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08.30 09:28

'여성'에 대한 명상

조회 수 695 추천 수 3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올림픽 기간 중 만난 문단 선배 한 분이 진지한 얼굴로 말했다.
  "자네도 올림픽 중계 보고 있지? 나는 요즘 리듬체조와 수중발레, 다이빙, 비치발리볼 등 여자 선수들이 나오는 경기 보는 재미로 살아. 어쩜 몸매가 그렇게들 좋은지 모르겠어. 특히 리듬체조 선수들은 군살 하나 없이 몸매가 끝내주더만."
  비록 사석에서 농담처럼 한 말이었지만 선배는 우리 나라 선수들의 활약상이나 매달 수에는 별 관심이 없는 듯, 여자 선수들의 아름다운 몸매를 감상하는 즐거움을 만끽하고 있다고 솔직히 털어놓는 것이었다.
  여자 선수들의 복장은 아닌게아니라 남자의 시선을 끌기에 모자람이 없었다. 리듬체조와 수중발레 등 경기종목 가운데 상당수가 여성의 몸매와 동작의 아름다움을 강조한 것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선배의 말을 확대 해석해 본다면 그 많은 여자 선수들은 남자의 눈요깃감이 되기 위해 사시사철 비지땀을 흘리며 연습해온 것이 아닌가?
  광고를 보면 엄청난 수가 여성의 몸을 이용한 것이다. 속옷 선전이라면 당연히 그러해야 하겠지만 여성의 아름다운(혹은 풍만한) 몸을 사진으로 찍어서, 여성의 특정 신체 부위를 노출한 장면을 화면에 담아서 광고하는 상품의 대부분은 여성의 몸과 아무런 관계가 없다. 단지 남자의 눈길을 끌어 광고 효과를 높이겠다는 얄팍한 상술에서 여성의 옷을 벗기는 것이다.
  몇 해 전 미국의 여배우 샤론 스톤이 국내 모 석유회사 윤활유 광고의 모델로 나선 적이 있었다. 지붕 없는 자동차, 즉 스포츠카의 문을 열고서 남자를 유혹하는 강렬한 시선으로 다리를 꼬고 앉아 있는데 사진 위의 문구가 가관이었다.
  "강한 걸로 넣어주세요!"
  이 문구에서 '강한 것'이란 분명히 제품이겠지만(아직까지 운전을 못 배운 나는 '강한 윤활유'의 뜻이 무엇인지 사실상 잘 모른다) 그 광고를 본 남자가 그것만을 생각했을까. 참 떨떠름한 기분이 드는 것이었다.
  오늘날 인터넷을 할 줄 모르는 청소년은 없다. 인터넷 음란 사이트를 본 적이 한 번도 없는 청소년은 거의 없을 것이다. 그 음란 사이트의 모델 중 상당수가 미성년이라고 한다. 즉 집집마다 있는 컴퓨터가 '성'은 어른들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도 해볼 수 있는 것이라는 믿음을 심어주고 있다. 몇몇 어른의 물욕이 성에 대해 한창 호기심이 많은 청소년들을 성범죄자로 내몰고 있는 셈이다. 우리 사회의 성범죄율이 미국을 능가하고 있는 이유는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아직도 낮고, 남성이 여성을 동등한 존재로 생각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 아닐까? 아니면 혹시 여성을 정복의 대상으로 삼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
  유교의 도덕 윤리가 낳은 한자 성어의 수는 끔찍하게 많다. 오랜 세월, 우리 조상은 남존여비(男尊女卑), 여필종부(女必從夫), 부부유별(夫婦有別), 일부종사(一夫從事), 일부종신(一夫終身) 등의 말에 담긴 뜻을 진리로 알고 살아왔다. 아내는 남편을 깍듯이 공경해야 된다는 뜻으로 쓰는 한자 성어는 '거안제미(擧案齊眉)'이다. 남편한테 밥상을 가져갈 때는 자기 눈썹과 가지런히 되도록 공손히 들고 가야 한다는 뜻이니, 이 무슨 성의 차별이며 여성 비하란 말인가.
  이런 식의 차별이 사라진 지 오래인 듯하지만 우리 사회에서는 아직도 여성이 여자로 취급되고 있다. 여식아이는 얌전해야 하고, 아내는 부덕을 발휘해야 하고, 여자 신입사원은 용모가 단정해야 한다. 여자상업고등학교 학생 중 일부는 3학년이 되면 자격증을 따기 위한 공부에는 신경쓰지 않고 성형수술을 받으려고 갖은 노력을 다한다고 한다. 여자가 여성으로 존중받는 사회, 아니 남자와 등등한 인격적 대우를 받은 사회는 언제 이루어질 것인가. 여성이 남성과 신체적 차이는 분명하지만 그것이 차별의 원인이 되어서는 안 된다.

