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4.25 16:09

흔들리는 집 2

조회 수 353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흔들리는 집 2


                                                                                                                                                                                                                   이 월란
  




흔들리는 물 위를 사는 배 안엔 어디에나 튼실한 손잡이가 있었다. 어느 평면이나 끝은 모두 돋을새김의 라인으로 마무리가 되어 있었고 사방이 모두 손잡이로 연결이 된 벽이었으며 공간이었다. 식탁의 물잔 속에 잔물결 하나 일지 않는 매끈한 운항이었지만 워낙 몸체가 커서 그런지 동선이 끝이 난 다음에야 내가 전체적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었음을 깨닫곤 했었다. 선실 복도를 걷자면 살짝 취한 주정꾼의 귀여운 갈지자 걸음이 느린 사선으로 이어져 웃곤 했었다.



고의적인 어지럼증을 새삼 되새김질 하는 느낌으로 견디다 몸을 누이면, 그제서야 선창 아래 파도가 슬며시 말을 걸어 왔다. 몸속의 뼈들이 모두 푸른 너울이 되어 우뭇가사리처럼 흐물흐물 녹아내리면 파도가 슬며시 올라와 몸을 섞었고 내장들이 은근슬쩍 자리를 바꾸는 묘한 쾌감이었다. 단단한 땅 위에서도 우린 자주 속이 뒤틀려 간이 붓는다든가, 쓸개가 빠져버린다든가, 오장육부가 뒤집히는 삶의 멀미를 자주 느껴오지 않았던가.
  


동전만한 멀미 방지용 살색 패치를 귓불 뒤에 붙이고 승선하듯 가슴 한귀퉁이쯤에 멀미 방지용 파스 하나쯤은 붙여두어야 하지 않았던가. 어느 순간 우리가 발디딘 대지가 약간 기울어져 있음을, 그래서 우린 지금도 미끄러져 내리고 있음을 인정해야 했고, 흔들림을 멈출 수 없는 이 생의 공간에서도 손잡이가 필요했음을 넘어지고 나서야 깨닫지 않았던가. 끝없는 욕망에 끝을 맺어야 하는, 영원을 갈구하는 두 손으로, 시간의 한계 위를 외줄처럼 타는 우리에게도 저 십자가같은 손잡이 하나쯤 걸어두어야 했음을. 하선하는 그 날을 위해.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6 방하 1 file 유진왕 2021.08.01 112
525 겨울 초병 / 성백군 하늘호수 2020.01.21 112
524 내 길로 가던 날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2.03.20 112
523 시조 독도 -춤사위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07.21 112
522 홍시-2 / 성백군 하늘호수 2024.04.30 112
521 눈망울 유성룡 2007.11.05 111
520 휴양지 김우영 2012.05.16 111
519 공존이란?/강민경 강민경 2018.08.25 111
518 고난 덕에 강민경 2017.01.02 111
517 햇빛 꽃피웠다 봐라 강민경 2017.01.23 111
516 시조 독도獨島-너는 장군이다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07.31 111
515 시조 지는 꽃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01.29 111
514 4월 꽃바람 / 성백군 하늘호수 2020.04.28 111
513 가을, 물들이기 / 성백군 하늘호수 2020.11.10 111
512 시조 노래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07.13 111
511 시조 비탈진 삶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2.02.19 111
510 방파제 강민경 2007.03.19 110
509 침략자 이월란 2008.04.20 110
508 시조 짓밟히더니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06.30 110
507 나는 시를 잘 알지 못합니다 file 유진왕 2022.07.05 110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