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름으로 된 통장 하나
2014.07.02 04:34
20140512 내 이름으로 된 통장 하나
미국생활에서 가장 익숙해진 공동명의라는 것. 집도 부부이름으로, 차도 부부이름으로, 통장도 부부 이름으로 모든 소유물이 부부이름으로 되어 있다.
별 불편함 모르고 수십 년을 살았다. 내가 내 이름을 건 통관사를 직접 운영할 땐 물론 나 혼자만의 이름으로 모든 것이 이루어져 있었다. 남편 또한 약국을 경영할 땐 모든 자금들이 남편 혼자만의 이름으로 돌아가고 있었다. 그러려니 불만도 불평도 없이 지났다. 적어도 나는 그랬다.
그러다 나는 회사 문을 닫고 이른 은퇴를 했고, 남편은 대학동창에게 사기 당하고 엄청 손해 본 상태로 약국 문을 닫았다. 그 후 우리에겐 공동명의로 된 것들만 남았다. 역시 어떤 근심도 불평도 내겐 없었다.
그냥저냥 사는 동안 남편은 예전대로 월급쟁이로 돌아갔고, 나는 여유롭게 이른 은퇴 생활을 즐기게 되었다. 남편의 월급은 꼬박꼬박 부부명의로 된 통장으로 자동 입금되고 가계 관리는 자연스레 시간이 많은 내가 맡아 하게 되었다.
남편은 가끔 가벼운 멘트를 누구에게나 날린다. 자신은 돈이 다 어디 있는지 어찌 돌아가는 지 하나도 모른다고. 그래서 편하고 좋다는 얘기가 아닌 듯 들린다. 관리하는 나도 마찬가지다. 남편이 내게 모든 경제권을 맡겨서 고맙다는 생각은 추호도 없다. 오히려 조심스럽고 부담스럽기 만 하다. 일전 한 푼 내 맘대로 쓸 수도 없고 딴 주머니를 찰 마음도 없다.
흔히 복부인들이 하는 짓도 못한다. 이런 저런 좋은 기회에 투자를 하고 재산을 늘리고 할 엄두도 못 낸다. 안 돼. 하지 마. 자면서도 남편의 감시하는 눈초리가 느껴질 정도다. 차라리 얼마씩이라도 용돈을 타서 내 맘대로 할 수 있는 나만의 통장하나 갖는 것이 내 소원이다.
재산관리? 돈 벌어다 다 준다고? 빛 좋은 개살구는 더 이상 싫다. 사고 싶은 물건 하나 내 맘대로 못사는 권리. 사고 싶다고 말이라도 꺼낼라 치면 갖은 이유 다 들이대며 결국은 필요 없으니 사지 말라는 결론을 낸다. 너무 잘났다 내 남편은. 어쩜 그리 아는 지식이 많은지 물건마다의 단점을 속속들이 다 열거 하며 나를 설득한다. 허락 받고 살 수 있는 물건은 하나도 없다.
그렇다고 내가 사고 싶은 물건 다 포기하고 남편이 하라는 대로만 하며 살 수는 없다. 그러니 티격태격 반론을 펼치게 되고, 서로가 언성도 높아지다 보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도 있으련만. 내게 쏟아지는 언어폭력에 난 그만 입을 다물어야 한다. 계속 이렇다 저렇다 대화를 하려 애쓰다간 곧 바로 던지고 때리는 폭력을 당해야 하니까.
내가 왜 이러고 살아야 하나? 참고 용서하라는 주위 사람들의 얘기는 무엇을 위한 것인가? 예수님이 그리 살라 가르치시니까? 나도 그런 줄 믿었기 때문에 죽을힘을 다 해 참고 살아보려 했다. 죽고 싶다고? 그렇담 그 죽을 수 있는 힘으로 살라는 여러 사람의 말을 듣고 그리 하려 애썼다.
그러다 완전 코너로 몰렸다. 더 이상 피해 갈 수 없는 지점에서 난 정말 죽고 싶다고 하느님께 아뢰었다. 난 못 살겠어요. 무슨 수를 쓰세요. 나 이대로 죽어 없어지는 것이 하느님 뜻인가요?
살살 달래면서, 하라는 대로 하면서 그냥저냥 살아라. 남들처럼 바람을 피길 하냐. 돈을 안 벌어다 주냐. 너 하고 싶은 대로 자유롭게 취미 생활하는 것도 딴 여자들에 비하면 넘치는 축복 아니냐. 대중의 의견이 이렇다 보니 나도 어쩔 수 없이 참고 살다 어느새 사십년을 넘게 살았다.
그런데 이젠 내가 진짜로 죽고 싶어졌다. 남편을 피해 살 수 있는 다른 길 이 없음에 내려지는 결론인가보다.
