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용희.jpg



본협회 2018년 여름문학캠프 초빙강사로 오시는 홍용희 교수의 평론집 "통일시대와 북한문학"


처음 북한 문학을 접했을 때 책을 만든 종이 자체만으로도 섬뜩한 이질감을 느꼈어요. 주제나 내용도 생경했지만 종이 그 자체만으로도 북한의 경직된 체제와 낙후된 경제를 그대로 보여주는 것 같았죠."

최근 북한 문학 평론집인 `통일시대와 북한문학`(국학자료원 펴냄)을 출간한 홍용희 경희사이버대학교 교수(44)의 말이다. 그는 민족문학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처음 북한 문학에 관심을 가졌던 1980년대 후반부터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이번 책에 담아냈다. 북한 문학이 갖는 가장 큰 특징은 문학이 당에 봉사하는 수동적인 양상을 갖고 있는 점이다. 문학에는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구체적인 삶의 정서나 고통스러운 현실 인식이 간접적이고 우회적인 방법으로 스며들어 있게 마련이다.

홍 교수는 "그래서 북한 문학을 이해하는 것은 북한의 드러나는 모습과 드러나지 않는 모습을 입체적으로 이해한다는 의미를 갖는다"고 말했다. 책은 김정일에 대해 주목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앞서 밝혔듯 북한의 문학이 당의 지침을 전달하는 역할을 맡

있기 때문에 지배자인 김정일에 대해 조명하는 것은 꼭 필요한 과정일 것이다.


"북한 영화나 미술, 문학 등 모든 예술의 창작론을 이론으로 정립한 당사자가 김정일입니다. 북한 문예 이론을 만든 가장 중요한 인물인 거죠. 그래서 김정일의 예술가적인 기질이 어떻게 정치적인 논리로 정의되는지를 아는 것이 북한 문학을 이해하는 첩경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다소 생소하고 멀게 느껴질 수 있지만 국립중앙도서관에 가면 누구나 쉽게 북한 문학과 영화 등을 접할 수 있다.

홍 교수는 "이런 자료들이 북한의 실상을 정치적 화법이 아니라 정서적인 언어로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 같다"며 말을 맺었다.

[정아영 기자] 201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 유순자 시집-자국 file 미주문협 2019.04.29 93
83 강수영 번역-프랑크푸르트학파의 삶과죽음 file 미주문협 2019.05.13 136
82 서연우 시집-빗소리가 길고양이처럼 지나간다. [1] file 미주문협 2019.05.31 495
81 이경희 시집-고이 간직했던 붓 file 미주문협 2019.06.16 114
80 이현숙 수필집-두남자와 어울리기 [1] file 미주문협 2019.07.01 199
79 정국희 시집 -로스앤젤레스, 천사의 땅을 거처로 삼았다 file 미주문협 2019.07.16 131
78 이성숙 수필집-보라와 탱고를 file 미주문협 2019.08.04 214
77 김영강 소설집-무지개 사라진 자리 [1] file 미주문협 2019.08.19 226
76 차덕선 에세이-여자로 돌아와서 file 미주문협 2019.09.03 274
75 이진수 자서전- 나의 길 나의 인생 file 미주문협 2019.09.16 498
74 이성열 시집-구르는 나무 [1] file 미주문협 2019.10.12 283
73 6.25 전쟁수기집-집으로 file 미주문협 2019.10.28 229
72 곽상희 시집-사막에서 온 푸픈 엽서 file 미주문협 2019.11.13 177
71 장소현시집-나무는 꿈꾸네 [1] file 미주문협 2019.12.09 601
70 연규호,이윤홍 작가의 이론서-생각하는 뇌, 고민하는 마음, 문학의 창조 file 미주문협 2020.01.03 173
69 송상옥 유고장편소설-가족의 초상 file 미주문협 2020.02.03 158
68 손용상 소설집-원시의 춤 file 미주문협 2020.04.17 208
67 최정임 에세이집-책읽는 여자 [1] file 미주문협 2020.05.27 1854
66 최연홍 시집-별 하나에 어머니의 그네 file 미주문협 2020.08.03 116713
65 최용완 작가 장편 역사 에세이-동아시어는 인류문명.문화의 어머니 file 미주문협 2020.10.10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