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어로 출판되는 신동엽·김춘수·고은 시인의 시
2005.01.22 16:52
미국과 서유럽 등에 비하면 한국문학 번역의 불모지나 다름없는 러시아와 구 소련 지역에서 한국의 시와 희곡, 고전문학이 연이어 번역·출판되고 있어 주목을 끈다.
모스크바 세계문학연구소는 최근 <한국 현대대표시선>을 완역해 출간했다.
책에는 '성북동 비둘기'의 김광섭, '꽃'의 김춘수, '금강'의 신동엽, '농무'의 신경림, 연작시 '만인보'의 고은 등 모두 34명의 한국 시인들이 소개됐고, 79편의 작품이 실렸다.
한국외대 교환교수를 지낸 라리사 피사레바와 한국외대 노어과 김현택 공수가 공역한 이 책의 홍보에 재러 한국대사관 문화센터, 모스크바 삼일문화원 등이 적극 나서고 있다. 한국학과가 개설된 러시아 대학들에서는 이 책을 교과서로 사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러시아국립연극아카데미 출판사가 제작한 <한국연극 1> 번역본도 화제다.
이 책은 러시아로 번역된 첫 한국 대표희곡집으로 유치진의 '처용의 노래' 함세덕의 '동승(童僧)' 오영진의 '맹진사댁 경사' 윤대성의 '출발' 등이 실렸다.
유치진의 작품은 벌써부터 러시아 연출가들이 연극화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어, 한국 희곡을 바탕으로 제작된 러시아어 연극이 공연될 가능성이 높다.
'단군신화' '바보온달' '심청전' '별주부전' 등을 소개하고 있는 <강독을 위한 한국고전문학>도 도서출판 베델기획에 의해 번역·출간됐다. 이 책은 한국어와 한국의 전통문화를 비교적 알기 쉽게 서술하고 있는 책이라 향후 청소년 교육교재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이번 번역과 출간작업을 지원한 대산문화재단(이사장 신창재)은 '책의 출간이 그간 한국문학에 대한 소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지역에서 한국문학 붐을 일으키는 작은 계기가 됐으면 한다'는 기대를 전했다.
ⓒ 2005 오마이뉴스/ 홍성식 기자
모스크바 세계문학연구소는 최근 <한국 현대대표시선>을 완역해 출간했다.
책에는 '성북동 비둘기'의 김광섭, '꽃'의 김춘수, '금강'의 신동엽, '농무'의 신경림, 연작시 '만인보'의 고은 등 모두 34명의 한국 시인들이 소개됐고, 79편의 작품이 실렸다.
한국외대 교환교수를 지낸 라리사 피사레바와 한국외대 노어과 김현택 공수가 공역한 이 책의 홍보에 재러 한국대사관 문화센터, 모스크바 삼일문화원 등이 적극 나서고 있다. 한국학과가 개설된 러시아 대학들에서는 이 책을 교과서로 사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러시아국립연극아카데미 출판사가 제작한 <한국연극 1> 번역본도 화제다.
이 책은 러시아로 번역된 첫 한국 대표희곡집으로 유치진의 '처용의 노래' 함세덕의 '동승(童僧)' 오영진의 '맹진사댁 경사' 윤대성의 '출발' 등이 실렸다.
유치진의 작품은 벌써부터 러시아 연출가들이 연극화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어, 한국 희곡을 바탕으로 제작된 러시아어 연극이 공연될 가능성이 높다.
'단군신화' '바보온달' '심청전' '별주부전' 등을 소개하고 있는 <강독을 위한 한국고전문학>도 도서출판 베델기획에 의해 번역·출간됐다. 이 책은 한국어와 한국의 전통문화를 비교적 알기 쉽게 서술하고 있는 책이라 향후 청소년 교육교재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이번 번역과 출간작업을 지원한 대산문화재단(이사장 신창재)은 '책의 출간이 그간 한국문학에 대한 소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지역에서 한국문학 붐을 일으키는 작은 계기가 됐으면 한다'는 기대를 전했다.
ⓒ 2005 오마이뉴스/ 홍성식 기자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2017 문학축제 김종회 교수 강의 원고 | 미주문협 | 2017.08.24 | 311 |
공지 | 미주문학 USC 데어터베이스 자료입니다. | 미주문협 | 2017.08.14 | 287 |
14 | ‘첫사랑’찾아 중국 다녀온 95세의 피천득시인 | 미문이 | 2005.06.05 | 1246 |
13 | 詩的 세계관이란 무엇인가 | 미문이 | 2005.05.04 | 1438 |
12 | 처음 시를 배울 때 고쳐야 할 표현들 / 도종환 | 미문이 | 2005.05.04 | 1511 |
11 | 술이 없다면 詩人도 없다? /경향신문 | 미문이 | 2005.03.03 | 281 |
10 | ‘가장 따뜻한 책’… “아무렴,사람보다 꽃이 아름다울까” / 국민일보 | 미문이 | 2005.03.03 | 344 |
9 | 시(詩)를 쓰려거든 여름바다처럼 / 이어령 | 미문이 | 2005.07.15 | 1262 |
8 | 정현종 시인의 육필 수제본 시선집 | 미문이 | 2005.01.22 | 526 |
» | 러시아어로 출판되는 신동엽·김춘수·고은 시인의 시 | 미문이 | 2005.01.22 | 1188 |
6 | 『05년 조선일보 당선작』소백산엔 사과가 많다.. 김승해 | 미문이 | 2005.03.14 | 317 |
5 | 아버지와 딸 2대째 '이상문학상' / 경향신문 | 미문이 | 2005.01.18 | 505 |
4 | 위트와 유모어의 문학/수필 | 미문이 | 2005.01.14 | 801 |
3 | [2005년 전남일보 신춘문예] 당선시/심사평 | 미문이 | 2005.01.18 | 456 |
2 | 신춘문예 詩 가작 시각장애인 손병걸 씨/부산일보 | 미문이 | 2005.01.18 | 516 |
1 | 김광수 / 시조의 존재 이유는 형식 | 미문이 | 2004.07.29 | 4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