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북-문인수
2004.07.31 00:35
[뉴욕중앙일보]<시와의 대화>달북-문인수 [시]
<시와의 대화>
달북
문인수
저 만월, 만개한 침묵이다.
소리가 나지 않는 먼 어머니,
그리고 아무런 내용도 적혀있지 않지만
고금의 베스트 셀러 아닐까
덩어리째 유정한 말씀이다.
만면 환하게 젖어 통하는 달,
북이어서 그 변두리가 한없이 번지는 데
괴로워하라. 비수 댄 듯
암흑의 밑이 투둑, 타개져
천천히 붉게 머리 내밀 때까지
억눌러라. 오래 걸려 낳아놓은
대답이 두둥실 만월이다.
-------
이 휘황한 만월 앞에 서면, 꿈과 상상의 교감은 마음껏 부풀어오른다.
누구나 만월을 바라 보면서 느끼는 감성은 제각기 다르겠으나 이 시인은 만개한 달을, 만개한 어머니의 침묵으로 비유하여 ‘소리가 나지 않는 먼 어머니’로 독특하게 형상화한다. 더욱이 북처럼 울려 퍼지는 달북이 소리가 없는 북이라니 얼마나 더 환하겠는가.
북처럼 울려 퍼지는 말씀은 바로 어머니의 덩어리째 유정한 말씀인 것이며 우리의 어린 시절을 거슬러 올라가 우리 조상대대로부터 흘러내리는 유구한 말씀을 담고 있는 우리 고금의 베스트셀러와도 다름이 없는 것이다.
늘 우리의 가슴을 설레게 하는 달은, 아름답고 황홀한 감성을 풍부하게 채워주었던 것은 물론 우화적 설화의 중심적 상징이기도 해왔던 것이다. 이런 달의 이야기야말로 오래 묵은 바로 그 말씀의 덩어리가 아니겠는가.
시인은 아무리 오랜 세월이 흘러도 시공을 넘어 전해져 오는 어머니적 말씀들을, 달북으로 은유한다. 여기서 달은 동양적 인고의 내력과 고전의 아름다움을 지닌다.
그 둥글고 화사한 달무리의 모습이 번져나가는 모습은 마치 괴로워하면서도 마치 비수를 댄 듯 암흑의 밑이 투둑, 타개졌다고 하니, 그 환상적인 모습이야말로 과연 그림을 보는 듯 눈앞이 훤해진다. 곧 억눌러서 오래 걸려 낳아놓은 그 대답이란, 바로 소리없는 어머니의 오래된 말씀인 것이다.
그 쏟아지는 달빛이야말로 우리에게 늘 푸근하게 잦아드는 영원한 고전의 악보, 바로 그것이 아닐것인가. 눈부시게 시린 달의 모습이 우리에게 서정적 깊이로 큰 울림을 전해준다.
문인수 시인은 1945년 경북 출생. 1985년 <심상>으로 등단하였으며, ‘뿔’ ‘홰치는 산’‘동강의 높은 새’등 다수의 시집과 김달진 문학상, 노작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신지혜.시인>
뉴욕중앙일보
입력시간 :2004. 07. 12 17: 49
<시와의 대화>
달북
문인수
저 만월, 만개한 침묵이다.
소리가 나지 않는 먼 어머니,
그리고 아무런 내용도 적혀있지 않지만
고금의 베스트 셀러 아닐까
덩어리째 유정한 말씀이다.
만면 환하게 젖어 통하는 달,
북이어서 그 변두리가 한없이 번지는 데
괴로워하라. 비수 댄 듯
암흑의 밑이 투둑, 타개져
천천히 붉게 머리 내밀 때까지
억눌러라. 오래 걸려 낳아놓은
대답이 두둥실 만월이다.
-------
이 휘황한 만월 앞에 서면, 꿈과 상상의 교감은 마음껏 부풀어오른다.
누구나 만월을 바라 보면서 느끼는 감성은 제각기 다르겠으나 이 시인은 만개한 달을, 만개한 어머니의 침묵으로 비유하여 ‘소리가 나지 않는 먼 어머니’로 독특하게 형상화한다. 더욱이 북처럼 울려 퍼지는 달북이 소리가 없는 북이라니 얼마나 더 환하겠는가.
북처럼 울려 퍼지는 말씀은 바로 어머니의 덩어리째 유정한 말씀인 것이며 우리의 어린 시절을 거슬러 올라가 우리 조상대대로부터 흘러내리는 유구한 말씀을 담고 있는 우리 고금의 베스트셀러와도 다름이 없는 것이다.
늘 우리의 가슴을 설레게 하는 달은, 아름답고 황홀한 감성을 풍부하게 채워주었던 것은 물론 우화적 설화의 중심적 상징이기도 해왔던 것이다. 이런 달의 이야기야말로 오래 묵은 바로 그 말씀의 덩어리가 아니겠는가.
시인은 아무리 오랜 세월이 흘러도 시공을 넘어 전해져 오는 어머니적 말씀들을, 달북으로 은유한다. 여기서 달은 동양적 인고의 내력과 고전의 아름다움을 지닌다.
그 둥글고 화사한 달무리의 모습이 번져나가는 모습은 마치 괴로워하면서도 마치 비수를 댄 듯 암흑의 밑이 투둑, 타개졌다고 하니, 그 환상적인 모습이야말로 과연 그림을 보는 듯 눈앞이 훤해진다. 곧 억눌러서 오래 걸려 낳아놓은 그 대답이란, 바로 소리없는 어머니의 오래된 말씀인 것이다.
그 쏟아지는 달빛이야말로 우리에게 늘 푸근하게 잦아드는 영원한 고전의 악보, 바로 그것이 아닐것인가. 눈부시게 시린 달의 모습이 우리에게 서정적 깊이로 큰 울림을 전해준다.
문인수 시인은 1945년 경북 출생. 1985년 <심상>으로 등단하였으며, ‘뿔’ ‘홰치는 산’‘동강의 높은 새’등 다수의 시집과 김달진 문학상, 노작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신지혜.시인>
뉴욕중앙일보
입력시간 :2004. 07. 12 17: 49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3 | 이생진 시인의 '벌레 먹은 나뭇잎 | 문인귀 | 2004.08.02 | 1968 |
12 | 이성선 시인의 '물방울' | 문인귀 | 2004.08.02 | 941 |
11 | 고현혜 시인의 '집으로' | 문인귀 | 2004.08.02 | 571 |
10 | 서정주 시인의 '국화 옆에서' | 문인귀 | 2004.08.02 | 971 |
9 | 미미박 시인의 '순서' | 문인귀 | 2004.08.02 | 428 |
8 | 김남조 시인의 '국기' | 문인귀 | 2004.08.02 | 366 |
7 | 김동찬 시인의 '민들레 9' | 문인귀 | 2004.08.02 | 316 |
6 | 김영교 시인의 '생명의 날개' | 문인귀 | 2004.08.02 | 239 |
5 | 정용진 시인의 '장미' | 문인귀 | 2004.08.02 | 240 |
4 | 고원-물방울 | 문인귀 | 2004.08.02 | 209 |
3 | 고대진 「독도 2: 섬사랑」 | solo | 2004.08.02 | 329 |
» | 달 북-문인수 | 펌글 | 2004.07.31 | 534 |
1 | 아! 조운..... | 미문이 | 2004.07.29 | 18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