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용희.jpg



본협회 2018년 여름문학캠프 초빙강사로 오시는 홍용희 교수의 평론집 "통일시대와 북한문학"


처음 북한 문학을 접했을 때 책을 만든 종이 자체만으로도 섬뜩한 이질감을 느꼈어요. 주제나 내용도 생경했지만 종이 그 자체만으로도 북한의 경직된 체제와 낙후된 경제를 그대로 보여주는 것 같았죠."

최근 북한 문학 평론집인 `통일시대와 북한문학`(국학자료원 펴냄)을 출간한 홍용희 경희사이버대학교 교수(44)의 말이다. 그는 민족문학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처음 북한 문학에 관심을 가졌던 1980년대 후반부터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이번 책에 담아냈다. 북한 문학이 갖는 가장 큰 특징은 문학이 당에 봉사하는 수동적인 양상을 갖고 있는 점이다. 문학에는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구체적인 삶의 정서나 고통스러운 현실 인식이 간접적이고 우회적인 방법으로 스며들어 있게 마련이다.

홍 교수는 "그래서 북한 문학을 이해하는 것은 북한의 드러나는 모습과 드러나지 않는 모습을 입체적으로 이해한다는 의미를 갖는다"고 말했다. 책은 김정일에 대해 주목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앞서 밝혔듯 북한의 문학이 당의 지침을 전달하는 역할을 맡

있기 때문에 지배자인 김정일에 대해 조명하는 것은 꼭 필요한 과정일 것이다.


"북한 영화나 미술, 문학 등 모든 예술의 창작론을 이론으로 정립한 당사자가 김정일입니다. 북한 문예 이론을 만든 가장 중요한 인물인 거죠. 그래서 김정일의 예술가적인 기질이 어떻게 정치적인 논리로 정의되는지를 아는 것이 북한 문학을 이해하는 첩경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다소 생소하고 멀게 느껴질 수 있지만 국립중앙도서관에 가면 누구나 쉽게 북한 문학과 영화 등을 접할 수 있다.

홍 교수는 "이런 자료들이 북한의 실상을 정치적 화법이 아니라 정서적인 언어로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 같다"며 말을 맺었다.

[정아영 기자] 201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두고 떠나는 연습 file 미문이 2005.04.09 236
363 <미주문학> 2005년 봄호 file 미문이 2005.04.16 146
362 문학의 숲과 나무 file 미문이 2005.04.29 227
361 소금 화석 file 미문이 2005.05.09 158
360 환한 그리움에 file 미문이 2005.05.15 189
359 어제는 나를 찾아 강물이 되고 file 미문이 2005.05.21 175
358 섬마을 선생과 피아노 file 미문이 2005.05.29 321
357 내 안의 바다 file 미문이 2005.06.05 182
356 점 하나 굴러간 자리 file 미문이 2005.06.19 143
355 CHEYENNE file 미문이 2005.07.04 107
354 하얀 강 file 미문이 2005.07.12 170
353 미주시인 창간호 file 미문이 2005.07.23 185
352 글마루 2005 file 미문이 2005.07.27 131
351 <오렌지 문학> 제2호 file 미문이 2005.08.12 154
350 고요 속의 파문 file 미문이 2005.08.21 163
349 인간의 마을에 밤이 온다 file 미문이 2005.08.28 271
348 바하사막 밀밭에 서서 file 미문이 2005.09.04 171
347 재미수필 제6집 file 미문이 2005.09.11 137
346 프리즘 속에 든 새들 file 미문이 2005.09.20 198
345 고뇌하는 당신 file 미문이 2005.10.03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