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78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어제 박병근 재판 과정을 지켜보면서 나는 어느 쪽 사람인가 생각 하게 되었다.  일 년을 살아오면서 어떤 부류 사람이었나 생각하게 되었다.
   법정에는 판사가 있고 그 옆에 서기가 기록 하고. 조금 밑의 옆 좌석에는 증인석이 있고,  증인석 옆으로 배심원이 의젓하게 근엄한 표정으로 앉아 있다.
   더 내려오면 검사와 변호사가 앞에 서 있다.  죄인인 피고는 변호사 옆에 앉아 있다.  칸막이가 있고, 일반 시민이 앉아 있는 것이 재판소의 통례이다.  
   우리의 삶이 이런 것이 아닌가 생각 하였다. 우리는 끊임없이 도전 받으며 송사를 받으며, 경쟁하며 살아간다. 오늘의 삶이 도전이고 경쟁이고, 투쟁인 것을 살아가면서 터득하고 , 살아 있는 것이 축복이다. 새벽기도에 오늘 하루 삶을 허락 하신 주님께 감사부터 드린다.
  교회에서 사회에서나 판사 같은 사람이 있다. 또한 끊임없이 검사로서 논고하는 분이 있다. 그리고 구경꾼이 있다. 거기서 느긋이 배심원 노릇 하는 사람도 있다.  사회나 우리 삶은 변호하는 사람은 적은 것이다 .
   이 시대는 자기 PR시대가 되어서 자기를 상품 하지만, 그 사람이 잘못 되었을 때 얼마나 돌아보며 진정한 변호인이 되어 주어 아픔을 공감 하는가 하는 말이다.  
  이 시대는 단절의 시대, 인터넷 시대다.  이 시대에 사는 우리들 다른 사람의 아픔을 알려고도 않고, 알아도 동정을 줄 여유가 없다 . 우리 마음 까지 산업화 되어서, 불이익과 이익을 구분하고 살아가는데, 언제 선한 사마리아 인이 되어 이웃을 돌아 볼 것인가 하는 상념이 왔다.
  죄인으로 앉아 있는 저 작은 체구의 젊은이를 누가 저 자리에 세우고 추방이라는 죄목을 씌우고 추방하려고 하는가. 그 사람은 선고 받은 형을 살았는데도, 자기가 살고 싶은 곳에서 살지 못하도록 추방을 시킬 권한이 있는가.  누가 그런 권리가 있는가 물어 보고 싶다.
   우리가 다 판사가 되어 있었다.   그 사람이 너무 무서워  범죄 할 적에 ,그 사람이 전쟁 공포에 떨고 있을 때, 살려 달라고 아우성을 칠 때. 누가 그 사람을 쳐다보았는가.     우리는 단지 네가 이래서 잘못이고, 네가 이런 것은 하지 말아야 하고. 법을 어겼으니 벌을 받아야 한다고, 당연하게 판시하고 외면하였다.
   그가 몸부림치는 처절한 외로움을, 우리 모두 다 외면하여, 그는 범죄 하기 시작 하였다, 그를 병원에 데려 가서 치료의 길을 열어 주지 못하여, 쫓기듯이 자기를 세상에 내어 줌이 되었다.
   우리가 살아온 한해가 그렇게 살아오지 안했는가 싶다 .
  그리고 적당히 그 사람이 어떻게 되나 하고, 부추기며 즐기는 배심원 노릇을 하지 안했는가 하는 상념이 온다.
  아프리카에는 굶어 죽는다고 하는데 ,어디가 맛이 있는 음식이 있다. 어디가 옷값이 싸다고 몰려다녔던 우리가 아닌가.
    재판소에서 내내 아픈 마음으로 박병근을 쳐다보면서,  저 젊은이 자기가 살 장소도 선택할 수 없는 중죄인이가 하는 생각이 오니 가슴이 저리다 .
   포수의 과녁에 들어 온, 선한 사슴 한 마리가 이슬을 머금고 두려움에 떨고 있다고 생각이 들었다.
   배심원은 젊은 20대에서 30대 사람으로 의젓하게 근엄한 표정으로, 그 한 마리의 사슴을 즐기면서 동작 하나 하나 를 쳐다보고 있었다.
  내가 피고 가 되면 어떤 심정일까. 또한 배심원의 자리에 앉으면 어떤 심정일까 하고 생각하게 되었다. 나도 저런 표정으로 앉아 있겠지,  당당하고 오만하게 군림하고 있겠지. 얼마나 남의 아픔을 알 것인가, 세상을 얼마나 살았다고 저 슬픔을 헤아릴 것인가 하고 배심원을 바라보았다.
    크리스마스가 얼마 남지 안했다.  주님은 낮은 자리에 오신 주님을 생각 하여 보았다. 주님이라면 이 상황을 어떻게 말할까 죄 없는 자가 먼저 돌로 쳐라 하실 것인가.
   그는 19세에 이라크 전쟁 전 최전방에서 임무를 수행하면서 수없이 죽어 가는 동료들 몸통이 떨어지고 ,머리만 남고 , 팔만 남은, 동료들의 처절한 모습을 보면서 왜 안 미칠 것인가 . 이 사람이 집에 돌아와 전쟁 상처를 잊지 못하여 잠도 못자고, 밤 낮 소리 지르다가, 집을 뛰쳐나가 범죄를 하였는데,  법은 그를 병원에 데려 가기 전에 감옥에 집어넣었다. 형을 마치고나면 추방 한다는 것이다.
   한해를 보내면서 얼마나 이웃을 돌아보았나. 얼마나 남의 아픔을 같이 아파하여 보았나. 얼마나 사랑을 베풀었나. 하는 자성이 왔다. 일 년을 살면서 시행착오는 안했는지,
나 때문에 피해 입은 사람은 없는지, 내가 조금만 관심 가져주면 일어설 수 있었는데 외면하지는 안했는지,
   저 젊은이는 사랑 받기를 원했던 것이다. 자기를 이해하여 주기를 원했다. 따뜻이 보듬어 주기를 원했다. 작은 체구에 여자 같은 예쁜 남자, 그가 군인 가서 사선을 넘어 왔다는 것도 안 믿어지고, 범죄 하였다는 것도 믿어 지지 않는다. 수즙은 소년이 남의 앞에 서면 금방 부끄러워 고개를 숙이고 아무 말도 못할 것 같은데 ,
   재판은 아직도 계속 되고  ,검사는 계속 죄를 지적 하고 , 배심원은 느긋이 엔조이 하고 , 변호사는 열심히 변호 하고 있다.
   우리는 구경꾼으로 안타까운 마음으로 바라면 보아야 했다. 이미 포수의 과녁에 들어 있는 저 어린 사슴을 , 우리는 포수가 그 사슴 한 마리를 쏘지 말기를 빌고 빌었다.

