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2.18 14:12

화가 뭉크와 함께

조회 수 2312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화가 뭉크와 함께

  이 승 하


  고흐의 그림을 보면 가슴이 뜨거워지고 뭉크의 그림을 보면 눈시울이 뜨거워진다. 뭉크의 [병든 아이]라는 그림을 가만히 들여다보고 있으면 설움과 슬픔이 가슴을 데우고, 서서히, 시야가 흐려진다. [병든 아이]는 석판화도 있고 유화도 있는데 그림이 좀 다르다. 석판화는 아이의 얼굴만 있고 유화는 침대에 앉은 자세로 있는 아이 옆에 한 여인이 고개를 푹 숙이고 있다. 여인은 아이가 죽을 운명임을 알고 있는 것이다.

  뭉크가 다섯 살 때 그의 어머니가 폐결핵으로 사망했다. 그 후 동생 라우나가, 열네 살에는 식구 중 가장 좋아했던 누나 소피에가 같은 병으로 죽어 그는 폐질환에 대한 공포 속에서 내성적이고 감수성이 예민한 소년으로 자라났다. 뭉크는 어렸을 때 기관지염으로 세 번이나 입원해야 했으며 2남 3녀 중 나머지 두 명도 일찍 죽었다. 스스로 "나의 일생은 나의 건강과의 싸움이었습니다"라고 회고한 적이 있는데, 성장기의 뼈아픈 경험은 일생 지워지지 않아 비극적인 제재를 반복해서 그렸을 것이다.

  뭉크는 고통·죽음·불안 등을 테마로 그림을 그렸기에 내면세계가 지극히 어두웠음을 알 수 있다. 흡혈귀가 사람의 목에 이빨을 박고 있고 해골을 껴안고 있는 소녀가 나온다. 강렬한 색채의 사용하고 있지만 그의 그림은 음습하다. 뭉크의 그림을 응시하고 있으면 가슴이 그야말로 뭉크-ㄹ해진다. 생의 가장 밑바닥까지 내려간 자의 신음소리가 들려오는 듯하고, 소리 죽인 울음이 들려오는 듯하다. 그 신음소리와 소리 죽인 울음이 끝내 터져 나오는 자리에 [절규]가 있다.

  대학 3학년 때 '서양미술사' 과목을 들었다. 수업이 하루는 교수님 강의였고, 하루는 그림 감상이었다. 교수님은 슬라이드를 보여주면서 설명을 하셨는데 유파별로 많은 작품을 볼 수 있었다. 내게 가장 강한 인상을 준 화가가 노르웨이의 뭉크였다. 뭉크는 나로 하여금 시 [화가 뭉크와 함께]를 쓰게 했다. 이것이 중앙일보 신춘문예 당선작이 되었고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도 실렸다. 뭉크한테 큰 빚을 진 것이다.  

  그 뒤에 더 많은 빚을 졌다. 타인에게 치이고 세상살이에 지쳐 한없이 서러워질 때 나는 뭉크의 화집을 뒤적인다. 고통의 끝간데에서 불멸의 예술혼을 꽃피운 뭉크를 생각하며 나는 또 새삼 기운을 얻는 것이다. 그는 정신병원에 8개월 동안 입원한 적이 있을 정도로 심신이 약한 사람이었지만 의외로 강한 정신력과 조국애를 갖고 있었다. 나치스가 노르웨이를 점령한 뒤 '미술명예평의회'라는 어용단체에 가입하도록 압력을 넣었지만 그는 이를 끝끝내 거부했다. 나치스가 그의 그림에 퇴폐예술이라는 낙인을 찍고 82점을 몰수한 다음 이런 압력을 넣었음에도 단호히 거부한 용기있는 예술가가 뭉크였다.

  "내가 그리는 것은 숨을 쉬고, 느끼고, 괴로워하고, 사랑하며, 살아 있는 인간이어야 한다." "나는 결혼을 안 했다. 나의 유일한 자식은 그림이다. 그러니 제발 혼자 자유롭게 있도록 내버려달라." 뭉크의 이 말이 나를 나태의 늪에서 건져올린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6 수필 레이니어 산에 가는 길 풍광 savinakim 2016.07.06 512
205 내 가슴에 비 내리는데 강민경 2009.04.13 514
204 늦가을 빗길 / 성백군 2 하늘호수 2022.11.08 514
203 옛날에 금잔디 서 량 2005.11.26 516
202 고래 풀꽃 2004.07.25 517
201 미리 써본 가상 유언장/안세호 김학 2005.01.27 520
200 (동영상시) 나는 시골버스 차장이 되고 싶었다 - I Wanted To Become A Country Bus Conductor 차신재 2015.08.20 524
199 새해에는 김우영 2011.01.10 526
198 삶은 고구마와 달걀 서 량 2005.01.29 527
197 아틀란타로 가자 박성춘 2007.07.21 527
196 가슴으로 읽는 지선이 이야기 김우영 2013.05.13 527
195 잠 못 이룬 밤에 뒤적인 책들 이승하 2008.02.10 527
194 이승하 어머니께 올리는 편지 관리자 2004.07.24 528
193 수필 김우영 작가의 에세이/ 이 눔들이 대통령을 몰라보고 김우영 2013.10.20 528
192 수필 ‘구구탁 예설라(矩矩托 禮說羅)‘ son,yongsang 2017.01.22 528
191 묻지도 말고 쭉- - 나마스테 관리자 2004.07.24 529
190 불경기 성백군 2009.05.04 529
189 한때 즐거움 같이 했으니 강민경 2011.01.26 532
188 내가 사랑하는 소리들 관리자 2004.07.24 534
187 장미에 대한 연정 강민경 2013.12.26 534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