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03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국문학의 병폐에 대하여
                                             글/ 坤當 손홍집



현재 한국 문학은 큰 병폐에 갖혀 있다.

그 이유는 우후죽순처럼 그 문학의 형태가 늘어나는 형태도 있지만,

보다 근원적인 문제는 바로 올바른 문학자를 키우지 못하다는 점이다.

몇몇 뿌리깊은 문학지를 제외한 일반 문학지들은 먼저 작가를 배출하는데 있어

막무가네 식으로 새로운 작가를 추천하는 실정이며,또한 그 이면에는 으례적으로

꼭 책을 무더기로 권하는 버릇이 있다.그것도 사전에 그 뜻을 비쳐준 것이 아니라,

마침내 추천이된 상태에서 마치 감춰둔 비수처럼 그것을 끄집어내어 그 상대의 목을

쇠사슬처럼 얽혀버린 특성이란 참으로 가당치 않은 버릇이란 판단이다.

물론 아직 그 뿌리가 미약하고 또한 독자층도 차츰 시집을 외면하는 데서 그 이유를

찾아볼 수 있지만,어떻든 무리한 짐을 추천된 시인이게 짐어준다는 사실은 참으로

안타까운 실정이라 아니할 수 없다.

시인이 등단하여 첫 발자욱을 남기는 것은 자신에겐 가장 신성한 발자욱이다.

또한 그 미래가 눈부신 발전이 이미 깃들어 있으리란 나름대로의 판단력에 의해

결국 그 문학에 자신의 발을 들였을 것이다.헌데 그런 인물에게 보다 무거운 짐을

지워줌은 과연 올바른 태도일까?

당신이 만약, 스스로 이 땅의 올바른 문학자라면 한번쯤 자신을 반성해 보라!-

나는 과연 올바른 문학의 형태를 추구해가는 길인가-

또한 결코 빗나가지 않기 위해 어떤 행로를 모색해야 할텐가-

그리고 과연 내가 이끈 문학사가 최후의 절명을 맞을 경우 나는 과연 자신의 재산을

모조리 팔아서 그 문학사를 이끌 용기가 갖춰진 상태인가...?

정작 문학이 그 빛을 발하는 시대는 항상 국가가 위기에 빠진 시기이다.그때는 문학이 곧 총과

칼의 역활을하고,동시에 그 문학을 이끄는 자들도 철저한 삶의 희생속에 자신을 이끌어 나간다.

또한 그 발행인은 자신의 모든 재산을 탕진해가며 그 문학의 정신을 꽃피우려고 한다.

현대 문학지 중 뿌리깊은 몇몇 문학지도 역시 큰 병폐를 낳고 있다.특히 시인을 추천하는 인물들의

시각이 너무 미천하여 올바른 그릇을 놓치거나,아님 오직 자신들의 작은 틀에 맞춰서

어떤 인물을 평가하기 때문이다.그것을 가장 확실히 증명해주는 길은 바로 우리 문학사의

금자탑이라 일컫는 신춘문예이다.과연 최근에 신춘문예의 작품 중 올바른 작품이 어딨는가?

시는 마치 쓰레기더미에 널부러진 종이조각의 형태요,소설은 그 형태만 빛난 위치이다.

헌데 그 안에 흐르는 검은 물체를 어느 누가 의심치 않으랴- 어느 인물로부터 신춘문예에

시 한편이 등단하기 위해서는 무려 1500 만원의 돈을 들여한다는 그 말을 듣고 참으로

기가찰 노릇이었다.그리고 스스로 제발 그것이 아니길 속으로 빌었지만,역시 떨칠 수 없는

의문은 그들의 추천된 시에서 잘 드러난 상태기에 아직도 마음은 여전히 식상하기 그지없다!

제발 그것이 아니기를,오 제발!....

아뭏튼 그 속에서 그들과 함께 동조하여 자신의 작은 상을 타고 그에 흡족해 하는 그 군상들의

얼굴을 쳐다보면 나는 갑자기 왈칵하고 구역질이 치솟는 느낌이다- 문득 싸르트르의 소설

[구토]가 떠오른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7 아들의 첫 출근/김재훈 김학 2005.02.03 564
166 흙으로 사람을 - out of earth 박성춘 2011.03.23 564
165 영혼을 담은 글 이승하 2004.08.31 566
164 강과 바다 속을 유영하는 詩魚들 박영호 2007.03.18 566
163 나는 아직도 난산 중입니다 강민경 2011.02.15 566
162 글 욕심에 대하여. 황숙진 2008.09.13 567
161 저 따사로운... 김우영 2011.09.12 567
160 첫사랑의 푸른언덕. 이인범 2007.04.22 572
159 수필 김우영 작가의 (문화산책]물길 막는 낙엽은 되지 말아야 김우영 2014.11.09 576
158 유나의 하루 김사빈 2005.07.04 577
157 부남 면 대소리 뱃사공네 이야기 김사빈 2007.10.06 579
156 여백 채우기 박성춘 2009.04.29 580
155 부부 file 김우영 2009.05.19 583
154 돼지독감 오영근 2009.05.04 583
153 토끼 허리에 지뢰 100만 개 file 장동만 2006.04.08 584
152 봄날 임성규 2009.05.07 585
151 신처용가 황숙진 2007.08.09 588
150 수필 찍소 아줌마 박성춘 2015.05.15 590
149 나는 너를 너무 힘들게 한다 -홍해리 관리자 2004.07.24 597
148 짝사랑 강민경 2009.05.13 597
Board Pagination Prev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