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국희 시집.jpg




전남 완도 출생
경희사이버대학교 문예창작학과 졸업
미주한국일보 신춘문예 당선
재외동포문학상, 가산문학상
미주시문학회 회장 역임
미주한국문인협회 회장
시집 :

맨살나무 숲에서 
신발 뒷굽을 자르다 
노스케롤라이나의 밤


추천사

김기택(시인)

단배추만 봐도 “몸속에 연한 비린내가 문신처럼” 새겨지고, 연둣빛 “어지럼이 도지는 울렁임”이 일어난다고 시인은 말한다. 자갈치라는 말에서는 아직도 “자갈자갈” 소리가 들리고, 그 자갈에는 “영도다리 난간 위에 초승달만 외로이 떴다”는 노랫가락이 배여 있어서 “철수세미로 박박 문질러도 결코 씻어낼 수 없는 갯비린내”가 난다고 시인은 말한다. 미국 LA에 살면서도 한글로 숨 쉬게 하는 이 강렬한 힘은 무엇인가. 이 시집은 대답하려고 아무리 애써도 끝내 다 대답할 수 없는 이 질문에 대답하려는 노력의 결실이다. 시인은 이 질문에 난폭하게 끌려다녀도 거기서 놓여나고 싶지 않을 것 같다. 이민의 삶이 겪어낸 이 괴로우면서도 행복했던 내밀한 시간들이 시적 상상력을 더욱 풍부하고 활기 있게 하기 때문이리라.

55068322-잉크-난초-그리기.jpg



미주한국문인협회 회장인 정국희 시인이 4번째 시집 ‘로스앤젤레스, 천사의 땅을 거처로 삼았다’(사진·시산맥)를 출간했다.

정국희 시인이 표제작에는 ‘나와 닮은 천사들이 별로 없어서 주로 한글과 친했다’고 고백한다. 팜츄리 즐비한 천사의 도시에 자리를 잡은 건 잘한 일이었지만 ‘혼자 놀아서 인지 불멸의 영혼을 지닌 나도 어쩔 수 없이 건조증에 걸렸다’고 했다. 날 것 그대로의 시어들이 이민자로 살지만 언어, 그것도 모국어에 집착해온 시인의 자의식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다.

김기택 시인은 “LA에 살면서도 한글로 숨 쉬게 하는 이 강렬한 힘은 무엇인가. 이 시집은 대답하려고 아무리 애써도 끝내 다 대답할 수 없는 이 질문에 대답하려는 노력의 결실이다. 시인은 이민의 삶이 겪어낸 시간들이 시적 상상력을 더욱 풍부하고 활기 있게 하기 때문이리라”고 설명한다.

전남 완도에서 태어난 정국희 시인은 경희사이버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고 본보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재외동포문학상과 가산문학상을 수상했으며 미주시문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시집으로 ‘맨살나무 숲에서’ ‘신발 뒷굽을 자르다’ ‘노스케롤라이나의 밤’이 있다.

정국희 시집 출판기념회는 28일 오후 6시 LA한인타운 용궁 식당에서 열린다.


미주한국일보 2019-06-24 (월)

2089_shop1_15265603555171.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 그것은 촛불이었다 file 미문이 2006.11.01 344
83 고원문학전집 1권~5권 file 미문이 2006.10.03 428
82 글마루 file 미문이 2006.09.26 285
81 문학나무 file 미문이 2006.09.20 321
80 미주시인 '2006' file 미문이 2006.09.13 189
79 너 그리고 나, 우리 file 미문이 2006.09.05 182
78 주홍빛 신호등 file 미문이 2006.08.30 146
77 길 위에서 file 미문이 2006.08.21 278
76 몇 만년의 걸음 file 미문이 2006.08.09 273
75 함께 있어 우리는 행복합니다 file 미문이 2006.08.01 226
74 하얀텃세 file 미문이 2006.07.18 272
73 가슴속에 핀 에델바이스 file 미문이 2006.07.06 309
72 미주아동문학 제 3호 file 미문이 2006.06.26 714
71 좋은시 2006 file 미문이 2006.06.06 233
70 베다니 마을 이야기 file 미문이 2006.05.30 356
69 빛이 내리는 집 file 미문이 2006.05.23 179
68 뱀잡는 여자 file 미문이 2006.05.07 344
67 시가 있는 길 file 미문이 2006.05.02 197
66 통일문학 file 미문이 2006.04.24 150
65 물들여 가기 file 미문이 2006.04.22 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