  1. No Image 27Jan
    by 김학
    2005/01/27 by 김학
    Views 520 

    미리 써본 가상 유언장/안세호

  2. No Image 27Jan
    by 천일칠
    2005/01/27 by 천일칠
    Views 473 

    막 작 골

  3. No Image 20Jan
    by 천일칠
    2005/01/20 by 천일칠
    Views 454 

    화 선 지

  4. No Image 25Jan
    by 정진관
    2005/01/25 by 정진관
    Views 1013 

    <도청> 의원 외유

  5. No Image 30Nov
    by 전재욱
    2004/11/30 by 전재욱
    Views 475 

    오늘은 묻지 않고 듣기만 하리

  6. No Image 29Nov
    by J.LB
    2004/11/29 by J.LB
    Views 370 

    유 영철을 사형 시켜서는 안된다!!!<사형제도 폐지>

  7. No Image 29Nov
    by 전재욱
    2004/11/29 by 전재욱
    Views 381 

    작은 창가에만 뜨는 달

  8. No Image 27Nov
    by 이승하
    2004/11/27 by 이승하
    Views 972 

    '신춘문예'를 준비하고 계십니까?

  9. No Image 11Jan
    by 천일칠
    2005/01/11 by 천일칠
    Views 282 

    장 마

  10. No Image 10Jan
    by 천일칠
    2005/01/10 by 천일칠
    Views 255 

    채 송 화

  11. No Image 02Jan
    by 천일칠
    2005/01/02 by 천일칠
    Views 364 

    촛 불

  12. No Image 21Nov
    by 정진관
    2004/11/21 by 정진관
    Views 823 

    정치 시사 소설 <도청>

  13. No Image 04Dec
    by 교도관
    2004/12/04 by 교도관
    Views 361 

    [re] 유 영철을 사형 시켜서는 안된다!!!<사형제도 폐지>

  14. No Image 01Jan
    by 전재욱
    2005/01/01 by 전재욱
    Views 331 

    구어의 방주를 띄우자

  15. No Image 30Dec
    by 천일칠
    2004/12/30 by 천일칠
    Views 275 

    나 팔 꽃

  16. No Image 27Dec
    by 전재욱
    2004/12/27 by 전재욱
    Views 212 

    또 하나의 고별

  17. No Image 08Oct
    by 문인귀
    2004/10/08 by 문인귀
    Views 730 

    나를 찾는 작업은 확고한 시정신에서 비롯한다 - 장태숙 시집 '그곳에 내가 걸려있다'

  18. No Image 08Oct
    by 문인귀
    2004/10/08 by 문인귀
    Views 855 

    과거와 현재를 잇는 메타포의 세월, 그 정체 -최석봉 시집 <하얀 강>

  19. No Image 23Sep
    by 이승하
    2004/09/23 by 이승하
    Views 1018 

    그대의 사랑으로 나는 지금까지 행복하였소

  20. No Image 20Sep
    by 이승하
    2004/09/20 by 이승하
    Views 750 

    30여년 세월의 스승 권태을 선생님께

Board Pagination Prev 1 ...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