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95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N 선생과 성추행과 노벨문학상


근간 유명 문인 EN 씨와 여타 문화 교육 법조 정치인 등 사회 전반 끗발인사들의 성추행 사건과 관련한, 이른바 미투운동으로 세상이 여간 시끄럽지 않다. 그들은 그야말로 뿌리 조심안하다가 순식간에 얼굴에 오지게 오물을 덮어쓰고 전전긍긍이다. 한 연예인은 팔려 스스로 목도 매달았다.

 

허나, 딴 물건들이야 그렇다 치더라도 그중 EN 선생은 필자와도 제법 인연이 있었던 양반이라 마음이 착잡하다. 왜냐면 젊었던 시절, 주변의 모모하던 사람들과 어울려 청진동 골목에서 그 양반과 얼려 가끔 술자리도 같이 했었기에, 그리고 그의 기행(?)이 가끔 도를 넘는 일을 실제로 보았기 때문이다. 그때는 주로 입담으로 19금의 Y담이 주제였기에 솔직히 그 자리에 참석한 남녀 누구도 그것이 성희롱이라고 생각한 적이 없었다. 미안치만, 그냥 함께 킬킬거렸다. 그러나 좀 걸걸한 원로 C여사 같은 분은 패설(悖說)이 도를 넘으면 , 땡초(그이의 승명이 일초였다), 입 못 닫아? 확 찢어버릴라하며 야단을 치곤했다. 그러면 사람들은 문단 원로인 그분의 한 마디에 찔끔해서 웃음을 멈추곤 했었다. 말하자면 자리에 어른이 있었기에 더 이상의 말썽이 없지 않았을까 싶다.

 

헌데, 그 후 EN선생 자신이 어른(?)이 되고, 특히 문학보다는 정치꾼으로 앞장서 나대기 시작하고부터는 일탈(逸脫)이 좀 더 심해지지 않았었나 싶다. 더구나 소위 노벨상에 입맛을 다시며 나름대로 노력을 했는데도 잘 풀리진 않았고, 또한 당초 본인의 심성과는 거리가 멀면서도, 속물적 출세를 위해 뛰어든 정치판 이념 갈등에 대한 심리적인 스트레스도 심했을 것이다. 그래서 술을 마시면 엉뚱하게 애매한 문단 여 제자들에게 전가되지 않았나 싶기도 하다. 마치 교수직에 있는 학자들이 편한 친구들끼리 술을 마시면 가끔 개 막나니짓을 마다하지 않듯이...그에게 문단은 친정이니까. 하지만 이번엔 아무도 편들어주지 읺았다. 노벨 문학상? 금번에 누군가가 염병하네. 그거 뭐 자위문학상이여? 문학이 무슨 성추행 뒷물인가하고 통렬하게 비꼬았다.

 

언젠가 소설가 김영하는 한 방송 토크쇼에서 노벨문학상에 대한 감상을 점잖게 이렇게 정리했다. “우리나라에는 왜 노벨 문학상 수상자가 없는가. 이제 그런 말 그만할 때도 됐는데...우리나라가 경제적으로 어느 정도 발전하다 보니 지적으로도 세계의 시선을 끌었으면 좋겠는데...그게 뭘까 생각다보니 가장 만만하게 뵈는 게 노벨문학상인거에요. 한국 작가들이 올림픽 금메달 따는 것처럼 따오면 좋을 텐데 하는 거죠. 그런데 문학은 무대 위의 유희나 스포츠 경쟁의 도구가 아니거든요. 메달을 따기 위해 글을 쓰는 작가는 없어요했다.

 

솔직히 한글 독자를 우리 글로 감동시키는 것도 어려운 일이다. 정서란 언어에서 시작되는데, 이 언어는 인간이 세계와 마주하는 창문이기 때문이다. 하물며 유럽 중심의 언어관을 가진 세계인을 겨냥해 한국어 시 몇 줄로 로 감동시키는 일은 어렵다. 그들의 보편적 가치란 것은 한국의 정서와 다르기 때문이다. 창문의 모양과 색이 다르면 보이는 풍경이 달라지기 마련이 아닌가.

