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춘문예 당선시 연도별 감상하기

2006.01.13 04:04

미문이 조회 수:1283 추천:115

신춘문예 당선 시 연도별 감상하기
- 1955년부터 2003년까지의 신춘문예 당선시 연도별로 분류 하였습니다.

신춘문예 당선 시 신문사별 감상하기
- 신문사별로 신춘문예 당선시를 분류 하였습니다.
- 메이저 신문사의 연도의 시가 없는 경우는 당해 연도 시 당선작이 없기 때문입니다.

신춘문예에 대하여

한국 문필육성에 큰 공헌을 한 신춘문예는 1925년《동아일보》에서 처음 시작하였으며, 제1회 시 입선 작품은 박승만의 <신(神)의 주(酒)>, 임병규의 <가을>, 소 공의 <누나>, 조창선의 <후회>등 4편의 시입니다.
이어 1928년 《조선일보》에서도 실시하였습니다.
그후 1940년대 일제 말기와 8 ·15광복과 6 ·25전쟁으로 몇해 동안 중단되었다가 1955년 다시 실시되었는데
이때 1954년에 창간된 《한국일보》에서도 신춘문예 제도를 창설하였고,
나중에 《경향신문》과 《중앙일보》에서도 실시하였습니다.
문단의 등용문으로 가장 권위가 있는 이 제도는 현재 여러 지방신문에서도 채택하는 곳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며. 소설 ·시 ·희곡 ·동화 등 각 분야에서 많은 문인이 이 신춘문예를 통해등단하여 활동하고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2017 문학축제 김종회 교수 강의 원고 미주문협 2017.08.24 256
공지 미주문학 USC 데어터베이스 자료입니다. 미주문협 2017.08.14 235
92 2019 문학캠프 & 문학여행 공지 [1] file 미주문협 2019.08.11 74
91 최정례시인 문학강좌 file 미주문협 2019.08.25 90
90 이전 문학서재 메뉴얼 압축파일(보관용)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1 253
89 술이 없다면 詩人도 없다? /경향신문 미문이 2005.03.03 270
88 『05년 조선일보 당선작』소백산엔 사과가 많다.. 김승해 미문이 2005.03.14 307
87 ‘가장 따뜻한 책’… “아무렴,사람보다 꽃이 아름다울까” / 국민일보 미문이 2005.03.03 330
86 김광수 / 시조의 존재 이유는 형식 미문이 2004.07.29 435
85 [2005년 전남일보 신춘문예] 당선시/심사평 미문이 2005.01.18 436
84 아버지와 딸 2대째 '이상문학상' / 경향신문 미문이 2005.01.18 496
83 신춘문예 詩 가작 시각장애인 손병걸 씨/부산일보 미문이 2005.01.18 501
82 정현종 시인의 육필 수제본 시선집 미문이 2005.01.22 514
81 위트와 유모어의 문학/수필 미문이 2005.01.14 785
80 민속문학작가회의 30주년 기념다큐 미문이 2006.06.29 828
79 2008년 벽두, 남북 문화예술교류에 관한 밝은 소식 미문이 2008.05.14 853
78 대선후보들은 어떤 책을 읽을까 미문이 2008.03.20 874
77 『05년 동아일보 당선작』단단한 뼈.. 이영옥 미문이 2005.03.14 894
76 현대시 100년/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이상화 미문이 2008.04.25 904
75 지식인의 말 미문이 2007.10.09 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