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세 쌍둥이 難産, 보람으로 이룬 한 해!













안녕하세요.



올 한 해가 저울추 기울듯 서편으로 저물어 갑니다. 남은 며칠 잘 마무리하시고 새해에는 하시는 일의 소원성취와 가내 다복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올 해 저에게 노력으로 일군 보람의 해라고 생각합니다. 그간 하고자 했던 저서 ‘한국어 이야기’ ‘내 손을 잡아줘’ ‘작가가 만난 사람들’ 등 세 쌍둥이를 동시에 출간 총29권 저서를 보유하는 기록을 세웠습니다. 주변에서 뜻 깊은 일이니 출판기념회를 하자고 하여 아래와 같이 순회행사를 하였습니다.



  

  




            연구서-한국어 이야기/ 꽁트집-내 손을 잡아줘/작품해설집-작가가 만난 사람들

  

1. 제1회 출판기념회 : 2011.11.26.(토)대전삼성뮤직클럽

     - 저서에 수록된 81명의 국내외 필진과 만남의 장

2. 제2회 출판기념회 : 2011.12.9.(금)대전연정국악원

     - 대전, 충청 중부권 독자와 지인 초청

3. 제3회 출판기념회 : 2011.12.21.(수)서울 인사동 바람부는 섬

     - 서울 경기 및 전국의 독자와 지인 초청

  


이번에 '한국어 이야기'를 비롯하여 책3권을 출간하였더니 긱종 신문과 방송사에서 보도를 하여주었습니다. KBS-1TV ‘아침마당’ 프로그램과 대전 MBC 라디오 ‘토요일에 만난 사람’ . KBS-1라디오 '947 전망대' 등의 프로그램에서 방송을 해주셨습니다.





또한 연합뉴스, 대전투데이, 중도일보, 금강일보, 디트뉴스, 충청타임즈, 충청매거진, 충청신문, 남원포유, 서천신문, 한국문학신문, 북 라이프 잡지를 비롯하여 네이버, 다음넷, 야후 등 각종 인터넷 포털사이트 등에서 머리기사로 대서특필하여 주었습니다. 이 기회에 언론 방송사에 감사 드립니다.




한 번에 세 쌍둥이를 난산했으니 제3회에 순회 출판기념회를 해야 하다는 주위의 의견에 따라 대전과 서울 등지에서 순회 출판기념회를 하면서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소중한 사람들과 만나는 아름다운 자리가 되었어요.

  

돌이켜보면 중학생 때 습작삼아 쓴 시 ‘길’을 따라 그간 걸어온 것 같아요.




//길/ 너의 길은 어드메서 시작하며/ 길 너의 길은 어드메로 가는지/ 말하여다오/ 말하여 다오/ 길/ 나는 오늘도 / 너를 따라/길을 나선다.//

  

이렇게 시작하여 걸어온 ‘문예작가’의 길이 명예나 돈이 되는 것도 아닌데도 힘들고 외로운 이 길을 20여년이 넘도록 오늘도 걸어가고 있습니다. 아마도 이 길은 제가 이 땅을 떠날 때 까지는 계속되지나 않을까 합니다.

  

저 유명한 프랑의 거장 화가 ‘파불로 피카소’는 임종을 하는 순간에도 평소 좋아하던 술을 생각하며 ‘Drink To Me(나에게 술을 다오)병상에서 외쳤다고 합니다.

  

저도 아름답고 행복한 이 세상을 떠날 때 이렇게 말 할 것 같아요.

  

“나에게 펜과 원고지를 다오. 그리고 내가 죽으면 묘비석에 이렇게 새겨다오. ‘한 세상 풍미하며 멋지게 살다간 나은 작가 여기 잠들다. 쉿? 이 앞을 지날 때는 조용히 지나라. 모처럼 잠든 이 사람 잘 깰라!’ ”

  

평소 부족한 저에게 지도편달하여 주시고 아껴주신 덕분에 이번 행사 잘 마친 점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내내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고맙습니다.

  

                                     2011.12.22.

  

               우리나라 너른땅 한밭벌 문인산방에서


                        나은 김우영 작가 절

















편지통 siin7004@hanmail.net

작가방 http://cafe.daum.net/siin7004

손에 들고 다니는 목소리 017-477-1744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69 종아리 맛사지 1 유진왕 2021.08.07 122
1868 종신(終身) 성백군 2014.09.22 259
1867 졸업식은 오월의 함성 강민경 2018.05.18 198
1866 시조 조심스러운 마음으로 ... file 독도시인 2022.02.27 139
1865 시조 조선요朝鮮窯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06.23 94
1864 조상님이 물려주신 운명 / 성백군 2 하늘호수 2021.09.28 81
1863 조문해주신 분들에게 깊이 감사드립니다 이승하 2007.02.23 500
1862 조금 엉뚱한 새해 선물 이승하 2005.12.31 344
1861 조국땅을 그리며 박성춘 2009.08.02 630
1860 조개의 눈물 강민경 2019.05.30 148
1859 조각 빛 / 성백군 2 하늘호수 2024.01.30 122
1858 제목을 찾습니다 박성춘 2007.07.03 381
1857 제기랄 1 유진왕 2021.08.07 134
1856 시조 젖은 이마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2.03.17 171
1855 정치 시사 소설 <도청> 정진관 2004.11.21 832
1854 정자나무의 속내 성백군 2012.03.25 137
1853 정의 - 상대성이런 박성춘 2007.12.17 191
1852 정월 대보름 달 / 성백군 하늘호수 2024.03.05 66
1851 정월 대보름 / 필재 김원각 泌縡 2020.02.08 158
1850 정월 대보름 / 필재 김원각 泌縡 2020.08.06 93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