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김우영 작가의 수필/ 비 오는 날 추억의 팡세


  
viewFlash('http://dn.joongdo.co.kr:8080/images/banner/AAE_2.swf', 277, 66, 1);
  
속보    |   정치·행정   |   경제·과학   |   사회·교육   |   오피니언   |   천안·아산   |   세종시   |    지역    |   스포츠   |   사람들   |   기획특집   |   포토존
JDTV 인터넷방송
야구   |   축구   |   농구   |   배구   |   골프   |   생활체육   |   메이저리그   |   스포츠종합
공연·전시   |   대전 맛집   |   영화·비디오   |   문학·출판   |   방송·연예   |   여성·생활   |   건강·의료   |   여행·여가
전자신문(아이스크랩)   |   PDF 보기
와우!페스티벌
실시간 속보  

// 메인메뉴 컨트롤 mainMenuMouseOver(1);    현재 페이지 :   홈   >   뉴스 >   오피니언 >   사외칼럼  

google_protectAndRun("render_ads.js::google_render_ad", google_handleError, google_render_ad);  


[김우영]비 오는 날 추억의 팡세
[세설]김우영 작가, 대전중구문학회 사무국장

                                    

< 지면 게재일자 : 2012-07-12   면번호 : 21면 >   [ 김우영 작가, 대전중구문학회 사무국장 ]  
QR코드 스캔하여
스마트폰으로
현재 기사와
뉴스 더보기 >>>  





▲ 김우영 작가, 대전중구문학회 사무국장

그간 오랫동안 가뭄으로 애를 태우더니 요즘 비가 내려 다행이다. 그러나 비라는 것이 필요한 시기에 적당히 내려야 하는데 그 정도가 넘쳐나면 또 한 쪽에서는 걱정을 하고 있다. 없어도 탈, 많아도 탈이다. 마음 같아서는 넘치지도 부족하지도 않게 비가 내렸으면 하는 바람이지만 어디 세상일이 마음대로 이루어지는가! 여기에 세상의 오묘한 이치와 진리가 보옥처럼 담겨져 있다.

스무살 초반 시절 문학공부를 한답시고 고향 서천에서 부모님 농사일을 도우며 살 때였다. 유난히 비를 좋아한 탓에 사랑방에서 누워, 책을 보며 빈둥빈둥 하다가도 비만 오면 마치 신(神) 들린 사람처럼 우편물(지방 방송국과 신문사 독자란에 보낼 투고물)을 우체국에 부친다는 핑계로 우산을 쓰고 집을 빠져 나온다.

뻐얼건 황토 흙으로 질퍽대는 느르매 고갯길을 너머 푸르른 대숲이 드문드문 서있는 마을길을 지나간다. 특히 이슬비나 가랑비 부슬부슬 내리는 신작로 위를 혼자서 처벅처벅 걷노라면 양 옆으로 일정하게 서 있는 가로수 나무 아래로 가끔 바람이 불었다. 후두둑 후두둑하고 굵은 빗방울을 어깨위로 맞으며 이름없는 팡세가 되어 콧노래를 부른다. 길을 걸으며 더러는 푸시킨의 '삶'과 사뮤엘 뉴만의 '청춘'이란 시도 낭송하며 걷곤 했었다.

그렇게 하염없이 30여분을 걷노라면 면(面)사무소 소재지에 있는 허름한 옛 일본식 건물인 우체국이 나온다. 늘 가면 만나는 상냥한 우체국 직원과 반가운 인사를 하고 우편물을 빠알간 우체통에 부치고는 소재지에 있는 이발소, 막걸리 집, 정류소, 방앗간 뒷방들을 기웃거린다. 왜냐면 부슬부슬 내리는 비에 몸과 마음이 촉촉이 젖은 한적한 날 울적한 분위기를 그냥 넘어갈 수가 없기 때문이다.

적임자를 찾아 막걸리 한 잔(실제는 말 술)을 걸쳐야만 그날의 기분을 살리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는 과정에서 지역의 몇 몇 아는 사람들을 만나면 받는 인사는 대략 이랬다.

“야, 너 엊그제 신문에 나왔드라.”

“엊그제 방송서 글 나오던디 잘 들었어.”

“야, 너 제법이드라 책에 사진이 나왔던디 말여, 짜아식!” 이때마다 제법 알려진 작가라도 된 듯 우쭐했다.

