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0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차원과 진화에 대한 가설 NaCl 생명체는 변화한다. 각 차원의 생명체는 각 차원보다 한 차원 높은 차원을 인식하되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다. 대신 미몽(delusion)과 착각과 미신으로 지각할 뿐이다. 그러다 지각과 깨달음의 임계선(Critical Line)을 넘어갈 때, 흐리흐리하여 이해하지 못했던 다음 차원의 세계(생명)를 맞보게 된다. 하지만 모든 개체가 그 임계선에 도달하는 것은 아니다. 시간이 제한되어 있어서 주어진 시간내에 도달하지 못하면 고착 (fixed)되고 만다. 그러한 법칙에 의해 다양한 차원의 생물이 존재하게 된다. 침팬지와 같은 유인원은 다음 차원인 인간이 되지 못하고 고착화된 생명체이다. 지구상에서 가장 높은 차원의 생명체는 인간이다. 인간의 종교는 인간 다음 차원을 명확하진 못해도 모호하게나마 인식하는 것이다. 그러한 인식의 초기(initiation)를 여는 작업은 일반 대중이 하기 힘들다. 공자나 석가나 마호멧이나 예수와 같은 지각에 예민한 유전자를 가진 사람이어야 가능하다. 일반 대중은 그러한 사람들이 제시한 고차원의 세계를 배워 그들이 닦아 놓은 길을 걸어갈 수 있다. 하지만 그들이 지각한 깨달음의 세계가 너무 고차원적이어서 일반대중이 이해하지 못할 때, 배척과 핍박을 당하기도 한다. 혹은 곡해되어 엉뚱한 길에서 헤매이기도 한다. 오랜 시간이 흘러서야 깨어있는 사람들에 의해 개혁되어지고 그들이 제시했던 바른 길에 접근할 수 있다. 그들이 제시했던 각각의 길을 따르는 각각의 사람들이 제대로 깨닫지 못하고 각각의 정도(Right Path)에서 벗어나 엉뚱한 길을 걸을 때, 각각의 길을 걷는 사람들 사이에 충돌이 일어나기도 하고 심지어 전쟁이 일어나기도 한다. 게다가 같은 길을 걷는 사람들끼리마저 조금 차이가 나면 이단시하기도 하고 심지어 학살을 저지르기도 한다. 이렇게 다음 차원으로 가는 댓가는 가혹하기 그지없다. 만약 일반 대중이 그 각각의 길을 열었던 스승들의 길을 제대로 걸었다면 인간역사에 피비린내는 그리 많지 않았을 수도 있다. 아인슈타인이 선한 의지로 에너지와 질량과 빛의 공식을 발견했다 하더라도 미몽에 사로잡힌 일반은 그것을 갖다가 핵폭탄을 만들고 오류의 역사를 쓰게 한다. 그 역사를 바로 잡기 위해선 일반대중이 미몽에서 빠져나와 그 옛날 스승들의 길에 바로 들어서야 한다. 천지가 요동치는 개벽(Convulsion)의 시대에, 서서히 아니 급하게 일반 대중이 깨어나고 있다. 지진과 화산폭발과 해일의 사이사이에서 살아남은 생존자들이 정신을 차리고 있다. 인간은 다음 차원에 가까이 가고 있다. 시간은 제한되어 있다. 그 때가 지나기 전, 다음 차원을 향한 참된 지각(Perception)과 삶을 통해 다음 차원으로 진화하자. 한편 다행인 것은 사랑이 지극하신 하나님의 방법은 그 문이 좁을지라도 은혜의 생수를 누구나에게 주시고자 하시는 마음이다. 또한 차원상승의 모본은 석가가 부처님이 되고 예수가 하나님(하느님)이 됨과 같은 영원한 삶이고 죽음이다. 동학의 인내천(human onto God)은 그러한 영원한 차원이 일반 대중에게도 적용됨을 만 천하에 알리는 선언이다. 지금도 시간은 현재 우리가 머물고 있는 차원의 임계선을 향하여 달음박질 치고 있다. ---- 2012. 1. 28 土 12:26 AM Cental Time Zone in US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45 가을단상(斷想) 성백군 2005.10.05 240
744 어느날 아침의 영상 곽상희 2007.08.26 240
743 달, 그리고 부부 하늘호수 2016.10.02 240
742 바람의 말씀 / 성백군 2 하늘호수 2018.04.02 240
741 글 쓸 때가 더 기쁘다 / 김원각 泌縡 2020.06.27 240
740 이 아침에 김사빈 2006.07.15 241
739 오디 성백군 2014.07.24 241
738 시조 호롱불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01.24 241
737 詩가 꺾이는 사회 / 임영준 박미성 2005.08.13 242
736 흰 머리카락 성백군 2005.08.26 242
735 도마뱀 강민경 2005.11.12 242
734 3시 34분 12초... 작은나무 2019.03.21 242
733 해 바 라 기 천일칠 2005.02.07 243
732 오래 생각하는 이순신 서 량 2005.11.14 243
731 불꽃 놀이 강민경 2006.01.02 243
730 천상바라기 유성룡 2007.08.06 243
729 꽃피는 고목 강민경 2007.12.08 243
728 울 안, 호박순이 성백군 2008.03.09 243
727 화려한 빈터 강민경 2016.09.07 243
726 멀리 있어 닿을 수 없어도 유성룡 2007.06.17 244
Board Pagination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