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60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흠 있는 그대로를 사랑하노라      
      
  
      
  
  전체기사 | 종합 | 사회 | 정치 | 경제 | 문화 | 교육| 지역 | 스포츠 | 포토뉴스 | 주말 愛 | TV가이드&연예   최종편집 : 5.15 수 21:53      




홈 > 뉴스 > 기획연재 | 김우영의 에세이  
            


흠 있는 그대로를 사랑하노라  
김우영의 에세이-우리말 나들이
  
2013년 05월 15일 (수)  김우영 <작가. 한국문인협회>  webmaster@cctimes.kr  


    
  
    
  
김우영 <작가. 한국문인협회>

언제인가 미국 대통령 후보 선두 주자로 달리던 모 상원 의원이 미모의 모델과 섹스 스캔들로 정치 일선에서 하차한 일이 있었다.

이 문제로 미국의 조야가 술렁였다. 미국의 대통령이라 함은 단순히 자국 내의 최고 통치자로서 뿐 아니라 자유 민주주의 진영의 대변인이 되어 세계적 인물로 부상하는 까닭에 더욱 이목의 초점이 되는 것 같다.

사회적 윤리 측면에서 불성실한 정치인은 지도자의 자격이 없다고 거침없이 몰아붙이는 미국의 높은 의식 구조에 박수를 보내고 싶다. 이런 섹스 스캔들을 벌인 당사자에게 일차적인 책임이 있음은 사실이지만 그러한 자신의 잘못을 기자 회견을 자청하여 이렇게 말했다.

“미안합니다. 순전히 실수였습니다. 정치 일선에선 물러나겠습니다. 나도 한 인간이고 남자이기에 실수를 저질렀습니다. 미안합니다.”

솔직히 시인하는 그의 신사적인 매너와, 그들 사회만이 갖는 지적 포용력에 실로 경이를 느낀다. 아메리카 대륙 민족의 호방한 멋이 넓은 캘리포니아 대평원에서 피어나지 않았나 생각된다.

우리 사회에 그러한 사건을 옮겨 가정하여 본다. 우리 사회의 정치인이나 지도층이라면 어떻게 할까? 아마도 적당한 이유와 궁색한 변명으로 부인 내지는 합리화시켜 어떻게 하면 그 순간을 넘겨 자신의 위치를 지킬까 고심하는 비겁자가 많을 것이다.

이른바 ‘눈 가리고 아웅’하는 일이 비일비재 했던 탓에 이런 짐작을 하게 된다.

영국이 낳은 위대한 시인 바이런은 ‘스스로 부족함을 아는 것이 배움의 첫 걸음이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조국의 연안을 떠나며 이렇게 읊었다.

“나는 영국을 사랑하노라, 온갖 흠 있는 그대로를!”

인간이란 어쩌면 미완의 인격이어서 잘못을 하며 사는 게 당연할 지 모른다.

그러나 고등동물인 인간은 가정과 사회에서 생활 및 교육을 통해 자신의 잘못에 대해 어떻게든 변명하고 모면하려 든다.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겸연쩍고 미안하다는 것은 그 만큼 그 사람의 마음속엔 인간만이 갖는 순수한 양심과 도덕적 기준이 살아 있다는 증거다.

부족하면 부족한 대로 못나면 못난대로 자신을 인정하고 앞으로는 참고하여 잘 하겠다는 솔직한 진실성은 인간만이 갖는 멋이다.

서구 사조에 젖은 미국인들은 지도자를 보는 시각이 엄격한 것 같다.

“미국인들은 순수한 보이스카웃과 같은 도덕적 인물만이 공직에 오르는 것을 원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위대한 지도자들은 보이스카웃도 아니고 선악을 모두 지닌 야누스적인 사람들이다.”

논리적 오류를 정의한다. 그만큼 미국이라는 거대한 사회는 긍정과 비판이 어우러져 민주주의의 꽃을 피운다. 격의 없는 그들의 용기와 매너, 이는 아메리카 대륙의 신사만이 할 수 있는 호방한 멋인가 싶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67 스승의 날이면 생각나는 선생님 이승하 2008.05.14 257
666 내다심은 행운목 성백군 2014.03.15 257
665 아내의 요리 솜씨 / 성백군 하늘호수 2020.12.30 257
664 미국 제비 1 유진왕 2021.07.30 257
663 아침에 나선 산책 길에 김사빈 2005.05.04 258
662 사랑의 진실 유성룡 2008.03.28 258
661 새들도 방황을 강민경 2016.08.24 258
660 산(山) 속(中) 천일칠 2005.04.04 259
659 년말 성백군 2005.12.19 259
658 그렇게 그때 교태를 서 량 2005.09.19 260
» 흠 있는 그대로를 사랑하노라 김우영 2013.05.15 260
656 산국화 유성룡 2007.11.14 260
655 이 거리를 생각 하세요 강민경 2008.07.25 260
654 고사목(告祀木), 당산나무 하늘호수 2015.07.27 260
653 한 점 바람 강민경 2015.09.25 260
652 비치와 산(Diamond Head) / 필재 김원각 泌縡 2019.06.11 260
651 눈물의 배경 강민경 2013.09.29 261
650 단풍 한 잎, 한 잎 강민경 2013.11.23 261
649 한계령을 위한 연가/문정희 오연희 2016.11.30 261
648 [가슴으로 본 독도] / 松花 김윤자 김윤자 2005.05.11 262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