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서유럽 등에 비하면 한국문학 번역의 불모지나 다름없는 러시아와 구 소련 지역에서 한국의 시와 희곡, 고전문학이 연이어 번역·출판되고 있어 주목을 끈다.
모스크바 세계문학연구소는 최근 <한국 현대대표시선>을 완역해 출간했다.
책에는 '성북동 비둘기'의 김광섭, '꽃'의 김춘수, '금강'의 신동엽, '농무'의 신경림, 연작시 '만인보'의 고은 등 모두 34명의 한국 시인들이 소개됐고, 79편의 작품이 실렸다.

한국외대 교환교수를 지낸 라리사 피사레바와 한국외대 노어과 김현택 공수가 공역한 이 책의 홍보에 재러 한국대사관 문화센터, 모스크바 삼일문화원 등이 적극 나서고 있다. 한국학과가 개설된 러시아 대학들에서는 이 책을 교과서로 사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러시아국립연극아카데미 출판사가 제작한 <한국연극 1> 번역본도 화제다.
이 책은 러시아로 번역된 첫 한국 대표희곡집으로 유치진의 '처용의 노래' 함세덕의 '동승(童僧)' 오영진의 '맹진사댁 경사' 윤대성의 '출발' 등이 실렸다.

유치진의 작품은 벌써부터 러시아 연출가들이 연극화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어, 한국 희곡을 바탕으로 제작된 러시아어 연극이 공연될 가능성이 높다.
'단군신화' '바보온달' '심청전' '별주부전' 등을 소개하고 있는 <강독을 위한 한국고전문학>도 도서출판 베델기획에 의해 번역·출간됐다. 이 책은 한국어와 한국의 전통문화를 비교적 알기 쉽게 서술하고 있는 책이라 향후 청소년 교육교재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이번 번역과 출간작업을 지원한 대산문화재단(이사장 신창재)은 '책의 출간이 그간 한국문학에 대한 소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지역에서 한국문학 붐을 일으키는 작은 계기가 됐으면 한다'는 기대를 전했다.

ⓒ 2005 오마이뉴스/ 홍성식 기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2017 문학축제 김종회 교수 강의 원고 미주문협 2017.08.24 259
공지 미주문학 USC 데어터베이스 자료입니다. 미주문협 2017.08.14 238
74 ‘문학관광’ 시대 활짝 미문이 2007.09.08 908
73 우리가 만나면 알아볼수 있을까요? 미문이 2006.12.05 918
72 공지영 ((빗방울처럼 나는 혼자였다)) 中에서 미문이 2007.01.05 921
71 시인육성 동영상/나태주편 미문이 2008.08.22 929
70 시를 쓰려거든 여름 바다처럼 /이어령) 미문이 2007.05.16 939
69 올해 문학계 ‘대표주자’ 누굴까 미문이 2007.07.03 939
68 두 편의 시가 주는 의미-성기조 미문이 2007.08.20 947
67 YTN 방송국 '동포의'창 미문이 2006.12.02 956
66 시인 선서(1990년)/김종해 미문이 2007.08.13 975
65 [동영상]윤이상 영상 다큐-용의 귀환 미문이 2006.07.19 976
64 『05년 서울신문 당선작』흔한 풍경.. 김미령 미문이 2005.03.14 982
63 '시(詩)로 만든 잔치' 그 기발함이란! 미문이 2008.12.27 997
62 이문열 씨! 멋진 보수주의자가 되세요 미문이 2007.04.25 1006
61 다시 2007년 기약한 고은 시인 "그래도 내 문학의 정진은 계속될 것" 미문이 2007.04.25 1009
60 신영철이 만난 휴먼 알피니스트 (산악문화) -조선북스 미문이 2007.12.17 1016
59 문단 대가들 장편 들고 잇달아 귀환… 침체 문학계에 활력소 미문이 2007.04.25 1019
58 '한국의 작고 문인 초상 드로인전' 미문이 2008.03.20 1023
57 『05년 한국일보 당선작』나무도마..신기섭 미문이 2005.03.14 1033
56 <font color=blue>좋은시의 조건 </font> 미문이 2005.04.05 1046
55 문학, 넌 책으로만 보니? 미문이 2006.07.19 1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