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2.28 05:24

대지

조회 수 23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대지



                      유성룡




섬은
大志를 향한
독학이다.

유상한 것 같으면서도
무상한 부모와 자식같은
신실(信實)한 부부의 일상의 탈출같은
소일(消日)하는 새장의 농중조(籠中鳥)
너와 나같은
단 한번만의 부정한 그 꿈을 이루기 위하여
하늘을 우러러 방긋한 치자다소(癡者多笑)
심해(深海) 저면(底面)의 자리한 근성(根性)이다.





농중조(籠中鳥):새장에 기르는 새. 자유 없는 신세의 비유.

치자다소(痴者多笑): 어리석은 사람은 웃을 만하지 않은 데에도 웃기를 잘한다는 뜻.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29 독도의용수비대원 33인의 아버지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07.17 203
1828 건투를 비네 1 유진왕 2021.07.17 233
1827 그저 경외로울 뿐 1 file 유진왕 2021.07.17 74
1826 시조 그-먼 돌섬에는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07.16 159
1825 변곡점 1 file 유진왕 2021.07.16 119
1824 복숭아 거시기 1 유진왕 2021.07.16 95
1823 시조 잠시 쉬는 동안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07.15 113
1822 천국 방언 1 유진왕 2021.07.15 153
1821 미얀마 1 file 유진왕 2021.07.15 87
1820 시조 넝쿨손이 울타리를 만날 때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07.14 164
1819 크리스마스 선물 1 file 유진왕 2021.07.14 116
1818 꽃보다 체리 1 file 유진왕 2021.07.14 172
1817 미개한 집착 1 유진왕 2021.07.13 173
1816 고향 흉내 1 유진왕 2021.07.13 86
1815 물거울 / 성백군 1 하늘호수 2021.07.13 122
1814 시조 노래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07.13 124
1813 시조 가슴은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07.12 143
1812 시조 열림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07.11 72
1811 시조 간간이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07.10 103
1810 시조 <제30회 나래시조문학상 심사평> file 독도시인 2021.07.09 288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