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호시집.jpg



이성호 시인의 세 번째 시집 '어디로 와서 어디로 가는가'(사진)가 출간됐다.

2002년 두 번째 시집 '내가 나를 두려워하는'을 펴낸 후 15년 만이다.

이 시인은 "산장에서 살며 매일 들락거리는 캠핑카들은 어디서 와서 어디론가 가지만 막상 우리 인생의 가는 목적지를 얼마나 생각하며 살고 있을까하는 의문에서 시작한 시집"이라고 밝혔다.

시집은 '갈대' '달무리 사연' '산안개에 숨겨진 산성' '젖지 않는 마음' 등 4부로 나뉘어 70여 편의 시를 수록하고 있다.


시집 해설에서 최연호 시인은 "그녀의 시문학은 캘리포니아 갈대로부터 시작해 나그네까지 왔다. 아직 갈대밭에 머물러 있다. 여기 모인 시편들은 14년 전 산장에 들어와서 쓴 노년의 시문학을 정리한 새 시집"이라며 "이성호의 갈대는 정호승의 '흔들리지 않는 갈대' 옆에 놓을 만하다. 그녀 스스로 어린 갈대가 되어 강가에 나부끼고 있다. 사막을 살아있게 한다"고 전했다.

이성호 시인은 1988년 '문학사상' 시 부문으로 등단했으며 1989년에는 '문학세계'에서 단편소설로 입선했다. 윤동주 해외동포문학상을 수상했으며 민족시인문학선양회 회장으로 활동하면서 지난 14년간 '윤동주 문학의 밤' 행사를 본인이 운영하는 RV파크에서 개최해 왔다. 저서로는 시집 '캘리포니아 갈대' '내가 나를 두려워하는' 수필집에는 '무궁화호의 김일성커피' '목사 딸이 내 이름인가' '사모님 사랑해요' 장편소설 '아흔아홉 계단' '평양역에 노랑리본을' 소설집 '하얀 꽃피는 엄마의 나라' '엄마 찾아 가는 길' 등이 있다. 지난해에는 영문시집 'Wayfarer'를 출간한 바 있다.

이 시인은 서문을 통해 "두 번째 시집 발간 이후 신문 칼럼과 소설집 등을 출간했지만 15년 동안 컴퓨터에 갇혀 있는 미숙아 '시'들에게 늘 미안했고 시인이라는 호칭도 부끄러웠다"며 "다만 지난 14년간 '윤동주 문학의 밤' 행사를 열어 이국땅에서 민족시인들을 기리는 일을 했다는 것 한가지는 나에게 칭찬하고 싶다. 오랫동안 곁에서 행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를 전하고 싶다"고 밝혔다.



미주중앙일보 2018.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21 제37회 지용제 재외 국민 문학상 수상/ 전희진 시인 file 미주 2024.05.20 59
820 김보경 시집 <대한의 노래> 출판기념회 file 미주문협 2017.11.19 60
819 전달문 시인 1주기 추모행사 미주문협 2018.08.30 60
818 현대시문학 54회 정기총회 / 박영숙영 file 미주 2023.03.25 60
817 ‘댈러스 문학 2006’ 간행 미문이 2006.06.09 61
816 연규호 중편소설-해부학실습실의 촛불데모 출간 file 미주문협 2022.09.05 61
815 이향이&화박지현 출판기념회 file 미주 2023.11.26 61
814 부고/손용상 작가 소천 [1] file 미주 2024.01.09 61
813 이언호 소설집 & 수필집 출판기념회 file 미주문협 2017.05.22 62
812 엔젤라 정 시인, 제 24회 에피포도 문학상 수상 미주문협 2020.09.20 62
811 손홍규 소설가의 "단편소설 완성하기" 줌 강의 미주문협 2020.11.04 62
810 조윤호 시인 영국국제시인 경연 한인선정 [1] 미주문협 2022.06.06 62
809 초대합니다-신현숙 시집 '생각하는 의자' 출판기념회 file 미주문협 2021.09.02 62
808 임혜신 시인- 해외동주작가상 수상 [1] file 미주문협 2021.10.08 62
807 박인애 수필집 '인애, 마법의 꽃을 만나다'출간 file 미주문협 2017.03.03 63
806 부고-김미희 시인 모친상 file 미주문협 2017.02.27 63
805 '오레곤문학' 제9호 출간 file 관리자_미문이 2011.06.18 64
» 이성호 시집 출간-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1] file 미주문협 2018.02.03 64
803 최미자 네번째 수필집 북사인회-날아라 부겐빌리아 꽃잎아Ⅱ file 미주문협 2022.08.03 64
802 이윤홍.고대진 작가-미주가톨릭 문학상 수상 file 미주문협 2022.09.12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