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78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김우영 작가의/ 주당 골초 호색한 처칠  



      

최종편집 : 2013.10.27 일 22:57

x
오피니언칼럼  김우영 작가 / 주당 골초 호색한 처칠
김정환  |  siin@hanmail.net

    
승인 2013.10.26  16:33:34        

    
  
흰색 바바리코트에 중절모를 쓰고 검은 시거를 입에 문 채 뒤뚱뒤뚱 걷던 영국의 전 수상 윈스턴 처칠. 다혈질의 성격 탓에 발끈발끈 흥분을 잘하던 그는 남아전쟁에 종군기자로서 필명을 떨쳤다. 제1차 세계대전에도 참전 했으며, 제2차 세계대전에는 내각 수반으로 연합국의 승리를 이끄는데 선봉장이 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또한 풍경화로도 활동했던 다재다능한 영웅이기도 했다.

정치적 명암으로 점철되었던 그의 인생은 스트레스의 연속이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90세 까지 장수하였다. 구십 고령인 그는 죽기 전날까지 엄청난 양의 담배를 피우고 말술을 마셨다고 한다. 그가 하루에 마신 샴페인, 코냑, 위스키의 총량에서 순수 알코올만 추출해보니 180g이나 되었다고 한다. 이렇게 많은 술을 마시고 담배를 피워댄 그는 보란 듯이 90세 까지 장수하였다.

영국의 어느 유전학자는 처칠만이 갖고 있는 어떤 ‘보호 유전자’ 또는 ‘처칠 유전자’가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어떤 이들은 그가 그렇게 말술을 마셨던 것은 그의 어머니의 영향이라고도 한다. 그의 어머니는 맨해턴(MANHATTAN)이라는 칵테일을 창안하여 화제가 되었다. 위스키와 스위트 베르모트, 아로마틱 비터즈를 칵테일 글라스에 따르고 레드체리로 장식해서 마시는 칵테일이 바로 맨해턴이다. 처칠 또한 이 맨해턴이라는 칵테일을 무척 즐겼다 한다.

처칠은 술 못지않게 여성편력으로도 유명한 사람이었다. 한 예로 20세기 최고의 미녀 배우이며 유니크한 성도착 증세를 가진 ‘그레타 가르보’와의 염문은 유명하다. 정열적이며 급한 성질의 처질과 젖가슴이 유난히 커서 세인의 주목을 받았던 관능적인 육체파 여배우 가르보와의 운우지정(?)은 가히 짐작이 간다.

가르보는 ‘그랜드 호텔’, ‘여왕 그리스티나’, ‘동백꽃 아가씨’, ‘니노츠카’등에서 세계 영화사상 기념비적인 농도 짙은 연기를 남겼다. 이 영화 속에서 가르보는 긴 머리를 늘어뜨리며 온갖 칵테일을 즐기며 열연을 한다.

처질 못지않게 가르보도 술과 섹스를 즐겼는데 그녀의 아버지는 스톡홀름에서 태어난 술주정뱅이로, 툭하면 그녀의 어머니와 싸우곤 했다고 한다. 특히 어머니가 교회 목사와 벌이는 불륜의 정사 장면을 여러 차례 보며 자랐는데, 그녀가 성도착 증세를 가진 최고의 관능적인 여배우였던 것도 사실 어렸을 적 부도덕한 어머니의 행실을 보며 자란 영향이 아니었나 생각된다.

그는 당대의 유명한 지휘자 스트크프스키 등 숱한 사내들과 염문을 뿌리며 세간의 화제를 모았다. 인기 절정의 나이인 서른여섯에 은퇴를 선언하고 85세로 죽을 때까지 오십여 년 동안은 은막을 떠나 살았다.

술과 담배를 즐기고 여성 편력이 많았던 처칠, 술과 영화를 위해 살았고 남성 편력이 심했던 당대의 미녀 배우 가르보. 술은 영웅을 낳고, 영웅은 세상을 이끌어가고, 술은 또한 시대를 거슬러 올라 변함없이 영웅의 사랑을 받고 있는가.
















Track 5.mp3






                                                                                                                                 - the end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09 코스모스 날리기 천일칠 2005.10.10 330
1808 새 출발 유성룡 2006.04.08 330
1807 낡은 재봉틀 성백군 2006.05.15 330
1806 여호와의 거시기는 & 아무거나 file 박성춘 2007.06.25 330
1805 그 소녀의 영력(靈力) file 박성춘 2007.08.13 330
1804 수필 우리가 문학을 하는 이유 김우영 2014.11.23 330
1803 겨레여! 광복의 날을 잊지 맙시다 file 박영숙영 2015.08.15 330
1802 무 덤 / 헤속목 헤속목 2021.05.03 330
1801 그림자의 비애 성백군 2011.10.17 329
1800 멸치를 볶다가 하늘호수 2016.10.10 328
1799 아름다운 마음 / 성백군 하늘호수 2019.11.15 327
1798 월터 아버지 서 량 2005.04.11 324
1797 군밤에서 싹이 났다고 강민경 2014.10.17 324
1796 오월의 아카사아 성백군 2014.06.08 323
1795 바람의 독후감 강민경 2015.04.22 323
1794 수필 건망증과 단순성-김태수 미주문협관리자 2016.04.02 323
1793 야생화 이름 부르기 / 성백군 하늘호수 2015.07.13 322
1792 수필 삶은, 눈뜨고 꿈꾸는 꿈의 여행이다 / 수필 박영숙영 2017.09.05 322
1791 오해 하늘호수 2017.10.12 321
1790 미루나무 잎들이 강민경 2016.06.06 321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