  1. No Image 09Jan
    by 유성룡
    2007/01/09 by 유성룡
    Views 247 

    어둠별 외롬에 사모친다

  2. No Image 31Dec
    by 이승하
    2006/12/31 by 이승하
    Views 887 

    새해 새 아침의 작은 선물

  3. No Image 28Dec
    by 박영호
    2006/12/28 by 박영호
    Views 873 

    고대 시학(詩學)을 통해서 본 시의 근원적 이해

  4. No Image 19Dec
    by 김사빈
    2006/12/19 by 김사빈
    Views 421 

    고향에 오니

  5. No Image 19Dec
    by 김사빈
    2006/12/19 by 김사빈
    Views 478 

    포수의 과녁에 들어온 사슴 한 마리

  6. No Image 18Aug
    by 성백군
    2006/08/18 by 성백군
    Views 236 

    밤 손님

  7. No Image 18Aug
    by 성백군
    2006/08/18 by 성백군
    Views 202 

    4 월

  8. No Image 18Aug
    by 강민경
    2006/08/18 by 강민경
    Views 230 

    초석 (礎 石 )

  9. No Image 16Aug
    by 유성룡
    2006/08/16 by 유성룡
    Views 303 

    내 눈은 꽃으로 핀다

  10. No Image 14Aug
    by 박동수
    2006/08/14 by 박동수
    Views 339 

    갈릴리 바다

  11. No Image 13Aug
    by 유성룡
    2006/08/13 by 유성룡
    Views 229 

    사랑한단 말 하기에

  12. No Image 11Aug
    by 강민경
    2006/08/11 by 강민경
    Views 193 

    폭포

  13. 외연外緣

  14. No Image 27Jul
    by 유성룡
    2006/07/27 by 유성룡
    Views 397 

    곤보(困步)

  15. No Image 24Jul
    by 유성룡
    2006/07/24 by 유성룡
    Views 199 

    님의 생각으로

  16. No Image 22Jul
    by 강민경
    2006/07/22 by 강민경
    Views 431 

    물레방아

  17. No Image 19Jul
    by 성백군
    2006/07/19 by 성백군
    Views 236 

    무사고 뉴스

  18. No Image 19Jul
    by 성백군
    2006/07/19 by 성백군
    Views 143 

    봄볕

  19. No Image 19Jul
    by 성백군
    2006/07/19 by 성백군
    Views 213 

    꽃샘바람

  20. No Image 19Jul
    by 이은상
    2006/07/19 by 이은상
    Views 328 

    송어를 낚다

Board Pagination Prev 1 ...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