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자시집.jpg

2017년 1월 27일 출간

1498832520-85.jpg


뉴욕일보 문화면에 5년여 동안 한국의 명시를 소개하는 <시와 인생>을 연재하며, 뉴저지에서 ‘붉은 작업실 문학교실’을 운영해온 재미 시인 김은자(59) 씨가 세번째 시집 ‘비대칭으로 말하기’(현대시학)를 출간했다.


김 시인이 6년 만에 선보이는 것으로 표제작 ‘비대칭으로 말하기’를 비롯해 ‘폐염전’ ‘슬픈 아젠다’ ‘차가운 마시멜로’ ‘갈비뼈’ 등 67편의 시가 담겨있다. 

 

문학평론가 박남희 씨는 김시인에 대해 “‘호명’과 ‘침묵’ 사이에 존재하며 뿌리를 아이러니에 두고 있어서 반어와 역설의 어법이 돋보이는 시”라고 평했다. 

 

공광규 시인은 “몸에 대한 비유와 삶에 대한 보편적 원리를 형상화했고, ‘인간은 신의 악기, 바닷과 폐염전의 소금창고는 아이를 순산하고 버려진 여인, 결혼은 짐에 관한 계약서’ 등 비유가 두드러진 시”라고 평가했다

 

김은자 시인은 “2년 전 어머니를 여의면서 슬픔의 시간을 견디기 위해 혼신을 기울여 시를 썼다”며 “‘비대칭으로 말하기’는 슬픔을 침묵과 무표정 등으로 드러내고 기쁨조차도 슬픔의 일부가 되어버린 현대인들의 아이러니를 노래한 내용”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모국어로 시를 쓰면서 해외에 거주한다는 것은 자유롭고 다양하고 낯설고 치열한 글을 쓸 수 있는 원동력이지만 이민이라는 애달픔이 아니라 삶의 보편성과 본질을 탐구하는 시를 추구한다”고 덧붙였다. 

 

1982년에 미국으로 이민 온 김시인은 2004년 월간 시문학과 미주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돼 등단했고, ‘재외동포문학상’ 시 부문 대상(2005), 윤동주 해외문학상(2011), 한국방송 신춘문예 시 부문 당선(2015) 등을 수상했다. 

 

시집으로는 ‘외발노루의 춤’ ‘붉은작업실’이 있고, 시선집 ‘청춘, 그 포스트 모더니즘이여’와 산문집 ‘슬픔은 발끝부터 물들어온다’ 등을 펴냈다.

 

6년째 열고 있는 문학교실을 통해 제자들이 수필가와 시인으로 여러 등단하기도 했고, ‘시쿵’ 프로에서 한국의 명시를 영어로 소개하는 등 한국 문학의 저변을 넓히는 데 앞장서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4 손용상 소설집-원시의 춤 file 미주문협 2020.04.17 208
243 이만 삼천 일의 이야기 file 미주문협 웹도우미 2014.06.05 209
242 김영교 수필집-물처럼 바람처럼 file 미주문협 2021.10.18 209
241 미주 한국소설 file 관리자_미문이 2011.11.06 211
240 뿌리와 날개 file 관리자_미문이 2012.09.04 213
239 <문학세계> 제 16호 file 미문이 2005.01.18 214
238 이성숙 수필집-보라와 탱고를 file 미주문협 2019.08.04 214
237 기영주 시집-사막의 염소 file 미주문협관리자 2016.11.24 217
236 이정길 수필집 '평일에는 놀고 주말에는 쉬고' file 미주문협 2017.04.24 217
235 노스캐롤라이나의 밤 file 미주문협 웹도우미 2013.09.04 219
234 <사랑별에서온 아이> 오디오 북 선정 / 이정순 동화작가 file 미주 2023.10.22 220
233 김경년 한영시집-시력검사 file 미주문협 2018.01.15 221
232 『그린 힐 언덕 위에』출간 / 박유니스 수필가 file 미주 2024.04.16 222
231 유봉희 선생님 유고집『왼손의 드레』 [1] file 미주 2023.09.29 222
230 엄마되어 엄마에게 file 미주문협 웹도우미 2014.10.11 224
229 한국 위안부 주제 장르별 창작 문집 file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5 225
228 강신용 수필집 '3초의 미학' file 미주문협 2017.03.06 225
227 함께 있어 우리는 행복합니다 file 미문이 2006.08.01 226
226 김영강 소설집-무지개 사라진 자리 [1] file 미주문협 2019.08.19 226
225 『그리움 뿌리에 보듬고』 이초혜시조집 file 미주 2024.01.10 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