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mbnail_윤동주문학상%20문인귀%20수상1.jpg
서울에 잘 다녀왔습니다.
윤동주서시문학상/해외작가특별상 시상식은 예정대로 조계사에서 열렸습니다.
한국의 모임 문화가 4차까지 이어지는 것을 보고 놀랐습니다.
처음 만나는 분들이지만 모두가 오랜 지기 같은 분위기로 좋았으며
저로썬, 분에 넘치는 대접을 받고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릴 수밖에 없습니다.

저의 이번 수상을 축하 해 주시고
형평상 여기에 이름을 밝힐 수는  없지만 축하금 및 후원금까지 보내주신 동인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에게 큰 힘이 되어주었습니다.
또한
때마침 한국 방문중이시던 동인 세분과
한국 상주 유학중인 이곳 문인 두 분 등 반가운 얼굴들을 만날 수 있어서 정말 기뻤습니다.

앞으로 이런 행사가 있을 때는
함께 참여할 수 있는대로 많은 분이 단체로 다녀 오는 일도 좋은 일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기회가 주어진다면
단체로 갈 때는 한국에서 몇 분 좋은 문인들을 연락해서
이야기도 듣고 그곳 문단들과 교분을 갖는 것도 발전을 위해 바람직한 일이 될 것이라 여겨졌습니다.

저의 이번 수상은
저희가 벌이고 있는 일종의 시 운동에 함께 해 주신 시와 사람들 여러분의 영광으로 돌리고자 합니다.
여기, 그날 제가 단상에 나가서 말씀한 수상소감을 올립니다.

계속해서
시와 사람의 정신을 지켜나가며
서로 의지하며 문학활동을 해 나가기를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문인귀 드림


*******

<수상소감>

그분처럼 나는 나를 미워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나는 나를 떠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나는 나를 가엾어 하지도 못했고요, 그래서 또한 그분처럼 나를 그리워하지도 못했습니다. 그러고 보니 나는 그분처럼 나를 버리지 못했고 나는 정말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만 알게 됩니다. 윤동주의 <자화상>을 읽으면 자꾸만 이런 독백을 하게 됩니다. 그러고 나면 더 줄어든 나의 몰골을 마주하게 됩니다. 그런데 윤동주라는 그 이름의 상을 제가 받다니요! 기쁘기도 하지만 부끄럽고 부끄럽습니다.

1968년 봄에 선배의 결혼식에 갔었습니다. 축하를 드리고 나서 작별 인사를 했습니다. 닷새 후면 캐나다로 떠난다고 했더니 선배는 눈을 부라리며 기어코 가는 거냐? 넌 매국노야!” 라고 하더군요. 물론 저를 아껴서 가까이 두고 싶어 그랬을 것입니다. 그런데 그때부터 지금까지 저는 애국가가 울리면 울컥해지는 마음 때문에 제대로 따라 부르질 못하는 반편이가 되어 있습니다.

우리의 모국어는 그런 것 맞습니다. 해외에서 대를 이으며 50년을 살아도, 그보다 많은 100년을 150년을, 혹은 500년을 더 산다 해도 우리의 모국어는 보면 볼수록 더 좋은 어머니이시고, 봉숭아 꽃물들이던 누이들의 웃음소리이고, 서툰 두레박질에서 우물 바닥 물로 떨어지는 찰진 물소리가 다 생생한 모국어이어서, 모국어를 빼놓고는 못 사는 이유입니다. 그래서 끼리끼리 모여 모국어로 속을 쏟아냅니다. 그것이 웃음이어도 좋고 그것이 울음이어도 좋습니다. 우리는 웃음도 울음도 우리나라 말로 해야만 속 시원해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말을 하기 위해 사람들이 모이기 시작했고 <시와 사람들>이란 문패를 달고 지금은 50 여 분들이 두 주에 한 번씩 시 창작에 열을 쏟고 있습니다. 벌써 내 후년이면 20년이 되는 모임으로 어떤 분은 18년을, 15년을, 10년을 함께 하며 시를 쓰고 있습니다. 그 동안 김남조 홍문표 문효치 정효구 정호승 김승희 시인님들을 이곳까지 모셔다가 특강을 받아가며 부족한 점을 메워가며 시를 쓰고 있습니다.

제가 이처럼 귀한 상을 받게 된 것은 이와 같은 일을 함께 하는 동료 시인들, <시와 사람들>이 같이하고 있기 때문이라 여기고 있습니다.

시심의 옥토 화라는 이념을 바탕으로 해서시를 알기 위해, 시를 쓰기 위해, 시를 나누기 위해모여 활동하는 우리들의 시 운동은 해외 동포들의 정서적 안정을 부추겨 댈 것이며 모국의 민족의식을 전수하는 이음새가 되리라 확신합니다. 따라서 해방된 조국은 이제 해외에 정착하고 있는 코리언 디아스포라들을 위해 윤동주시인의 애국애족과 같은 사상이 더욱 필요 하게 될 것이며 그 숭고한 민족주의의 전통을 이어 수 백 만이 넘는 해외동포들의 고국 사랑을 결집시키는신민족주의운동이 반드시 일어날 것이라 여깁니다. 저는 이 일을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며윤동주서시문학상 해외작가 특별상수상자답게 열심히 일 해 나갈 것을 말씀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1 안경라 제2시집 출판기념회에 초대합니다 file 미주문협 2021.10.06 74
760 박휘원-제2회 미주한국소설문학상 수상 file 미주문협 2021.09.15 86
759 한솔문학-타향과 고향을 잇는 징검다리 제 5호 발간 file 미주문협 2021.09.09 50
758 정찬열시인 미주카톨릭문학상 수상 미주문협 2021.09.07 49
757 이송희 시인 황순원문학제 디카시 공모전 수상 file 미주문협 2021.09.03 153
756 초대합니다-신현숙 시집 '생각하는 의자' 출판기념회 file 미주문협 2021.09.02 62
755 이월란시인 재외동포문학상 대상 수상-단편소설부문 [2] file 미주문협 2021.08.30 81
754 민유자 수필집 도란도란 출간 file 미주문협 2021.08.27 29
753 미주문학상 신지혜·전희진 공동 수상 file 미주문협 2021.08.20 55
752 하정아 수필 그레이스 피어리어드-한민족 이산문학 독후감 공모전 추천 책 선정 [2] file 미주문협 2021.08.12 66
751 김호길시집 선물로- 해피서점에서 받으실수 있습니다 [1] file 미주문협 2021.07.22 67
750 이원택 작가-미한변형사전 출간 [1] file 미주문협 2021.07.22 143
749 정찬열 시집 출판기념회가 열립니다 미주문협 2021.07.15 74
748 김준철 시집 출판기념회에 초대합니다 file 미주문협 2021.07.08 371
747 조윤호 한영시집 <무지개를 따라> 출간 file 미주문협 2021.06.29 128
746 부고-박복수 시인 부군 별세 미주문협 2021.06.21 67
745 부고-최선호 목사님이 소천하셨습니다. [1] 미주문협 2021.06.17 96
744 제3회 배정웅문학상에 이장정숙 미주문협 2021.06.14 72
743 한혜영시집 검정사과농장- 세종우수도서 문학나눔에 선정 file 미주문협 2021.06.11 52
742 한국시집박물관 전시회-박인애 시 <어머니 마음> <다시멸치> file 미주문협 2021.06.04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