누구의 잘 잘못을 따지지 않는다. 그냥 이 상태로는 살 수가 없다. 아니 살기 싫다. 내가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하는 철없는 인간이라고 누군가 손가락 질 할 수도 있겠지만 그래서 뭐 어쩌라는 건가. 어디에서 그런 남편 찾을 수 있겠느냐며 혼자 나가서 고생 좀 해 봐야 한다고 입을 모으는 무리들.
그런 고생하면서라도 자유롭게 내 의지대로 한 번 살아 보고 싶다. 부모님 곁에서 살 땐, 한 번도 안 들었던 욕지거리, 폭력을 감당하기엔 내가 너무 부족하다. 입 다물고, 시키는 대로 하면서 꼭두각시처럼 살면, 절대 일어나지 않는 풍랑들이다. 그나마 사십년 넘게 참고 살 수 있었던 건, 사랑으로 키워주신 부모님 덕에 그 쌓였던 사랑으로 견딜 수 있었던 것 같다. 이젠 고갈상태가 된 사랑이다.
나 스스로가 어찌 다른 방법을 모색할 수 있겠나. 하늘을 향해 크게 울부짖는다. 나 죽고 싶어요. 나 죽어요? 그게 하늘의 뜻 인가요?
미국생활에서 가장 익숙해진 공동명의라는 것. 집도 부부이름으로, 차도 부부이름으로, 통장도 부부 이름으로 모든 소유물이 부부이름으로 되어 있다.
별 불편함 모르고 수십 년을 살았다. 내가 내 이름을 건 통관사를 직접 운영할 땐 물론 나 혼자만의 이름으로 모든 것이 이루어져 있었다. 남편 또한 약국을 경영할 땐 모든 자금들이 남편 혼자만의 이름으로 돌아가고 있었다. 그러려니 불만도 불평도 없이 지났다. 적어도 나는 그랬다.
그러다 나는 회사 문을 닫고 이른 은퇴를 했고, 남편은 대학동창에게 사기 당하고 엄청 손해 본 상태로 약국 문을 닫았다. 그 후 우리에겐 공동명의로 된 것들만 남았다. 역시 어떤 근심도 불평도 내겐 없었다.
그냥저냥 사는 동안 남편은 예전대로 월급쟁이로 돌아갔고, 나는 여유롭게 이른 은퇴 생활을 즐기게 되었다. 남편의 월급은 꼬박꼬박 부부명의로 된 통장으로 자동 입금되고 가계 관리는 자연스레 시간이 많은 내가 맡아 하게 되었다.
남편은 가끔 가벼운 멘트를 누구에게나 날린다. 자신은 돈이 다 어디 있는지 어찌 돌아가는 지 하나도 모른다고. 그래서 편하고 좋다는 얘기가 아닌 듯 들린다. 관리하는 나도 마찬가지다. 남편이 내게 모든 경제권을 맡겨서 고맙다는 생각은 추호도 없다. 오히려 조심스럽고 부담스럽기 만 하다. 일전 한 푼 내 맘대로 쓸 수도 없고 딴 주머니를 찰 마음도 없다.
흔히 복부인들이 하는 짓도 못한다. 이런 저런 좋은 기회에 투자를 하고 재산을 늘리고 할 엄두도 못 낸다. 안 돼. 하지 마. 자면서도 남편의 감시하는 눈초리가 느껴질 정도다. 차라리 얼마씩이라도 용돈을 타서 내 맘대로 할 수 있는 나만의 통장하나 갖는 것이 내 소원이다.
재산관리? 돈 벌어다 다 준다고? 빛 좋은 개살구는 더 이상 싫다. 사고 싶은 물건 하나 내 맘대로 못사는 권리. 사고 싶다고 말이라도 꺼낼라 치면 갖은 이유 다 들이대며 결국은 필요 없으니 사지 말라는 결론을 낸다. 너무 잘났다 내 남편은. 어쩜 그리 아는 지식이 많은지 물건마다의 단점을 속속들이 다 열거 하며 나를 설득한다. 허락 받고 살 수 있는 물건은 하나도 없다.
그렇다고 내가 사고 싶은 물건 다 포기하고 남편이 하라는 대로만 하며 살 수는 없다. 그러니 티격태격 반론을 펼치게 되고, 서로가 언성도 높아지다 보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도 있으련만. 내게 쏟아지는 언어폭력에 난 그만 입을 다물어야 한다. 계속 이렇다 저렇다 대화를 하려 애쓰다간 곧 바로 던지고 때리는 폭력을 당해야 하니까.
