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빛나는 건 별과 시 뿐"
2005.09.10 06:50
시작(詩作) 40년 맞아 6번째 시집 낸 천양희
"입들이 너무 많아 헛말이 많은 세상 참말이 그리워"
▶바람이 불자“바람까지 함께 찍어 주세요”라고 주문한 천양희 시인. / 이명원기자
“시인은 캄캄한 빈 집에 따뜻한 불을 밝히는 존재와 같고, 탁한 공기를 바람처럼 가르는 존재가 아닐까요. 시인으로 입문한 지 40년이 됐는데, 왜 시를 쓰느냐고 묻는다면 ‘잘 살기 위해서’라고 대답합니다. 시가 나를 살려주기 때문에 잘 산다고 말할 수 있는 겁니다.”
시작(詩作) 40년을 맞아 6번째 시집 ‘너무 많은 입’(창비)을 펴낸 천양희 시인(63)은 오로지 시만 써서 생활하는 전업 시인이다. “한 달 수입 30만원으로 산 적도 있다”며 웃는다. 그는 ‘시인은 시적으로 지상에 산다’라는 시를 통해 ‘원고료도 주지 않는 잡지에 시를 주면서/정신이 밥 먹여 주는 세상을 꿈꾸면서/아직도 빛나는 건 별과 시뿐이라고 생각하면서/제 숟가락으로 제 생을 파먹으면서’ 산다고 말했다.
그는 소월시문학상(1996년)과 현대문학상(1998년)을 받은 중진 시인. 그러나 이번 시집에서 내보인 내면의 자화상은 ‘언어의 사원’(詩)을 짓는 구도자(求道者)의 첫 자세 그대로다. ‘벌새는 1초에 90번이나/제 몸을 쳐서/공중에 부동자세로 서고/ 파도는 하루에 70만 번이나 제 몸을 쳐서 소리를 낸다// 나는 하루에 몇 번이나/ 내 몸을 쳐서 시를 쓰나’(‘벌새가 사는 법’ 전문)
시인은 현재 지하철 5호선 마들역 부근의 한 아파트에 산다. 한때 말들이 뛰놀던 들판이었지만 이제 아파트 단지가 들어선 곳이다. 마들이 서울과 의정부의 경계에 해당하듯이, 시인은 도시와 자연의 경계인으로 살면서 숲과 달과 별을 통해 잃어버린 꿈을 되찾으려는 서정시를 쓴다. ‘있다가도 없는 게 생(生)이다, 마들이여/ 나는 너에게 줄 야마(野馬)도 없는데/ 내 생각은 말의 안장처럼 세월 위에 얹힌다/ 누가 나에게 사는 일 깨닫게 하려고 나쁜 일도 주는 걸까/ 어딘가 들판 그리운 사람 있을 듯/ 헐렁한 내 신발은 아직 집 밖에 있다’(시 ‘마들은 없다’ 부분)
시인은 “별을 보고 길을 묻던 나그네들 다 어디로 갔나”하고 체코 소설가 밀란 쿤데라가 ‘느림’에서 한탄했듯, “그 많던 한량들은 다 어디로 갔나”고 물었다. 별이 그리운 날이면 윤항기의 노래 ‘별이 빛나는 밤에’를 즐겨 부른다는 시인은 시 ‘별자리’에서 ‘서울엔 별별 사람 많아/ 가끔 하늘을 잊기도 하였으나/ 별자리는 처음부터 별의 자리였다’고 노래했다.
시집 ‘너무 많은 입’의 표제작을 통해 시인은 ‘쉰살이 되어도 나의 입은/ 문득 사라지지 않고/ 목 쉰 나팔이 되어버렸다/ 어쩌면 좋담?’이라고 자책했다. 시인은 “입들이 너무 많고 헛말이 너무 많은 세태를 빗댄 것”이라며 “참말이 그립고, 참말은 참마음에서 나오는 것인데, 참됨이 사라지고 있다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박해현기자 hhpark@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