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4.20 15:06

빈소리와 헛소리

조회 수 19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빈소리와 헛소리

“민중을 위해 제일 큰 소리로 말하는 사람이 민중을 위해 가장 많이 걱정하는 인물로 생각한다면 큰 착각” …이 말의 주인공은  그야말로 ‘말’을 굉장히 잘한 인물중의 한 사람인 정치사상가  마키아벨리라고 한다.
  
그는 누구보다 ‘말의 허실’을 잘 아는 인물이었다. 따라서 앞서한 그의 일갈은 지금 무수하게 쏟아지는 말의 잔치로 인해  좌충우돌 하는 오늘의 우리 사회 현실을 웅변하는 것 같아 참 남다르게 들린다. 더구나 선거 바람이 불기 시작하고는 정당과 후보들이 내뱉는 말 잔치는 너무나 현란해서 정신이 어지러울 정도다. 더구나 이러한 난무하는 말과 말들은 정언(正言) 이라기 보다는 그 90%가 빈소리고 헛소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니 솔직히 성한 사람도 마치 바보가 되는 기분이다 .

따져보면  ‘말을 잘하는 것’과 ‘잘 말하는 것’은 엄연히 다르다. 누구든 내뱉는 말들을 조금만 들어보면  그것의 진실과 진정성이 얼마나  함축되어 있는지, 객관적 비교를 통해 최소한 구별할 수 있을 것인데… 선거가 치러지는 동안 후보자가  ‘당선딱지’를  거머잡기 위해서는  없는 말도 지어내야 하고 마음에도 없는 말도 진짜처럼  목청껏 외쳐야 하는 것이 선거의 맹점이자 특징이라 할진대, 그래서 이를 공언(空言)이라 하고 책임없이 멋대로 뱉아내는 말은 허언(虛言) 이라 하지 않는가.  그래서인지 이따위 ‘빈소리’와 ‘헛소리’에 대해 솔직히 듣는 사람들은  아무도 진심으로 경청하거나 공감하지 않는다고 한다. 하다못해 자기 편들까지도. 결론적으로  경청할 가치가 없는 것은  후보자와 그가 속한 조직에 대한 ‘신뢰의 상실’이 사람들의 밑바닥에 깔려있기 때문이다.

  우리 주변엔 그야말로 말만 번지르르하게 하는 사람이 많다. 그리고 그들은 ‘어떤 꺼리’가 생기면  그 사안이 맞거나 틀리거나를 떠나 온갖 주장을  동원해가며  전문가인양 끼어든다. 하지만  정작 주어진 사안에 대한  해결의 책임을 맡기려고 하면 또한 여러 구실을 내세워 슬슬 뒷걸음을 치는 사람들이 이들이다. 일테면 재주는 A가 부리고 돈은 B가 챙기듯 생색나는 일만 챙기려고 하는 것이 그들의 특징이기 때문이다.

감히 물어보건대,  우리 사회에서 언필칭 ‘사회지도층의 도덕적 책무(노블레스 오블리주 )’ 를 가슴깊이 새기면서 실천하는 사람이 몇 명이나 될까? 그렇게 자기 자신을 희생해 가면서 더 나은 대한민국을 만들어 가려는 지도자나 지도층이 있긴 있는가 알고싶다.  진실로 그들이 내뱉는 말의 부피만큼 사회 곳곳이 풍요해지고 있는지,  말로는 서민들의 가려움을  긁어 준다고 하면서도 정작 그런 기회가  닥치면 혹 안티 세력의 눈치를 보느라고  머뭇거리지는 않는지, 물어보고 싶다.
  
잘난 사람들의 말 속에는 얼마나 많은 가식과 허영이 녹아 있는지 정치인들을 보면 금방 안다. 그들은 입만 벙긋하면 입버릇 처럼  ‘국민’를  팔아대지만, 실제는 그 말의 뒤편에는  자신 속의 욕망 덩어리를 포장해서 가리키고 있음을  그야말로 우리 ‘국민’ 들은 다 알고 있다.

  모두가 담백하고 정직했으면 좋겠다. 할 수 있는 일과 그렇지 못한 일을 구별해 하고, 나쁜 일은  당당히 털어놓을 수 있는 용기 있는 사람, 속으로만 정승 판서 꿈꾸지 말고 ‘하는 짓’이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명확하게 밝혀 주는 분별력 있는 사람을 보고 싶다. 그래서 자신의 신념은 무엇이며 하고자 하는 앞으로의  나아 갈 방향에 대해 솔직한 ‘자기 소신’을  밝히라고 권유하고 싶다.  

적어도 정치꾼들을 위시한 사회지도층 반열에서 꼼지락대는 사람들은  ‘말로서 말 많은 자, 말로서 망한다’는 뜻이, 말 실수로 손해를 본다는 의미보다는 약속을 지키지 못하는 공언과 허언의 폐해에 대한 우려를 경고하는 것임을 새삼 깨달았으면 좋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65 (동영상시) 어느 따뜻한 날 One Warm Day 차신재 2016.12.01 74545
2264 화가 뭉크와 함께 이승하 2006.02.18 2305
2263 (낭송시) 사막에서 사는 길 A Way To Survive In The Desert 차신재 2016.02.25 1925
2262 불러봐도 울어봐도 못 오실 어머니 이승하 2010.08.26 1550
2261 봄의 왈츠 김우영 2010.03.03 1418
2260 희곡 다윗왕가의 비극 -나은혜 관리자 2004.07.24 1404
2259 희곡 다윗왕과 사울왕 -나은혜 관리자 2004.07.24 1401
2258 가시버시 사랑 김우영 2010.05.18 1391
2257 리태근 수필집 작품해설 김우영 2010.07.11 1338
2256 김천화장장 화부 아저씨 이승하 2009.09.17 1308
2255 아버님께 올리는 편지 -이승하 관리자 2004.07.24 1244
2254 김우영 작가의 산림교육원 연수기 김우영 2012.06.25 1208
2253 플라톤 향연 김우영 2010.02.24 1208
2252 중국 김영희 수필 작품해설 김우영 2011.06.18 1180
2251 우리 시대의 시적 현황과 지향성 이승하 2005.02.07 1144
2250 코메리칸의 뒤안길 / 꽁트 3제 son,yongsang 2010.08.29 1138
2249 미당 문학관을 다녀 오면서 file 김사빈 2010.06.23 1076
2248 노벨문학상 유감 황숙진 2009.10.11 1073
2247 돌아가신 어머니, 아버지가 남긴 편지 이승하 2011.04.30 1066
2246 체험적 시론ㅡ공포와 전율의 세계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이승하 2009.10.14 104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