“뭐, 쬐끔 써 봤는디”, “아아녀, 그냥 내 본건디 말여”하며 뒷머리를 긁적거리곤 했다. 그 당시 방송과 신문에 나오는 글들은 대부분 수필류로 라디오 문화프로에 애청자의 서간문 정도나 신문 문화면 끄트머리에 작게 나오는 독자란 정도였는데 그럴 때 마다 제법 우쭐대는 획기적인 계기가 됐다. 이렇게 막걸리 적임자가 결정되면 가끔가서 외상도 하고 더러는 부모님 몰래 광에서 쌀을 퍼내다가 술과 맞바꿔 먹거나 인근 고추밭에 한밤중 고추 서리 같은걸 해서 술과 맞바꾸어 먹는 단골 막걸리 집을 찾아가 시어터진 김치나 두부, 마른 명태를 툭툭 치면서 막걸리를 실컷 마셨다. 술을 마시다보면 동편 남산께로 어둠이 어스럼 어스럼 몰려오고 촉촉이 막걸리로 배인 몸을 휘청거리며 집으로 향하곤 했었다.

이런 '비 오는 날의 이름없는 팡세' 의 행렬은 비만 왔다하면 치러지는 설렘과 꿈의 나날이었다. 굵은 빗발의 소나기가 내리는 장대비나, 밤비가 올 때는 집에서 방문을 열어놓고 뒷산 계곡에서 콜콜콜 흐르는 뻐얼건 빗물이 밭도랑을 타는 흙탕물을 보는데 그쳤다.

그러나 밭에 고추 모종하기에 알맞게 내리는 모종비나, 이슬비 보다는 굵고 가늘게 내리는 가랑비, 또는 가랑비 보다는 가는 는개비가 치적치적 내릴 때면 스무살 초반의 문학청년을 시원하게 뻗은 아스팔트 위를 걷게 하곤 했다.

특히 안개보다는 좀 굵고 이슬비 보다는 좀 가는 안개와 이슬비의 중간 쯤 되는 '는개비'가 내릴 때는 우산도 접어든 채 머리칼과 옷을 촉촉이 적시며 걷기를 좋아했다. 속눈썹을 간지럼 피며 살짝 적시는 는개비는 참으로 좋았다. 이렇게 걷는 걸 좋아하는 걸 보고 주위 사람들은 저 사람은 이상한 사람이라고 했다. 저렇게 비를 맞고 걸으면 감기도 걸리고 옷을 적시며 내쳐 넋이 나간 사람처럼 걷느냐는 것이었다. 하지만 주위를 아랑곳 하지 않고 비 오는 날의 이름없는 팡세의 행렬은 몇 년간 고향 근처를 맴돌며 계속됐다. 오늘 아침 창 밖으로 주룩주룩 내리는 비를 보며 '비 오는 날 추억의 팡세'가 되어 보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65 (동영상시) 어느 따뜻한 날 One Warm Day 차신재 2016.12.01 74543
2264 화가 뭉크와 함께 이승하 2006.02.18 2305
2263 (낭송시) 사막에서 사는 길 A Way To Survive In The Desert 차신재 2016.02.25 1925
2262 불러봐도 울어봐도 못 오실 어머니 이승하 2010.08.26 1550
2261 봄의 왈츠 김우영 2010.03.03 1418
2260 희곡 다윗왕가의 비극 -나은혜 관리자 2004.07.24 1404
2259 희곡 다윗왕과 사울왕 -나은혜 관리자 2004.07.24 1401
2258 가시버시 사랑 김우영 2010.05.18 1391
2257 리태근 수필집 작품해설 김우영 2010.07.11 1338
2256 김천화장장 화부 아저씨 이승하 2009.09.17 1308
2255 아버님께 올리는 편지 -이승하 관리자 2004.07.24 1244
2254 김우영 작가의 산림교육원 연수기 김우영 2012.06.25 1208
2253 플라톤 향연 김우영 2010.02.24 1208
2252 중국 김영희 수필 작품해설 김우영 2011.06.18 1180
2251 우리 시대의 시적 현황과 지향성 이승하 2005.02.07 1144
2250 코메리칸의 뒤안길 / 꽁트 3제 son,yongsang 2010.08.29 1138
2249 미당 문학관을 다녀 오면서 file 김사빈 2010.06.23 1076
2248 노벨문학상 유감 황숙진 2009.10.11 1073
2247 돌아가신 어머니, 아버지가 남긴 편지 이승하 2011.04.30 1066
2246 체험적 시론ㅡ공포와 전율의 세계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이승하 2009.10.14 104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