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3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1, 11월의 시간은 어느덧 우리 곁에 와 옷깃을 잡고 흔드네요. 더욱 붉고 선명해지는 단풍, 그리고 불어오는 바람의 손에 얹히어 기품답게 가는 강 흐름 같은 모습, 감쪽같이 가고 오는 세월 속에서 인생은 나를 찾아가는 긴 여정이란 Alfred Alder의 말에 시인에게 시는 자신을 찾아가는 긴 여정이라고 절감을 하며 11월의 감성은 저는 높푸른 가을 하늘에 올곧 떠 있는 감잎 몇 개와 황금빛 감 두엇, 혹은 씨감, 늦게 찾아오는 새를 위해 남겨놓은 그 정담 가득한 한국의 정서 한 개, 이렇게 제 가슴으로 저며 오네요. 오래 전 17년 만에 찾아간 조국 대한민국의 가을 하늘은 그렇게 쓰리도록 제 가슴에 각인되어 버렸지요.

시인 강인호는 가을에는라는 시에서 노래하고 있어요. <물소리 맑아지는 가을에는/ 달빛이 깊어지는 가을에는/ 하늘이 높아지는 가을에는/ 쑥부쟁이 꽃피는 가을에는// 어인 일인지 부끄러워진다/ 딱히 죄지은 것도 없는데//아무런 이유 없이 가을에게/ 자꾸만 내가 부끄러워진다>

하늘이 높고 물소리가 맑아지고 깊어지는 가을에는 어인 일인지 부끄러워진다고 고백하고 있어요. 이거야말로 한국적인 정서가 아니겠어요.

또 이 준관 시인은 가을에 사람이 그리울 때면라는 시에서 <가을에 사람이 그리울 때면/ 시골 버스를 탄다/ 시골 버스에서는 /사람 냄새가 난다./ 황토흙 얼굴의 농부들이/ 아픈 소는 다 나았느냐고 /소의 안부를 묻기도 하고,/ 낯모르는 내 손에 /고향 불빛 같은 감을/ 쥐어주기도 한다./ 콩과 팥과 고구마를 담은 보따리를/ 제 자식처럼

품에 꼭 껴안고 가는/ 아주머니의 사투리가 귀에 정겹다./ 창문 밖에는 /꿈 많은 소년처럼 물구나무선 /은행나무가 보이고, /지붕 위 호박덩이

/같은 가을 해가 보인다. /어머니가 싸주는 /따스한 도시락 같은 시골 버스. /사람이 못내 그리울 때면 /문득 낯선 길가에 서서 /버스를 탄다. /하늘과 바람과 낮달을 머리에 이고>

이 얼마나 한국적인지. 우리의 고향 내 속에서 우리의 속 깊이 자르르 흘러드는 우리의 정......시인은 가을에 사람이 그리울 때 하늘과 바람과 낮달을 머리에 이고. 시골 버스를 탄다 고 노래했어요. 그러나 그가 노래한 그런 정경이 지금도 남아 있는지......

시인은 그가 사는 시대를 떠날 수 없지요. 외형적으로 다가오는 사회 상황의 조임에서 몸부림치며 자유와 해방의 꿈을 꾸는 그에게 그의 시는 자연 다른 옷을 입지 않을 수 없겠지요. 쉽게 앞서 갈 수도 또 뒤로 쳐질 수는 결코 없는 시인의 즐거운 운명, 나는 이것을 즐거운 운명이라 부르내요. 이것이 결코 다음에 나오는 나의 졸시의 변명이 아니기를.....

 

종이도 펜도 없이

누가 붉은 몽당연필로 시를 쓴다

거울에 립스틱으로

적는다

굼벵이가 단단한 모래 위를 꿈틀거리듯

거울에는 시가 아닌 시 한 줄

또 한 연, 아득스런 너의 말....

내 속에 잠자던 나비가 눈을 반짝 한다

오래 오래 징그럽게 점잔 빼던

더는 오욕과 거짓에 짓눌려 견디지 못하고

눈을 뜨고 파닥 거린다

 

나비가 내가 되려한다

꽃이 되어 가을 단즙이 되어

아니, 무엇이나 되어 꿈꾸는

 

세상 모든 미움 절판하려한다

 

나비는 수직으로 서서

최후의 유언처럼

사랑, 사랑....... 날개로 적는다

, 바스러진 뼈들이 보송보송

일어나

다시

시작으로

 

돌아간다. (‘거울에 쓰는 붉은 몽당연필곽상희 작)

 

       저의 부끄러움의 시를 달마다 저의 서신 속에 보내는 것은 시를 사랑함이며 인생을 사랑하는 그 사랑임을 말하지 않을 수 없음을, 2000년 전 하나님 아들의 사랑의 육화, 말구유에 오심도 그 겸손한 사랑 탓임을, 그 아름다운 정서 속에 젖어서 11월의 서정을 맑게 가늠하며, 아듀!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09 김우영 작가의 우리말 나들이 구조조정해야 할 ‘~적’과 ‘~ 내지 김우영 2012.06.01 405
1808 수필 김우영 작가의 한국어 이야기 - 15 김우영 2015.05.14 378
1807 수필 김우영 작가의 한국어 이야기 - 9 김우영 2015.04.28 234
1806 수필 김우영 작가의 한국어 이야기 -18 김우영 2015.05.27 316
1805 기타 김우영 작가의 한국어 이야기 ] 글 고치기와 띄어쓰기 김우영 2014.06.01 882
1804 수필 김우영 작가의 한국어 이야기-24 김우영 2015.06.18 450
1803 수필 김우영 작가의 한국어 이야기-25 김우영 2015.06.21 413
1802 수필 김우영 작가의 한국어 이야기-29 김우영 2015.06.28 540
1801 수필 김우영 작가의/ 주당 골초 호색한 처칠 김우영 2013.10.27 788
1800 기타 김우영]한국어, 세계에 수출하자 김우영 2014.03.23 862
1799 수필 김우영의 "세상 이야기" (1)생즉사 사즉생( 生卽死 死卽生) 김우영 2015.01.12 442
1798 김우영의 세상사는 이야기 대전 중구의 효(孝)문화 가치 증대 아젠다 김우영 2013.02.16 704
1797 수필 김우영의 한국어 이야기- 7 김우영 2014.05.11 430
1796 기타 김우영의 한국어이야기 9 변하는 말과 꼬리아 김우영 2014.06.18 225
1795 김천화장장 화부 아저씨 이승하 2009.09.17 1312
1794 김학송 수필집 작품해설(200자 원고지 22매) 김우영 2011.02.12 882
1793 시조 깊은 계절에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05.06 114
1792 시조 깊은 잠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05.01 110
1791 까치밥 file 유진왕 2022.09.29 145
1790 깎꿍 까르르 김사빈 2005.04.02 337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