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주 시인의 '국화 옆에서'
2004.08.02 23:22
국화 옆에서
서정주
한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보다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천둥은 먹구름 속에서
또 그렇게 울었나보다
그립고 아쉬움에 가슴 조이던
머언 먼 젊음의 뒤안길에서
이제는 돌아와 거울 앞에 선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노오란 네 꽃잎이 필라고
간밤엔 무서리가 저리 내리고
내게는 잠도 오지 않았나보다
<이 시는>
미당 서정주(1915-2000)의 명작 '국화 옆에서'이다. 하나의 생명체의 탄생과 성장은 혼자서 저절로 되는 것이 아니고 천둥과 먹구름과 소쩍새와 모든 자연을 포함한 전 우주적인 요소와 더불어 인간의 젊음과 방황과 고뇌와(젊음의 뒤안길) 심지어는 국화 옆에 서있는 화자(話者)까지도(내게는 잠도 오지 않았다) 포함시킨 통합된 절대적인 관련성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메시지를 전하고있는 시이다. 올 가을에는 이런 의미를 염두에 두며 <국화 옆에서>를 한 번씩 낭송해보는 것이 어떨까.
수년 전 선생님의 건강을 염려하는 나에게 "내 어머니는 90에 가셨으니 나는 100세 까지는 살 것쟤?"라 하시더니 그 수(壽)를 채우지 못하고 가신지 벌써 3년이 되어간다.
서정주
전북 고창에서 태어남
193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당선
시집 <화사집><귀촉도><동천>등 다수
한국문인협회이사장/동국대학교 교수역임
대한민국예술원상등 수상
2003-12-20 02:09:38
서정주
한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보다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천둥은 먹구름 속에서
또 그렇게 울었나보다
그립고 아쉬움에 가슴 조이던
머언 먼 젊음의 뒤안길에서
이제는 돌아와 거울 앞에 선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노오란 네 꽃잎이 필라고
간밤엔 무서리가 저리 내리고
내게는 잠도 오지 않았나보다
<이 시는>
미당 서정주(1915-2000)의 명작 '국화 옆에서'이다. 하나의 생명체의 탄생과 성장은 혼자서 저절로 되는 것이 아니고 천둥과 먹구름과 소쩍새와 모든 자연을 포함한 전 우주적인 요소와 더불어 인간의 젊음과 방황과 고뇌와(젊음의 뒤안길) 심지어는 국화 옆에 서있는 화자(話者)까지도(내게는 잠도 오지 않았다) 포함시킨 통합된 절대적인 관련성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메시지를 전하고있는 시이다. 올 가을에는 이런 의미를 염두에 두며 <국화 옆에서>를 한 번씩 낭송해보는 것이 어떨까.
수년 전 선생님의 건강을 염려하는 나에게 "내 어머니는 90에 가셨으니 나는 100세 까지는 살 것쟤?"라 하시더니 그 수(壽)를 채우지 못하고 가신지 벌써 3년이 되어간다.
서정주
전북 고창에서 태어남
193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당선
시집 <화사집><귀촉도><동천>등 다수
한국문인협회이사장/동국대학교 교수역임
대한민국예술원상등 수상
2003-12-20 02:09:38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3 | 이생진 시인의 '벌레 먹은 나뭇잎 | 문인귀 | 2004.08.02 | 1968 |
12 | 이성선 시인의 '물방울' | 문인귀 | 2004.08.02 | 941 |
11 | 고현혜 시인의 '집으로' | 문인귀 | 2004.08.02 | 571 |
» | 서정주 시인의 '국화 옆에서' | 문인귀 | 2004.08.02 | 971 |
9 | 미미박 시인의 '순서' | 문인귀 | 2004.08.02 | 428 |
8 | 김남조 시인의 '국기' | 문인귀 | 2004.08.02 | 366 |
7 | 김동찬 시인의 '민들레 9' | 문인귀 | 2004.08.02 | 316 |
6 | 김영교 시인의 '생명의 날개' | 문인귀 | 2004.08.02 | 239 |
5 | 정용진 시인의 '장미' | 문인귀 | 2004.08.02 | 240 |
4 | 고원-물방울 | 문인귀 | 2004.08.02 | 209 |
3 | 고대진 「독도 2: 섬사랑」 | solo | 2004.08.02 | 329 |
2 | 달 북-문인수 | 펌글 | 2004.07.31 | 534 |
1 | 아! 조운..... | 미문이 | 2004.07.29 | 18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