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 시대의 축복과 재앙 사이

2019.03.18 06:15

두루미 조회 수:14

☞100세 시대의 축복과 재앙 사이☜



"더 이상 살아야 할 이유가 없을 때 인간은 비로소 죽는다"
라는 데이비드 구달 박사가 얼마 전 104세의 나이로 안락사,
  세상을 떠났다.

"스스로 선택한 죽음"이 화제가 됐다.
그는 안락사가 허용되는 스위스로 가서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
고통없이 죽을 수 있는 약"
이라 불리는 넴퓨탈 정맥주사 밸브를 직접 열었다.

99F839375B22DE1B35C570

20년 전 고령이라는 이유로 운전면허가 취소된 삶에서
 여행이 박탈된 순간 더 살아야 할 이유마저 잃은 것이다.

그는 사회와 질병이 더 간섭하기 전에 스스로 죽음을 택했다.
 내가 나를 어찌할 수 없게 되기 전에,
육체가 나를 배반하여 내가 나를 움직일 수 없게 되기 전에
 삶을 끝냈다.

997450375B22DE1B01FBD3

죽음의 순간 베토벤의 "환희의 송가"가 울려 퍼졌다.

그 기사를 읽고 나는 너무나 통쾌해 박수를 쳤다.
 인간이 두려워하는 죽음이 아무것도 아니게 됐다.

인간의 굴종을 즐기는 오만한 죽음에 통곡과 음울한 장송곡
대신 환희의 송가라니!

이길 수 없는 죽음을 이기는 법.
이 역설적 가능성을 구달박사에게서 보았다.
인생을 마치 야구 선수가 은퇴하듯 그만뒀다.

2군을 전전하며 구차하게 선수 생명을 유지하다
등 떠밀려 유니폼 벗는 게 아니고 아직 근사할 때 자신의 마지막을
직접 결정했다.

99FB0B375B22DE1B36976B

죽음이 인간을 무릎 꿇려 데려가기 전에 인간이 먼저
 죽음을 향해 당당하게 걸어간 것이다.
죽음의 외적 현상일 뿐인 부재와
소멸에 겁먹지 않는 의연함이 없으면
 못할 일이다.

나는 죽음보다 "산송장"이 되는 일이 더 두렵다.
살아있어 봤자 할 수 있는 일이 전혀 없게 됐을 때
죽음을 택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무의미한 연명치료로 호흡만 겨우 유지하는
 억지 장수까지 평균수명에 포함시킨 "
100세 시대는 축복이 아니라 재앙이다.

우리 인생만 해도 죽음이라는 바윗돌을 등에 짊어지느라
불안하고 초조한 데 사회마저 죽음으로 인한
 피로도가 높다.

연명치료에 들어가는 의료비와 인력은 물론이고
 과도한 장례 비용과 절차,
묘역이나 납골당 등 시설에 소비되는 제반까지
 다 죽음을 지나치게 두려워하고
 또 무겁게 여기는 풍조 때문이다.

죽음의 공포와 엄숙함에서 조금 벗어날 필요가 있다.
자꾸 외면하고 격리시킬 것이 아니라
삶 안으로 불러들여 친해져야 한다.

991801485B1D85932B8D90

우리나라에서도 구달박사 같은 사례가 생길 수 있을까?
작년부터 시행된 존엄사법"이 "웰다잉" 문화확산의
첫걸음일 것이다.

나는 요즘 한국판 "환희의 송가"를 즐겨 듣는다.
 경쾌해 어깨가 들썩거린다.
 요양원 환자인 한 할머니가 무시로 흥얼거리는
정체불명의 노래를 편곡한 것이다.

"다 살았네. 다 살았어. 나이는 많고 다 살았네.
죽을 날만 기다리니 얼쑤. 어서어서 죽어 저승으로 가서
우리 아들 딸 훨훨 날게 해주시어 "주여"


죽음도 환희와 희망이 될 수 있다.

출처 : 詩人/이병철(옮긴글 받은매일 옮김)
26775237575ED38714D2D9


224E6A4858C31F73088A18


 

댓글 0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07 걸으면 뇌가 젊어진다 두루미 2019.03.17 4
1706 무술년 우리 집 10대 뉴스 김삼남 2019.03.17 4
» 100세 시대의 축복과 재앙 사이 두루미 2019.03.18 14
1704 팬지꽃 백승훈 2019.03.19 5
1703 이제야 나도 철이 드는 것일까 이진숙 2019.03.19 6
1702 피는 못 속인다더니 구연식 2019.03.20 4
1701 배고픔을 느끼고 싶은데 김창임 2019.03.20 4
1700 새싹을 보며 곽창선 2019.03.21 3
1699 해답은 만남이다 한성덕 2019.03.21 3
1698 새해 복 많이 짓게 해 주세요 최동민 2019.03.21 3
1697 봄봄 밥차 정남숙 2019.03.21 4
1696 상처받지 않을 권리 전용창 2019.03.21 6
1695 수필아, 고맙다 김성은 2019.03.21 3
1694 나이를 따지는 나라 한성덕 2019.03.22 6
1693 태국 여행기(2-4) 김학 2019.03.22 6
1692 태국 여행기(1) 김학 2019.03.22 4
1691 혼자 걷는다는 것 이진숙 2019.03.23 4
1690 비행기 아저씨 고안상 2019.03.23 3
1689 묵은 친구 정남숙 2019.03.23 4
1688 할머니의 연봉 정남숙 2019.03.2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