절을 구가하고 있다. '그래, 다 때가 있는 거야.' 웅얼거리며 걷다가 내 눈에 확 들어와 가슴 뭉클하게 하는 꽃 한 무더기 있어 가던 길 멈춘다. 시원한 가을바람에 하늘하늘 흔들려야 제멋이 살아나는 코스모스, 이국 하늘 아래 철도 모르고 피어 있다. 하긴 4월의 목련이 이곳에선 1월에 피었으니 코스모스도 제 꽃 피울 차례 서둘러야 했으리라.
어느 철에 피어나든 꽃은 아름답다. 같은 종류끼리 오글오글 모여있어도 아름답고 다른 종류와 와글와글 섞여 있어도 아름답다. 수없이 많은 꽃 종류, 어린 시절 산이나 들에서 보았음직한 야생화도 드문드문 보인다. 다른 꽃들과 잘 어우러져 있지만 내 눈에 도드라지는 것들, 도회지로 갓 진출한 시골뜨기처럼 어리숙해 보인다. 하지만 저들이 있어 더 조화로운 꽃밭이 된 게 틀림없다.
멀찍이서 보면 '피어있다' 혹은 '무성하다' 싶은 나무들, 다가가 보면 지는 꽃도 치인 꽃도 벌레 먹은 꽃도 보인다. 화사하게 피어나 제 시절을 누리는 나무도 있지만, 간발의 차이로 물이 닿지 않아 성장이 멈춘 나무도 있다. 가까이 또 자주 들여다보면 보이는 것이 더 많고, 어쩌면 꽃의 말을 알아들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러고 보니, 나무들이 목이 마르다고 투정하는 소리가 들리는 것 같다. 얼마 전 다녀온 뉴저지는 비가 충분히 오기 때문에 따로 스프링클러를 설치하지 않는단다. 동부 쪽을 다녀오면 늘 느끼는 거지만, 준사막 지역인 캘리포니아의 초록 빛깔이 다시 보인다. 온전히 하늘에 기대지 못하는 식물들, 귀하고 안쓰럽다.
덜덜거리는 소리가 그쳤다. 말끔해진 공원 풀밭 위로 한 노부부가 느릿느릿 걸음을 옮기고, 짧은 운동복 차림의 한 젊은 남자가 날 듯이 그들 곁을 스쳐 지나가고 있다. 조금 있으려니 개를 끌고 나온 조그만 남자아이가 엄마와 보조를 맞추려는 듯 종종걸음치며 공원으로 들어간다. 남자아이, 젊은 남자, 노인…. 인생의 주요 시점이 한편의 영상으로 이어진다. 멀리서 보면 초록 풀밭 위의 멋진 그림 한 편 같아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우여곡절 희로애락이 담겨 있을 것이다. 사람도 나무도 그렇게 한 시절 꽃 피우다가 자신을 키워 준 대지의 품으로 돌아간다. 한눈을 파는 사이에 겨울이 닥칠지도 모른다. 오랜만의 공원 산책, 오늘 하루가 조금은 더 충실해질 것 같다.
미주 중앙일보 2014. 6. 20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0279 | 동시 2제 / 똘랑이의 벌 외 | sonyongsang | 2014.07.05 | 53 |
10278 | 보리스 비앙의 탈주병 | 김학천 | 2014.07.04 | 52 |
10277 | 해를 물고 가는 새들 | 강민경 | 2014.07.02 | 76 |
10276 | 죽음 뒤를 볼 수 없다 해도 / 죽음에 대한 금언 | 박영숙영 | 2014.07.02 | 58 |
10275 | 내 이름으로 된 통장 하나 | 노기제 | 2014.07.02 | 265 |
10274 | 월드컵 축제 | 성백군 | 2014.06.26 | 24 |
10273 | 맛 없는 말 | 강민경 | 2014.06.26 | 24 |
10272 | 게이랑에르 피요르드 | 정용진 | 2014.06.25 | 74 |
10271 | 달님에게 하는 사랑고백[맑은누리 14년 여름호] | 동아줄 | 2014.06.23 | 96 |
10270 | 산 닭 울음소리 | 성백군 | 2014.06.23 | 80 |
10269 | 모래의 고백<연애편지> | 강민경 | 2014.06.22 | 86 |
10268 | 성웅과 교황 '성하' | sonyongsang | 2014.08.15 | 39 |
10267 | 그대의 이름 그곳에 | 채영선 | 2014.06.21 | 24 |
» | [이 아침에] 산책길에서 만난 꽃과 사람 6/20/14 | 오연희 | 2014.06.20 | 28 |
10265 | [이 아침에]사람 목숨 훔친 도둑들은 어디 있을까 6/4/14 | 오연희 | 2014.06.20 | 34 |
10264 | 김우영의 한국어이야기 9 변하는 말과 꼬리아 | 김우영 | 2014.06.18 | 31 |
10263 | 시를 품고 살아서 | 정국희 | 2014.06.17 | 29 |
10262 | 한국이 다문화국가 중심 | 김우영 | 2014.06.16 | 29 |
10261 | 불감증 | 이상태 | 2014.06.16 | 24 |
10260 | 오디 상자 앞에서 | 강민경 | 2014.06.15 | 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