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춘문예 당선시 연도별 감상하기

2006.01.13 04:04

미문이 조회 수:1283 추천:115

신춘문예 당선 시 연도별 감상하기
- 1955년부터 2003년까지의 신춘문예 당선시 연도별로 분류 하였습니다.

신춘문예 당선 시 신문사별 감상하기
- 신문사별로 신춘문예 당선시를 분류 하였습니다.
- 메이저 신문사의 연도의 시가 없는 경우는 당해 연도 시 당선작이 없기 때문입니다.

신춘문예에 대하여

한국 문필육성에 큰 공헌을 한 신춘문예는 1925년《동아일보》에서 처음 시작하였으며, 제1회 시 입선 작품은 박승만의 <신(神)의 주(酒)>, 임병규의 <가을>, 소 공의 <누나>, 조창선의 <후회>등 4편의 시입니다.
이어 1928년 《조선일보》에서도 실시하였습니다.
그후 1940년대 일제 말기와 8 ·15광복과 6 ·25전쟁으로 몇해 동안 중단되었다가 1955년 다시 실시되었는데
이때 1954년에 창간된 《한국일보》에서도 신춘문예 제도를 창설하였고,
나중에 《경향신문》과 《중앙일보》에서도 실시하였습니다.
문단의 등용문으로 가장 권위가 있는 이 제도는 현재 여러 지방신문에서도 채택하는 곳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며. 소설 ·시 ·희곡 ·동화 등 각 분야에서 많은 문인이 이 신춘문예를 통해등단하여 활동하고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2017 문학축제 김종회 교수 강의 원고 미주문협 2017.08.24 256
공지 미주문학 USC 데어터베이스 자료입니다. 미주문협 2017.08.14 235
34 다시 2007년 기약한 고은 시인 "그래도 내 문학의 정진은 계속될 것" 미문이 2007.04.25 1009
33 이문열 씨! 멋진 보수주의자가 되세요 미문이 2007.04.25 1006
32 '시(詩)로 만든 잔치' 그 기발함이란! 미문이 2008.12.27 995
31 『05년 서울신문 당선작』흔한 풍경.. 김미령 미문이 2005.03.14 982
30 [동영상]윤이상 영상 다큐-용의 귀환 미문이 2006.07.19 976
29 시인 선서(1990년)/김종해 미문이 2007.08.13 975
28 YTN 방송국 '동포의'창 미문이 2006.12.02 956
27 두 편의 시가 주는 의미-성기조 미문이 2007.08.20 947
26 올해 문학계 ‘대표주자’ 누굴까 미문이 2007.07.03 939
25 시를 쓰려거든 여름 바다처럼 /이어령) 미문이 2007.05.16 939
24 시인육성 동영상/나태주편 미문이 2008.08.22 927
23 공지영 ((빗방울처럼 나는 혼자였다)) 中에서 미문이 2007.01.05 921
22 우리가 만나면 알아볼수 있을까요? 미문이 2006.12.05 918
21 ‘문학관광’ 시대 활짝 미문이 2007.09.08 908
20 지식인의 말 미문이 2007.10.09 906
19 현대시 100년/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이상화 미문이 2008.04.25 904
18 『05년 동아일보 당선작』단단한 뼈.. 이영옥 미문이 2005.03.14 894
17 대선후보들은 어떤 책을 읽을까 미문이 2008.03.20 874
16 2008년 벽두, 남북 문화예술교류에 관한 밝은 소식 미문이 2008.05.14 853
15 민속문학작가회의 30주년 기념다큐 미문이 2006.06.29 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