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종기 시인의 '우리나라의 등대'
2004.10.15 15:46
<시와 함께하는 산책 2>
우리나라의 등대
마종기/시인오하이오의대교수현재 프로리다거주
누가 우리나라의 등대를 만들까.
세상은 오늘도 가늠하기 어렵고
죽기 아니면 살기, 살기 아니면 다시 시작하기.
잔잔히 속삭이던 바다는 처음부터 없었지만
누가 우리나라의 큰 등대를 만들어
좁고 험한 바닷길을 밝게 보여줄까.
진흙을 모아 벽돌을 굽는 몇 사람이 보인다.
그 벽돌을 나르는 몇 사람과 몇 사람.
설계를 마친 몇 사람과 벽돌 쌓는 몇 사람 사이
파도가 쳐 와도 일손 쉬지 않는 몇 사람이 보인다.
높은 층계를 끝까지 올라가서 그 하늘 가까이
달덩이만한 조명등을 사면에 달면
보인다, 환하게 서 있는 우리나라 강산.
그때면 벽돌 반쪽이 되어 이끼를 덮어쓴들
우리가 무엇을 억울해하랴.
흥겨운 장구 소리, 꽹과리 소리 들리는 바다,
온 나라의 땀과 눈물이 춤춘다.
누가 우리나라의 환한 등대를 만들까.
그때면 굴껍데기가 되어 물결에 흔들린들
우리가 그 어느 바다를 두려워하랴.
등대의 사명은 어둠을 밝히는 것에 있다. 어디가 어딘지 가늠할 수 없는 깜깜한 밤바다에 묵묵히 뱃길을 밝혀주는 등대, 세상의 어둡고 험한 곳에도 그 빛을 발하며 우리가 마땅히 가야할 길을 밝혀주는 등대가 있다. 그렇듯 우리에게도 나라를 지키는 등대가 있다. 그런데 그 등대는 과연 누가 만들고 있는 것일까, 똑똑한 몇몇 사람들이나 정치하는 몇 사람들? 천만의 말씀, 그렇지 않다. 우리에겐 진흙을 개서 벽돌을 굽는 사람들이 있다. 그 것을 나르고 또 그것을 하늘 높이 쌓아 올리며 달덩이만한 조명등을 다는 사람들이 있다. 어떤 일에도 일손을 멈추지 않고 그렇게 묵묵히 일 하는 사람들이 우리나라의 등대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아니 그들은 우리나라를 밝히는 바로 그 등대임에 틀림이 없다. 이렇게 등대를 만들고 등대가 되는 사람들은 비록 반쪽 벽돌로 남아 오랜 세월 이끼를 덮어 쓴 채 그렇게 살아간다 해도 아무런 불만을 가지거나 억울해 하지 않는다. 그것은 아름다운 나라, 환하게 서 있는 우리나라, 그리고 굿 한 판 멋들어지게 어울리는 흥겨움을 비추는 그 일을 하는 것으로 만족하기 때문이다. 이렇듯 우리에게는 노력하는 땀과 견디는 눈물 있으니 아무리 힘든 역경이 닥친다 한들 무엇이 두려우랴.
- 문인귀/시인
*2004년 10월 15일자 '일요신문'게재
우리나라의 등대
마종기/시인오하이오의대교수현재 프로리다거주
누가 우리나라의 등대를 만들까.
세상은 오늘도 가늠하기 어렵고
죽기 아니면 살기, 살기 아니면 다시 시작하기.
잔잔히 속삭이던 바다는 처음부터 없었지만
누가 우리나라의 큰 등대를 만들어
좁고 험한 바닷길을 밝게 보여줄까.
진흙을 모아 벽돌을 굽는 몇 사람이 보인다.
그 벽돌을 나르는 몇 사람과 몇 사람.
설계를 마친 몇 사람과 벽돌 쌓는 몇 사람 사이
파도가 쳐 와도 일손 쉬지 않는 몇 사람이 보인다.
높은 층계를 끝까지 올라가서 그 하늘 가까이
달덩이만한 조명등을 사면에 달면
보인다, 환하게 서 있는 우리나라 강산.
