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 100년사 최고 시집은?

2005.10.03 10:43

미문이 조회 수:1207 추천:62

현대시 100년사 최고 시집은 백석의 '사슴'


계간 '시인세계' 현역시인 156명 설문조사

(서울=연합뉴스) 정천기 기자 = 한국 현대시 100년사에서 우리 시인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시집은 백석의 '사슴'(1936)으로 조사됐다. 시인별 조사에서는 서정주, 정지용에게서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계간 '시인세계'가 김종길 김남조 홍윤숙 신경림 정진규 천양희 오세영 오탁번 강은교 노향림 신달자 이성복 정일근 안도현 함민복 문태준 손택수 등 원로·중진에서 젊은 시인까지 156명에게 설문조사한 결과다.

'시인세계' 여름호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0년 간 간행된 시집 가운데 시인들이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시집'이나 '좋아하는 시인의 시집'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백석의 시집 '사슴'이 12명으로부터 추천받아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김수영의 '거대한 뿌리'(1974) 10명, 정지용의 '정지용 시집'(1935) 9명, 이성복의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1980) 8명, 서정주의 '화사집'(1941) 6명의 순으로 추천받아 '현대시 100년사 5권의 시집'에 올랐다.

정지용의 '백록담', 김소월의 '진달래꽃', 이상의 '이상전집', 김종삼의 '북치는 소년'은 각 5명으로 공동 6위, 김춘수의 '꽃의 소묘'와 기형도의 '입 속의 검은 잎'은 각 4명이 추천해 공동 10위에 올랐다.

시인별로는 '화사집' '동천' '서정주 시선' '질마재 신화' 등 여러 권으로 분산돼 추천받은 서정주가 '정지용 시집' '백록담'을 시집부문 10위권에 올려놓은 정지용과 함께 각 14명의 추천을 받아 공동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백석(12명), 김수영 이성복(각 11명), 김종삼 김춘수(각 6명), 이상 김소월(각 5명), 기형도 황동규(각 4명)의 순이다.

조사결과를 분석한 문학평론가 김인환 고려대 교수는 "지용(芝溶)과 미당(未堂)은 채(彩)요/백석(白石)과 수영(洙暎)은 기(氣)요/성복(晟馥)은 기채간(氣彩間)이라"고 요약했다.

그러면서 "한국 현대시의 커다란 흐름은 탐미주의와 현실의식을 바탕으로 뻗어나와 두 흐름이 이성복에게 모아져 모험을 찾아 떠나는 최근의 시인들에게로 이어지고 있다"며 "다섯 권의 시집들은 새로운 시인들이 전진해 나아가야 할 처녀지를 비춰주는 등대들이다"고 평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2017 문학축제 김종회 교수 강의 원고 미주문협 2017.08.24 258
공지 미주문학 USC 데어터베이스 자료입니다. 미주문협 2017.08.14 237
34 다시 2007년 기약한 고은 시인 "그래도 내 문학의 정진은 계속될 것" 미문이 2007.04.25 1009
33 이문열 씨! 멋진 보수주의자가 되세요 미문이 2007.04.25 1006
32 '시(詩)로 만든 잔치' 그 기발함이란! 미문이 2008.12.27 996
31 『05년 서울신문 당선작』흔한 풍경.. 김미령 미문이 2005.03.14 982
30 [동영상]윤이상 영상 다큐-용의 귀환 미문이 2006.07.19 976
29 시인 선서(1990년)/김종해 미문이 2007.08.13 975
28 YTN 방송국 '동포의'창 미문이 2006.12.02 956
27 두 편의 시가 주는 의미-성기조 미문이 2007.08.20 947
26 올해 문학계 ‘대표주자’ 누굴까 미문이 2007.07.03 939
25 시를 쓰려거든 여름 바다처럼 /이어령) 미문이 2007.05.16 939
24 시인육성 동영상/나태주편 미문이 2008.08.22 928
23 공지영 ((빗방울처럼 나는 혼자였다)) 中에서 미문이 2007.01.05 921
22 우리가 만나면 알아볼수 있을까요? 미문이 2006.12.05 918
21 ‘문학관광’ 시대 활짝 미문이 2007.09.08 908
20 지식인의 말 미문이 2007.10.09 906
19 현대시 100년/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이상화 미문이 2008.04.25 904
18 『05년 동아일보 당선작』단단한 뼈.. 이영옥 미문이 2005.03.14 894
17 대선후보들은 어떤 책을 읽을까 미문이 2008.03.20 875
16 2008년 벽두, 남북 문화예술교류에 관한 밝은 소식 미문이 2008.05.14 854
15 민속문학작가회의 30주년 기념다큐 미문이 2006.06.29 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