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 100년사 최고 시집은?

2005.10.03 10:43

미문이 조회 수:1207 추천:62

현대시 100년사 최고 시집은 백석의 '사슴'


계간 '시인세계' 현역시인 156명 설문조사

(서울=연합뉴스) 정천기 기자 = 한국 현대시 100년사에서 우리 시인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시집은 백석의 '사슴'(1936)으로 조사됐다. 시인별 조사에서는 서정주, 정지용에게서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계간 '시인세계'가 김종길 김남조 홍윤숙 신경림 정진규 천양희 오세영 오탁번 강은교 노향림 신달자 이성복 정일근 안도현 함민복 문태준 손택수 등 원로·중진에서 젊은 시인까지 156명에게 설문조사한 결과다.

'시인세계' 여름호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0년 간 간행된 시집 가운데 시인들이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시집'이나 '좋아하는 시인의 시집'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백석의 시집 '사슴'이 12명으로부터 추천받아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김수영의 '거대한 뿌리'(1974) 10명, 정지용의 '정지용 시집'(1935) 9명, 이성복의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1980) 8명, 서정주의 '화사집'(1941) 6명의 순으로 추천받아 '현대시 100년사 5권의 시집'에 올랐다.

정지용의 '백록담', 김소월의 '진달래꽃', 이상의 '이상전집', 김종삼의 '북치는 소년'은 각 5명으로 공동 6위, 김춘수의 '꽃의 소묘'와 기형도의 '입 속의 검은 잎'은 각 4명이 추천해 공동 10위에 올랐다.

시인별로는 '화사집' '동천' '서정주 시선' '질마재 신화' 등 여러 권으로 분산돼 추천받은 서정주가 '정지용 시집' '백록담'을 시집부문 10위권에 올려놓은 정지용과 함께 각 14명의 추천을 받아 공동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백석(12명), 김수영 이성복(각 11명), 김종삼 김춘수(각 6명), 이상 김소월(각 5명), 기형도 황동규(각 4명)의 순이다.

조사결과를 분석한 문학평론가 김인환 고려대 교수는 "지용(芝溶)과 미당(未堂)은 채(彩)요/백석(白石)과 수영(洙暎)은 기(氣)요/성복(晟馥)은 기채간(氣彩間)이라"고 요약했다.

그러면서 "한국 현대시의 커다란 흐름은 탐미주의와 현실의식을 바탕으로 뻗어나와 두 흐름이 이성복에게 모아져 모험을 찾아 떠나는 최근의 시인들에게로 이어지고 있다"며 "다섯 권의 시집들은 새로운 시인들이 전진해 나아가야 할 처녀지를 비춰주는 등대들이다"고 평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2017 문학축제 김종회 교수 강의 원고 미주문협 2017.08.24 256
공지 미주문학 USC 데어터베이스 자료입니다. 미주문협 2017.08.14 235
92 2019 문학캠프 & 문학여행 공지 [1] file 미주문협 2019.08.11 74
91 최정례시인 문학강좌 file 미주문협 2019.08.25 90
90 이전 문학서재 메뉴얼 압축파일(보관용)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1 253
89 술이 없다면 詩人도 없다? /경향신문 미문이 2005.03.03 269
88 『05년 조선일보 당선작』소백산엔 사과가 많다.. 김승해 미문이 2005.03.14 307
87 ‘가장 따뜻한 책’… “아무렴,사람보다 꽃이 아름다울까” / 국민일보 미문이 2005.03.03 330
86 김광수 / 시조의 존재 이유는 형식 미문이 2004.07.29 435
85 [2005년 전남일보 신춘문예] 당선시/심사평 미문이 2005.01.18 436
84 아버지와 딸 2대째 '이상문학상' / 경향신문 미문이 2005.01.18 496
83 신춘문예 詩 가작 시각장애인 손병걸 씨/부산일보 미문이 2005.01.18 501
82 정현종 시인의 육필 수제본 시선집 미문이 2005.01.22 514
81 위트와 유모어의 문학/수필 미문이 2005.01.14 785
80 민속문학작가회의 30주년 기념다큐 미문이 2006.06.29 828
79 2008년 벽두, 남북 문화예술교류에 관한 밝은 소식 미문이 2008.05.14 853
78 대선후보들은 어떤 책을 읽을까 미문이 2008.03.20 874
77 『05년 동아일보 당선작』단단한 뼈.. 이영옥 미문이 2005.03.14 894
76 현대시 100년/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이상화 미문이 2008.04.25 904
75 지식인의 말 미문이 2007.10.09 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