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자시집.jpg

2017년 1월 27일 출간

1498832520-85.jpg


뉴욕일보 문화면에 5년여 동안 한국의 명시를 소개하는 <시와 인생>을 연재하며, 뉴저지에서 ‘붉은 작업실 문학교실’을 운영해온 재미 시인 김은자(59) 씨가 세번째 시집 ‘비대칭으로 말하기’(현대시학)를 출간했다.


김 시인이 6년 만에 선보이는 것으로 표제작 ‘비대칭으로 말하기’를 비롯해 ‘폐염전’ ‘슬픈 아젠다’ ‘차가운 마시멜로’ ‘갈비뼈’ 등 67편의 시가 담겨있다. 

 

문학평론가 박남희 씨는 김시인에 대해 “‘호명’과 ‘침묵’ 사이에 존재하며 뿌리를 아이러니에 두고 있어서 반어와 역설의 어법이 돋보이는 시”라고 평했다. 

 

공광규 시인은 “몸에 대한 비유와 삶에 대한 보편적 원리를 형상화했고, ‘인간은 신의 악기, 바닷과 폐염전의 소금창고는 아이를 순산하고 버려진 여인, 결혼은 짐에 관한 계약서’ 등 비유가 두드러진 시”라고 평가했다

 

김은자 시인은 “2년 전 어머니를 여의면서 슬픔의 시간을 견디기 위해 혼신을 기울여 시를 썼다”며 “‘비대칭으로 말하기’는 슬픔을 침묵과 무표정 등으로 드러내고 기쁨조차도 슬픔의 일부가 되어버린 현대인들의 아이러니를 노래한 내용”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모국어로 시를 쓰면서 해외에 거주한다는 것은 자유롭고 다양하고 낯설고 치열한 글을 쓸 수 있는 원동력이지만 이민이라는 애달픔이 아니라 삶의 보편성과 본질을 탐구하는 시를 추구한다”고 덧붙였다. 

 

1982년에 미국으로 이민 온 김시인은 2004년 월간 시문학과 미주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돼 등단했고, ‘재외동포문학상’ 시 부문 대상(2005), 윤동주 해외문학상(2011), 한국방송 신춘문예 시 부문 당선(2015) 등을 수상했다. 

 

시집으로는 ‘외발노루의 춤’ ‘붉은작업실’이 있고, 시선집 ‘청춘, 그 포스트 모더니즘이여’와 산문집 ‘슬픔은 발끝부터 물들어온다’ 등을 펴냈다.

 

6년째 열고 있는 문학교실을 통해 제자들이 수필가와 시인으로 여러 등단하기도 했고, ‘시쿵’ 프로에서 한국의 명시를 영어로 소개하는 등 한국 문학의 저변을 넓히는 데 앞장서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두고 떠나는 연습 file 미문이 2005.04.09 236
363 <미주문학> 2005년 봄호 file 미문이 2005.04.16 146
362 문학의 숲과 나무 file 미문이 2005.04.29 227
361 소금 화석 file 미문이 2005.05.09 158
360 환한 그리움에 file 미문이 2005.05.15 189
359 어제는 나를 찾아 강물이 되고 file 미문이 2005.05.21 175
358 섬마을 선생과 피아노 file 미문이 2005.05.29 321
357 내 안의 바다 file 미문이 2005.06.05 182
356 점 하나 굴러간 자리 file 미문이 2005.06.19 143
355 CHEYENNE file 미문이 2005.07.04 107
354 하얀 강 file 미문이 2005.07.12 170
353 미주시인 창간호 file 미문이 2005.07.23 185
352 글마루 2005 file 미문이 2005.07.27 131
351 <오렌지 문학> 제2호 file 미문이 2005.08.12 154
350 고요 속의 파문 file 미문이 2005.08.21 163
349 인간의 마을에 밤이 온다 file 미문이 2005.08.28 271
348 바하사막 밀밭에 서서 file 미문이 2005.09.04 171
347 재미수필 제6집 file 미문이 2005.09.11 137
346 프리즘 속에 든 새들 file 미문이 2005.09.20 198
345 고뇌하는 당신 file 미문이 2005.10.03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