 

김영하의 말이 이어진다. 매년 노벨 문학상 후보에 오르내리는 고은의 시 번역을 보면 그 괴리가 두드러진다. 고은의 어느 전기란 시를 소개한다.


밤은 나의 조국이었다 / 그런 밤에 금지된 모국어가 / 아무도 몰래 잠든 몸속에서 두런거렸다 / 해방이 왔다 / 모국어가 찬란했다를 영어로 다음과 같이 번역했다.

“night was my fatherland / In those nights my forbidden mother tongue/ murmured, unnoticed by any, inside my sleeping body / Liberation came/ My mother tongue was splendid.”

 

그는 "글쎄...형편없는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고은의 문장에서 여운처럼 남는 힘이 번역본에서는 실종됐다"고 말했다.

 

번역도 하나의 창작이다. 한국어의 문장 세계가 다른 언어의 시스템 안에서 바뀌는 과정에서 하나의 새로운 작품이 탄생한다. 김영하는 이제 우리나라가 이 정도 성장했으면 해외 문학상에 연연하지 말고 문학 자체를 즐겼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렇다. 이제는 문학상을 위한 문학이 아니라 그냥 문학을 즐기자. 그리고 우선 더 많은 책을 읽자. 찾아보면 정말 좋은 작가와 작품이 많다. 더하여 꾸준히 쓰자. 좋은 작가의 작품은 하나의 멋진 소우주다. 개별적인 소우주가 한데 모이면 나의 세계가 넓어진다. 내 세계가 넓어지면 문학상은 자연히 따라온다. *

  • ?
    오연희 2018.03.15 03:17

    글이 마음에 와 닿네요.
    특히 '좋은 작가의 작품은 하나의 멋진 소우주다.' 공감합니다.^^

  • ?
    하늘호수 2018.03.15 13:29
    "좋은 작가의 작품은 하나의 멋진 소우주다
    개별적인 소우주가 한데 모이면......."
    편안하시지요? 공감입니다. 잘 보았습니다
  • ?
    son,yongsang 2018.03.16 08:02
    오연희 님, 성선생님 다들 건녕하시지요? 요즘 세상이 何 愁傷해 속이 부글거리다 그냥 객쩍은 소리 한마디 했습니다. 이뿌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늘 건강 빕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27 품위 유지비 김사빈 2005.12.05 606
2126 중년의 가슴에 2월이 오면-이채 오연희 2016.02.01 606
2125 동그라미 성백군 2009.07.07 603
2124 사목(死木)에는 성백군 2009.06.19 602
2123 박영숙영 " 어제의 사랑은 죽지를 않고 ㅡ작품해설(2) 박영숙영 2011.07.04 601
2122 피아노 치는 여자*에게 서 량 2005.06.22 598
2121 나는 너를 너무 힘들게 한다 -홍해리 관리자 2004.07.24 597
2120 짝사랑 강민경 2009.05.13 597
2119 수필 참 좋은 인연을 위하여 2 son,yongsang 2015.12.20 597
2118 수필 찍소 아줌마 박성춘 2015.05.15 590
2117 신처용가 황숙진 2007.08.09 588
2116 봄날 임성규 2009.05.07 585
2115 토끼 허리에 지뢰 100만 개 file 장동만 2006.04.08 584
2114 부부 file 김우영 2009.05.19 583
2113 돼지독감 오영근 2009.05.04 583
2112 여백 채우기 박성춘 2009.04.29 580
2111 부남 면 대소리 뱃사공네 이야기 김사빈 2007.10.06 579
2110 유나의 하루 김사빈 2005.07.04 577
2109 수필 김우영 작가의 (문화산책]물길 막는 낙엽은 되지 말아야 김우영 2014.11.09 576
2108 첫사랑의 푸른언덕. 이인범 2007.04.22 572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