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0.18 06:56

일상이 무료 하면

조회 수 357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일상이 무료하면  다가오는 것은
잿빛 하늘에  나폴 나폴 날아오는 무기력 함이다 .

하루가 매일 새롭게 깨어나기를 바라며
눈을 뜨면 담장 울타리에 검은 챙으로 치인
아침이 깨어난다.    

담벼락에 쓰인 누구하고 누구는 물음표가  
눈을 흘기며 처다 본다

동네를 한 바퀴 걸으면
유년도 걸어 나오고

암울하던 학창이 시절
군복에 까만 물들여 입은 미아리가 고개를 넘고 있다

선뜩 내키지 않던 이민 길
공항에서 영어를 몰라서 핫도그만 먹고
죽음과 마주섯던 막내
지금은 두 아이의 엄마가 되어 제몫을 하고

내 이웃들이 하나씩 제집으로 돌아간 것이
수채화로 그려진다.

돌아오는 길에는 담장 안에 갇힌 멍멍개 한몫을 한다고
짖어대는 것이 살아 있음을 아우성으로 오고
문 앞에 이르기 전에 우리에 갇힌 나리 우리가
여기 있다고  정체성을 노크 한다

문화와 습성이 다른 곳에서 정체성은 동화이다
어떻게 익숙하여 닮아 가면서 잘 살 것 인가

실핏줄 툭툭 불거지던 생존에서
튼튼하게 뿌리를 내리는 것이다

옮겨다 심은 가지가
빽빽한 나무 숲 사이에서
빠끔히 얼굴을 내밀 수 있다는 것은 행복이다 .

뜰에 심은 봉숭아 도라지 사이의 흙을 뒤집으면
그 속에도 미물이 살아 있음을 알려온다

일상이 무기력하여  
골목마다 내다 버린 문화를 엿 보고,
뒤쳐 나온 삶을 드려다 보면서
뜰 악의 흙을 뒤집으면 잔잔히 찾아오는 쉼이 있다 .

흙은 우리가 돌아갈 영혼의 쉼터 인 것을 알려 준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89 대청소를 읽고 박성춘 2007.11.21 117
1888 許交 유성룡 2007.11.23 133
1887 한시 십삼분의 글자 박성춘 2007.11.24 276
1886 人生 황숙진 2007.12.01 119
1885 라이팅(Lighting) 성백군 2007.12.06 191
1884 꽃피는 고목 강민경 2007.12.08 243
1883 곳간 성백군 2007.12.13 144
1882 상처를 꿰매는 시인 박성춘 2007.12.14 359
1881 정의 - 상대성이런 박성춘 2007.12.17 191
1880 나는 벽에 누워 잠든다 JamesAhn 2007.12.23 346
1879 들국화 강민경 2007.12.29 188
1878 바람 성백군 2007.12.31 128
1877 한해가 옵니다 김사빈 2008.01.02 111
1876 해 바람 연 박성춘 2008.01.02 186
1875 방파제 성백군 2008.01.06 79
1874 카일루아 해변 강민경 2008.01.06 178
1873 올란드 고추 잠자리 김사빈 2008.01.21 414
1872 이해의 자리에 서 본다는 것은 김사빈 2008.01.23 282
1871 예수님은 외계인? 박성춘 2008.01.27 367
1870 봄은 오려나 유성룡 2008.02.08 152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