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현종 시인의 육필 수제본 시선집

2005.01.22 17:02

미문이 조회 수:514 추천:8

우리 시문단의 큰 별이자 지난해 네루다상을 수상하는 등 세계적인 시인으로 칭송받고 있는 정현종 시인이 국내 최초로 자필 수제본 시집을 출간합니다.

정현종 시인이 평생 써 온 자작시 중에서 30편을 골라 엮은 이 시선집에서 시인이 다듬고 지켜온 시 정신과 영혼의 정수를 만날 수 있으실 것입니다.

국내에서는 최초로 시인이 직접 쓴 자필 시집이며, 한국 전통의 수제본 방식으로 제작되어 책의 내용과 형식이 품격을 갖춤으로써 한국 詩史에 큰 가치로 남게 될 것이다.

이 책은 시문학이 소원해진 세상에서도 지난 2003년 출간한 시집 『견딜 수 없네』(시와시학사)에 독자들이 보내 준 애정에 대해 시인과 출판사가 헌정시집으로 기획되었다.

1. 인터넷 서점에서만 주문제 판매
2. 100부 한정본(선착순 마감, 책의 일련번호 역시 선착순으로 매겨집니다.)
3. 판매가 35만원

다음은 조선일보 김태익 논설위원의 [만물상]시인의 육필(2005.1.17) 중 일부입니다.

▶예술가들의 육필(肉筆)은 그 예술가의 일부다. 큰 예술가들은 그래서 자신의 육필을 관리한다. 시인이나 소설가는 글 쓰는 걸 업으로 하는 사람들이지만 그들 역시 육필로 독자를 만나는 경우는 드물다. 독자들은 육필을 통해 시인이나 소설가의 세계로 바로 들어가고 싶다. 그래서 저자의 체취가 담긴 육필 저서는 ‘희귀본’으로, 장서가들이 탐을 내는 보물이다.

...

▶“사람들 사이에 섬이 있다/ 그 섬에 가고 싶다”(섬)던 정현종 시인이 올해 연세대 정년 퇴임을 맞아 100부 한정본 육필 시선(詩選)을 출간했다. 자신이 지금까지 쓴 시들 중 30편을 골라 29편을 자필로 써 실크 인쇄하고 한 편은 직접 쓴 원본 그대로 실었으니 세상에 단 하나뿐인 시집인 셈이다. ‘풍산 한지’라는 최고급 한지를 사용하고 ‘오침 제본’이란 전통 제본 방식을 이용했다.

▶“시를 썼으면/ 그걸 그냥 땅에 묻어두거나/ 하늘에 묻어둘 일이거늘/ 부랴부랴 발표라고 하고 있으니/ 불쌍하도다 나여/ 숨어도 가난한 옷자락 보이도다”(불쌍하도다) 정 시인으로선 호사한 장정이나 비싼 책값(35만원)이 난감할지 모르겠다. 그러나 이 경우 시집의 값을 따지는 것은 부질없다. 그냥 “詩=대답할 수 없음에 대한 변명, 그리고 가능한 대답 중의 최선의 길”이라며 시를 통해 한 시대를 구원해온 시인에 대한 우리 사회의 최소한의 경의(敬意) 표시라고 보면 되지 않겠는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2017 문학축제 김종회 교수 강의 원고 미주문협 2017.08.24 259
공지 미주문학 USC 데어터베이스 자료입니다. 미주문협 2017.08.14 238
92 최정례시인 문학강좌 file 미주문협 2019.08.25 92
91 2019 문학캠프 & 문학여행 공지 [1] file 미주문협 2019.08.11 77
90 이전 문학서재 메뉴얼 압축파일(보관용)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1 255
89 2008 한국문학 뉴스들 미문이 2008.12.27 1098
88 '시(詩)로 만든 잔치' 그 기발함이란! 미문이 2008.12.27 997
87 문효치시인의 문학강론 동영상 미문이 2008.08.22 1133
86 시인육성 동영상/나태주편 미문이 2008.08.22 929
85 문학과 지성 30년, 한국문학 30년 미문이 2008.06.30 1208
84 한시인의 고백/이향아 미문이 2008.05.21 1135
83 2008년 벽두, 남북 문화예술교류에 관한 밝은 소식 미문이 2008.05.14 855
82 현대시 100년/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이상화 미문이 2008.04.25 906
81 지인들이 보내온 편지로 본 청마 유치환 미문이 2008.03.20 1137
80 '한국의 작고 문인 초상 드로인전' 미문이 2008.03.20 1023
79 대선후보들은 어떤 책을 읽을까 미문이 2008.03.20 876
78 작가들이 추천하는 인터넷 문학사이트 100선 미문이 2008.01.29 4854
77 한국문단비사/전혜린 미문이 2008.01.29 1084
76 신영철이 만난 휴먼 알피니스트 (산악문화) -조선북스 미문이 2007.12.17 1016
75 나는 왜 문학을 하는가 미문이 2007.11.07 8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