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살나무-손택수

2004.08.11 02:39

펌글 조회 수:1393 추천:10















                






  



화살나무



손택수



언뜻 내민 촉들은 바깥을 향해

기세 좋게 뻗어가고 있는 것 같지만

실은 제 살을 관통하여, 자신을 명중시키기 위해

일사불란하게 모여들고 있는 가지들

자신의 몸 속에 과녁을 갖고 산다

살아갈수록 중심으로부터 점점 더

멀어지는 동심원, 나이테를 품고 산다

가장 먼 목표물은 언제나 내 안에 있었으니



어디로도 날아가지 못하는, 시윗줄처럼

팽팽하게 당겨진 산길 위에서



*********



화살나무란 우리나라 산야에서 자라는 노박덩굴과의 활엽 관목으로 그 줄기는 지팡이나 화살재료로 쓰인다고 한다.

흔히 화살이란 활시위를 떠나 먼 과녁을 향해 날아가 명중하기 마련이 아닌가. 그러나 이 시속의 화살나무의 형상은, 바깥이 아닌 내부를 향해 그 화살촉들이 일사불란하게 모여들고 있다고 시인은 그려낸다. 시인의 독특한 상상력과 심도 깊은 사유가 화살에 대한 보편적인 생각을 경이롭게 반전시킨다.

이 화살나무는, 곧 우리의 의식을 외면적 풍경보다는 우리 내면으로 자각의 눈을 되돌리게끔 만들고 있다.

우리가 추구하는 모든 욕망, 이상, 모든 맹목적이거나 이성적인 화살촉마저도 내게서 출발한 모든 것이므로 곧 나에게서 비롯된 근원의 유기적 관계와 연관되어 있음을 시인은 이미 간파한 것이다.

점점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그 나이테의 동심원 역시 화살나무가 품고 있는 원심력의 팽팽한 상호성에 연루되어 있음을 또한 시사하고 있다.

‘가장 먼 목표물은 언제나 내 안에 있었으니’라고 시인은 밖으로 당겨진 화살이 모두 안으로 당겨지고 있다는 자각에 도달한다. 이 시속의 화살나무는 범상치 않은 시인의 시선과 반전에 의해 빛을 내뿜고 있다. 마치 화살나무의 내부가 불이라도 켜진 것처럼 눈이 부신 듯 함은, 아마도 그 긴장된 화살촉들이 모두 내부를 향하여 팽팽하게 당겨지고 있기 때문이 아니겠는가.



손택수 시인은 1970년 전남 담양 출생. 1998년 ‘한국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으며 시집으로 ‘호랑이 발자국’이 있으며 부산작가상을 수상했다.<신지혜 시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3 아! 조운..... 미문이 2004.07.29 168
112 달 북-문인수 펌글 2004.07.31 496
111 고대진 「독도 2: 섬사랑」 solo 2004.08.02 319
110 고원-물방울 문인귀 2004.08.02 199
109 정용진 시인의 '장미' 문인귀 2004.08.02 231
108 김영교 시인의 '생명의 날개' 문인귀 2004.08.02 227
107 김동찬 시인의 '민들레 9' 문인귀 2004.08.02 303
106 김남조 시인의 '국기' 문인귀 2004.08.02 359
105 미미박 시인의 '순서' 문인귀 2004.08.02 422
104 서정주 시인의 '국화 옆에서' 문인귀 2004.08.02 945
103 고현혜 시인의 '집으로' 문인귀 2004.08.02 557
102 이성선 시인의 '물방울' 문인귀 2004.08.02 924
101 이생진 시인의 '벌레 먹은 나뭇잎 문인귀 2004.08.02 1946
100 장태숙 시인의 '자카란다' 문인귀 2004.08.02 991
99 박두진 '해' 솔로 2004.08.02 1437
98 송수권 '아내의 맨발' 솔로 2004.08.02 1220
97 곽재구 '사평역에서' 솔로 2004.08.02 1211
96 김기림 시인의 '태양의 풍속' 문인귀 2004.08.02 1673
95 이윤홍 시집 '살아 숨쉬는 기억' 문인귀 2004.08.02 1042
94 이은상「성불사의 밤」 솔로 2004.08.02 1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