그때면 벽돌 반쪽이 되어 이끼를 덮어쓴들
우리가 무엇을 억울해하랴.
흥겨운 장구 소리, 꽹과리 소리 들리는 바다,
온 나라의 땀과 눈물이 춤춘다.
누가 우리나라의 환한 등대를 만들까.
그때면 굴껍데기가 되어 물결에 흔들린들
우리가 그 어느 바다를 두려워하랴.
등대의 사명은 어둠을 밝히는 것에 있다. 어디가 어딘지 가늠할 수 없는 깜깜한 밤바다에 묵묵히 뱃길을 밝혀주는 등대, 세상의 어둡고 험한 곳에도 그 빛을 발하며 우리가 마땅히 가야할 길을 밝혀주는 등대가 있다. 그렇듯 우리에게도 나라를 지키는 등대가 있다. 그런데 그 등대는 과연 누가 만들고 있는 것일까, 똑똑한 몇몇 사람들이나 정치하는 몇 사람들? 천만의 말씀, 그렇지 않다. 우리에겐 진흙을 개서 벽돌을 굽는 사람들이 있다. 그 것을 나르고 또 그것을 하늘 높이 쌓아 올리며 달덩이만한 조명등을 다는 사람들이 있다. 어떤 일에도 일손을 멈추지 않고 그렇게 묵묵히 일 하는 사람들이 우리나라의 등대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아니 그들은 우리나라를 밝히는 바로 그 등대임에 틀림이 없다. 이렇게 등대를 만들고 등대가 되는 사람들은 비록 반쪽 벽돌로 남아 오랜 세월 이끼를 덮어 쓴 채 그렇게 살아간다 해도 아무런 불만을 가지거나 억울해 하지 않는다. 그것은 아름다운 나라, 환하게 서 있는 우리나라, 그리고 굿 한 판 멋들어지게 어울리는 흥겨움을 비추는 그 일을 하는 것으로 만족하기 때문이다. 이렇듯 우리에게는 노력하는 땀과 견디는 눈물 있으니 아무리 힘든 역경이 닥친다 한들 무엇이 두려우랴.
- 문인귀/시인
*2004년 10월 15일자 '일요신문'게재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3 | 강우식시인의 '노인일기2'--丈母喪 | 문인귀 | 2004.11.21 | 1368 |
32 | 유장균시인의 제2안경의 추억 | 문인귀 | 2004.10.26 | 1263 |
31 | 서정주시인의 '나그네의 꽃다발' | 문인귀 | 2004.10.22 | 1420 |
» | 마종기 시인의 '우리나라의 등대' | 문인귀 | 2004.10.15 | 1514 |
29 | 고원 시인의 '지고 가지요' | 문인귀 | 2004.10.08 | 986 |
28 | 구상 시인의 '오늘' | 문인귀 | 2004.10.08 | 4290 |
27 | 김남조 시인의 '성서' | 문인귀 | 2004.10.08 | 1186 |
26 | 유안진 시인의 '멀리 있기' | 문인귀 | 2004.10.08 | 1113 |
25 | 김현승 「창」 | 솔로 | 2004.08.20 | 1584 |
24 | 박남수 「새」 | 솔로 | 2004.08.20 | 3131 |
23 | 화살나무-손택수 | 펌글 | 2004.08.11 | 1413 |
22 | 정현종-개들은 말한다 | 펌글 | 2004.08.06 | 1123 |
21 | 나비-김혜순 | 펌글 | 2004.08.03 | 1008 |
20 | 이은상「성불사의 밤」 | 솔로 | 2004.08.02 | 1456 |
19 | 이윤홍 시집 '살아 숨쉬는 기억' | 문인귀 | 2004.08.02 | 1050 |
18 | 김기림 시인의 '태양의 풍속' | 문인귀 | 2004.08.02 | 1688 |
17 | 곽재구 '사평역에서' | 솔로 | 2004.08.02 | 1226 |
16 | 송수권 '아내의 맨발' | 솔로 | 2004.08.02 | 1225 |
15 | 박두진 '해' | 솔로 | 2004.08.02 | 1447 |
14 | 장태숙 시인의 '자카란다' | 문인귀 | 2004.08.02 | 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