내가 왜 이러고 살아야 하나? 참고 용서하라는 주위 사람들의 얘기는 무엇을 위한 것인가? 예수님이 그리 살라 가르치시니까? 나도 그런 줄 믿었기 때문에 죽을힘을 다 해 참고 살아보려 했다. 죽고 싶다고? 그렇담 그 죽을 수 있는 힘으로 살라는 여러 사람의 말을 듣고 그리 하려 애썼다.
그러다 완전 코너로 몰렸다. 더 이상 피해 갈 수 없는 지점에서 난 정말 죽고 싶다고 하느님께 아뢰었다. 난 못 살겠어요. 무슨 수를 쓰세요. 나 이대로 죽어 없어지는 것이 하느님 뜻인가요?
살살 달래면서, 하라는 대로 하면서 그냥저냥 살아라. 남들처럼 바람을 피길 하냐. 돈을 안 벌어다 주냐. 너 하고 싶은 대로 자유롭게 취미 생활하는 것도 딴 여자들에 비하면 넘치는 축복 아니냐. 대중의 의견이 이렇다 보니 나도 어쩔 수 없이 참고 살다 어느새 사십년을 넘게 살았다.
그런데 이젠 내가 진짜로 죽고 싶어졌다. 남편을 피해 살 수 있는 다른 길 이 없음에 내려지는 결론인가보다.
누구의 잘 잘못을 따지지 않는다. 그냥 이 상태로는 살 수가 없다. 아니 살기 싫다. 내가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하는 철없는 인간이라고 누군가 손가락 질 할 수도 있겠지만 그래서 뭐 어쩌라는 건가. 어디에서 그런 남편 찾을 수 있겠느냐며 혼자 나가서 고생 좀 해 봐야 한다고 입을 모으는 무리들.
그런 고생하면서라도 자유롭게 내 의지대로 한 번 살아 보고 싶다. 부모님 곁에서 살 땐, 한 번도 안 들었던 욕지거리, 폭력을 감당하기엔 내가 너무 부족하다. 입 다물고, 시키는 대로 하면서 꼭두각시처럼 살면, 절대 일어나지 않는 풍랑들이다. 그나마 사십년 넘게 참고 살 수 있었던 건, 사랑으로 키워주신 부모님 덕에 그 쌓였던 사랑으로 견딜 수 있었던 것 같다. 이젠 고갈상태가 된 사랑이다.
나 스스로가 어찌 다른 방법을 모색할 수 있겠나. 하늘을 향해 크게 울부짖는다. 나 죽고 싶어요. 나 죽어요? 그게 하늘의 뜻 인가요?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0279 | 동시 2제 / 똘랑이의 벌 외 | sonyongsang | 2014.07.05 | 53 |
10278 | 보리스 비앙의 탈주병 | 김학천 | 2014.07.04 | 52 |
10277 | 해를 물고 가는 새들 | 강민경 | 2014.07.02 | 76 |
10276 | 죽음 뒤를 볼 수 없다 해도 / 죽음에 대한 금언 | 박영숙영 | 2014.07.02 | 58 |
» | 내 이름으로 된 통장 하나 | 노기제 | 2014.07.02 | 265 |
10274 | 월드컵 축제 | 성백군 | 2014.06.26 | 24 |
10273 | 맛 없는 말 | 강민경 | 2014.06.26 | 24 |
10272 | 게이랑에르 피요르드 | 정용진 | 2014.06.25 | 74 |
10271 | 달님에게 하는 사랑고백[맑은누리 14년 여름호] | 동아줄 | 2014.06.23 | 95 |
10270 | 산 닭 울음소리 | 성백군 | 2014.06.23 | 80 |
10269 | 모래의 고백<연애편지> | 강민경 | 2014.06.22 | 86 |
10268 | 성웅과 교황 '성하' | sonyongsang | 2014.08.15 | 39 |
10267 | 그대의 이름 그곳에 | 채영선 | 2014.06.21 | 24 |
10266 | [이 아침에] 산책길에서 만난 꽃과 사람 6/20/14 | 오연희 | 2014.06.20 | 28 |
10265 | [이 아침에]사람 목숨 훔친 도둑들은 어디 있을까 6/4/14 | 오연희 | 2014.06.20 | 34 |
10264 | 김우영의 한국어이야기 9 변하는 말과 꼬리아 | 김우영 | 2014.06.18 | 31 |
10263 | 시를 품고 살아서 | 정국희 | 2014.06.17 | 29 |
10262 | 한국이 다문화국가 중심 | 김우영 | 2014.06.16 | 29 |
10261 | 불감증 | 이상태 | 2014.06.16 | 24 |
10260 | 오디 상자 앞에서 | 강민경 | 2014.06.15 | 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