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11.01 07:57

꽃망울 터치다

조회 수 44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꽃망울 터치다  
김우영의 에세이-우리말 나들이

2012년 10월 31일 (수)  김우영 <소설가>  webmaster@cctimes.kr  


    
  
    
  
김우영 <소설가>

우리가 ‘터뜨리다’라고 하는 말은 무엇을 만져 터지게 하는 것이다. 울음이나 웃음도 터뜨리는 대상으로 번지도록 사용된다. ‘터짐’ 이란 막혀 있던 게 갑작스럽게 큰 힘으로 부서지는 모양이다. 봄만 되면 ‘꽃망울을 터뜨린다’ 는 표현도 좋은 말이다.

북한에서는 ‘터뜨리다’보다 ‘터치다’를 잘 사용한다. 수류탄, 울분, 울음을 터친다. 또 풀어 헤치다에 가깝게 ‘짐짝을 터친다’고 사용하고, 막힌 것을 터놓는 뜻으로 ‘물고(-꼬)를 터친다’도 사용한다. 꽃이 필 때도 ‘꽃잎을 터치려는 꽃망울’하는 말을 쓴다. 중국과 러시아 동포들도 ‘터치다’를 잘 사용한다.

* 쾅! 쾅 터치는 노래(김 철 ‘북방의 강’)

* 색깔 고운 웃음을/ 방긋 터치며 오시였지요(조룡남 ‘꽃과 웃음과’중국)

* 들을 리 만무한 네 앞에서 아픔을 터쳐 울부짖으면서(정장길 ‘병사의 무덤 앞에서’, 옛 소련)

* 초록너울 쓰고 꽃망울 터치며 왔습니다(김파 ‘봄날의 시혼’, 중국) 막 피어나는 꽃망울, 꽃봉오리의 조용한 몸짓을 ‘터뜨리다, 터치다’로 말맛이 거칠게 들린다.

* 자?� 굵은 대공 하얀한 꽃이 벌고(이병기 ‘난초4’)

* 비 오자 장독간에 봉선화 반만 벌어(김상옥‘봉선화’)

* 오늘 비로소 벙그는 꽃 한 송이(한광구 ‘매화’)

* 막 난초꽃이 한둘 벙글고 있다(박정만 ‘난초’)

우리말중에 사이시옷만큼 바르게 표현하기가 어려운 말도 없다고 한다. 주고받는 말이나 글 중에 대부분이 사이시옷이 들어가기 때문에 어디서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어려움이 있다.

1988년에 고쳐 나온 ‘한글 맞춤법’ 의 사이시옷 적기 규정에는 이렇다. 이 맞춤법에서는 순한자말의 경우 묘하게도 ‘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 여섯 낱말 외에는 적지 않기로 하였다. 그 결과 ‘댓가’는 ‘대가’로 ‘홋수’는 ‘호수’로, ‘솟장’은 ‘소장’ 으로 적어야 한다. 그리고 ‘장밋빛’은 사이시옷을 받쳐 적되 ‘장미과’는 ㅅ을 받쳐 적으면 틀리게 된다.

사이시옷 표현은 현재 남한과 북한이 다르게 사용한다. 북한에서는 1966년 이후로 거의 적용하지 않는다. ‘냇가, 빗발, 훗날’을 북에서는 ‘내가 비발, 후날’로 적고, 발음은 된소리로 한다. 그런데 1988년에 나온 북한의 한글규범집에서는 혼동을 피하기 위해 ‘빗바람’ ‘새별’과 ‘샛별’로 구분하여 적고, ‘아랫집’, 뒷일 따위의 몇몇 낱말에 예외적으로 ㅅ을 받치어 적기로 하였다.

다행스러운 일이다. 통일이 되면 가장 문제시되는 것이 주고받는 언어와 글자의 표준이라고 한다. 벌써부터 뜻있는 한글학자는 이 부분을 집중 연구하여야 한다고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26 한송이 들에 핀 장미 유성룡 2006.07.18 472
2025 생의 바른 행로行路에 대한 탐색/ 서용덕 시세계 박영호 2008.09.12 469
2024 나는 왜 시를 쓰게 되었나? 박성춘 2011.11.06 469
2023 지식인의 말 안경라 2007.09.28 468
2022 기타 10월 숲속의 한밤-곽상희 미주문협 2017.10.23 468
2021 가슴을 찌르는 묵언 file 김용휴 2006.06.22 467
2020 한정식과 디어헌터 서 량 2005.09.10 465
2019 옥편을 뒤적이다 박성춘 2011.03.25 459
2018 기러기 떼, 줄지어 날아가는 이유는-오정방 관리자 2004.07.24 458
2017 박명 같은 시 형님 강민경 2011.09.01 457
2016 화 선 지 천일칠 2005.01.20 454
2015 유나의 웃음 김사빈 2005.05.04 454
2014 아버지 유성룡 2006.03.12 454
2013 삶이란 성백군 2009.04.13 452
» 꽃망울 터치다 김우영 2012.11.01 448
2011 시조 575 돌 한글날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10.08 447
2010 죽은 나무와 새와 나 강민경 2014.05.19 446
2009 2월의 시-이외수 file 미주문협 2017.01.30 446
2008 모의 고사 김사빈 2009.03.10 444
2007 세월호 사건 개요 성백군 2014.05.12 444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