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1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1, 11월의 시간은 어느덧 우리 곁에 와 옷깃을 잡고 흔드네요. 더욱 붉고 선명해지는 단풍, 그리고 불어오는 바람의 손에 얹히어 기품답게 가는 강 흐름 같은 모습, 감쪽같이 가고 오는 세월 속에서 인생은 나를 찾아가는 긴 여정이란 Alfred Alder의 말에 시인에게 시는 자신을 찾아가는 긴 여정이라고 절감을 하며 11월의 감성은 저는 높푸른 가을 하늘에 올곧 떠 있는 감잎 몇 개와 황금빛 감 두엇, 혹은 씨감, 늦게 찾아오는 새를 위해 남겨놓은 그 정담 가득한 한국의 정서 한 개, 이렇게 제 가슴으로 저며 오네요. 오래 전 17년 만에 찾아간 조국 대한민국의 가을 하늘은 그렇게 쓰리도록 제 가슴에 각인되어 버렸지요.

시인 강인호는 가을에는라는 시에서 노래하고 있어요. <물소리 맑아지는 가을에는/ 달빛이 깊어지는 가을에는/ 하늘이 높아지는 가을에는/ 쑥부쟁이 꽃피는 가을에는// 어인 일인지 부끄러워진다/ 딱히 죄지은 것도 없는데//아무런 이유 없이 가을에게/ 자꾸만 내가 부끄러워진다>

하늘이 높고 물소리가 맑아지고 깊어지는 가을에는 어인 일인지 부끄러워진다고 고백하고 있어요. 이거야말로 한국적인 정서가 아니겠어요.

또 이 준관 시인은 가을에 사람이 그리울 때면라는 시에서 <가을에 사람이 그리울 때면/ 시골 버스를 탄다/ 시골 버스에서는 /사람 냄새가 난다./ 황토흙 얼굴의 농부들이/ 아픈 소는 다 나았느냐고 /소의 안부를 묻기도 하고,/ 낯모르는 내 손에 /고향 불빛 같은 감을/ 쥐어주기도 한다./ 콩과 팥과 고구마를 담은 보따리를/ 제 자식처럼

품에 꼭 껴안고 가는/ 아주머니의 사투리가 귀에 정겹다./ 창문 밖에는 /꿈 많은 소년처럼 물구나무선 /은행나무가 보이고, /지붕 위 호박덩이

/같은 가을 해가 보인다. /어머니가 싸주는 /따스한 도시락 같은 시골 버스. /사람이 못내 그리울 때면 /문득 낯선 길가에 서서 /버스를 탄다. /하늘과 바람과 낮달을 머리에 이고>

이 얼마나 한국적인지. 우리의 고향 내 속에서 우리의 속 깊이 자르르 흘러드는 우리의 정......시인은 가을에 사람이 그리울 때 하늘과 바람과 낮달을 머리에 이고. 시골 버스를 탄다 고 노래했어요. 그러나 그가 노래한 그런 정경이 지금도 남아 있는지......

시인은 그가 사는 시대를 떠날 수 없지요. 외형적으로 다가오는 사회 상황의 조임에서 몸부림치며 자유와 해방의 꿈을 꾸는 그에게 그의 시는 자연 다른 옷을 입지 않을 수 없겠지요. 쉽게 앞서 갈 수도 또 뒤로 쳐질 수는 결코 없는 시인의 즐거운 운명, 나는 이것을 즐거운 운명이라 부르내요. 이것이 결코 다음에 나오는 나의 졸시의 변명이 아니기를.....

 

종이도 펜도 없이

누가 붉은 몽당연필로 시를 쓴다

거울에 립스틱으로

적는다

굼벵이가 단단한 모래 위를 꿈틀거리듯

거울에는 시가 아닌 시 한 줄

또 한 연, 아득스런 너의 말....

내 속에 잠자던 나비가 눈을 반짝 한다

오래 오래 징그럽게 점잔 빼던

더는 오욕과 거짓에 짓눌려 견디지 못하고

눈을 뜨고 파닥 거린다

 

나비가 내가 되려한다

꽃이 되어 가을 단즙이 되어

아니, 무엇이나 되어 꿈꾸는

 

세상 모든 미움 절판하려한다

 

나비는 수직으로 서서

최후의 유언처럼

사랑, 사랑....... 날개로 적는다

, 바스러진 뼈들이 보송보송

일어나

다시

시작으로

 

돌아간다. (‘거울에 쓰는 붉은 몽당연필곽상희 작)

 

       저의 부끄러움의 시를 달마다 저의 서신 속에 보내는 것은 시를 사랑함이며 인생을 사랑하는 그 사랑임을 말하지 않을 수 없음을, 2000년 전 하나님 아들의 사랑의 육화, 말구유에 오심도 그 겸손한 사랑 탓임을, 그 아름다운 정서 속에 젖어서 11월의 서정을 맑게 가늠하며, 아듀!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86 한통속 강민경 2006.03.25 138
2185 수필 한중 문학도서관 개관 운영계획 김우영 2015.06.04 228
2184 한정식과 디어헌터 서 량 2005.09.10 465
2183 한시 십삼분의 글자 박성춘 2007.11.24 270
2182 한송이 들에 핀 장미 유성룡 2006.07.18 472
2181 한반도의 영역 김우영 2012.11.12 310
2180 시조 한민족독도사관 연구소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03.31 199
2179 수필 한류문학의 휴머니스트 김우영작가 후원회 모임 개최 김우영 2015.06.25 294
2178 한때 즐거움 같이 했으니 강민경 2011.01.26 532
2177 한낮의 정사 성백군 2014.08.24 347
2176 한국전통 혼례복과 한국문화 소개(library 전시) 신 영 2008.06.17 503
2175 기타 한국이 다문화국가 중심 김우영 2014.06.16 393
2174 수필 한국어(동심의 세계)-이용우 미주문협관리자 2016.11.02 251
2173 기타 한국어 사랑하기 김우영 2014.04.21 381
2172 한계령을 위한 연가/문정희 오연희 2016.11.30 261
2171 한겨울 잘 보냈다고/강민경 강민경 2019.04.19 132
2170 한 점 바람 강민경 2015.09.25 259
2169 시조 한 숨결로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04.18 68
2168 한 사람을 위한 고백 천일칠 2005.10.13 256
2167 기타 학우와의 대화 - 한국교육학과 김우영 작가(50대 萬年學徒) 김우영 2014.03.27 63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