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코뺑이를 아시나요

2007.01.15 05:32

미문이 조회 수:525



정찬열[-g-alstjstkfkd-j-]수십년을 외국에서 살아도 결국 한국 사람일 수밖에 없듯이 내 과거도 좋든 싫든 내 노란 피부나 까만 눈동자처럼 내 몸의 일부가 돼버린지 오래 전일 거라는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글을 쓰는 일은 내가 누군지를 찾아가는 일이기도 하고 내가 가야할 길을 향해 떠나는 항해이기도 합니다. -작자의 말 중에서- 시 우리 엄마 서울 가분 날 정찬열 "우리 엄마 서울 가분 날" OOOO년 O월 O일 일곱 남매 막둥이 국민학교 3학년 진국이가 엄마 서울 간 날자를 마루 끝 벼람박에 까망색 크레용으로 비뚤비뚤 써 놓았다 세 밤만 자면 돈 많이 벌어 돌아오마던 소식 없는 엄마를 손꼽아 기다리던 우리 집 막둥이 동생 녀석은 날마다 학교가 파하면 방죽에 나가 낚시를 하다가 어둔 무렵에야 돌아왔다. -그만 놀고 밥 묵어라아 - 해질녁, 아이를 불러들이는 엄마들의 목소리를 들었던 때문일까 아홉 살 짜리 강태공 말이 없던 녀석의 그렁그렁한 눈동자엔 먼 산만 가득했다 내 유년의 뒤안길 아스라한 세월 저편 이야기지만 생각나기만 하면 지금도 가슴이 아려오는 내 동생 진국이가 써 놓았던 그 때 그 담벼락 글씨 '우리 엄마 서울 가분 날' "정찬열 문학서재 바로가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빛이 내리는 집 file 미문이 2006.05.23 179
103 박인애 시집-말은 말을 삼키고 말은 말을 그리고 [1] file 미주문협 2018.08.31 178
102 곽상희 시집-사막에서 온 푸픈 엽서 file 미주문협 2019.11.13 177
101 늘 추억의 저편 file 미주문협 웹도우미 2014.07.19 177
100 어제는 나를 찾아 강물이 되고 file 미문이 2005.05.21 175
99 홍영순 동화-팬케이크 굽는 아이들 file 미주문협 2017.07.15 174
98 시와 정신 2018 여름호 file 미주문협 2018.07.01 174
97 연규호,이윤홍 작가의 이론서-생각하는 뇌, 고민하는 마음, 문학의 창조 file 미주문협 2020.01.03 173
96 손용상 운문집-부르지 못한 노래...허재비도 잠 깨우고 file 미주문협 2021.04.24 172
95 김수영 시집-그리운 손편지 file 미주문협 2018.09.15 172
94 철학적 시 읽기의 즐거움 file 미주문협 웹도우미 2013.03.20 171
93 진실을 아는 아픔 file 미문이 2005.12.18 171
92 바하사막 밀밭에 서서 file 미문이 2005.09.04 171
91 성민희 수필집-아직도 뒤척이는 사랑 [2] file 미주문협 2021.08.06 170
90 하얀 강 file 미문이 2005.07.12 170
89 이성숙 산문집-고인물도 일렁인다 file 미주문협 2018.02.16 169
88 박보라 수필집-나는 위험한 상상을 한다 file 미주문협 2022.02.27 168
87 배미순 시집-꽃들은 바쁘다 file 미주문협 2018.10.01 168
86 김성진 소설-클라우디 file 미주문협 2018.05.29 168
85 꽃으로도 때리지 말라-김혜자 file 미주문협 2019.02.19 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