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진하//시인의 특강 중에서//박경리 토지문화관에서

2006.11.15 15:36

미문이 조회 수:1137 추천:20

그 시절 저는 하루 열 다섯 시간씩 시를 썼어요. 그래서 제 집사람이 어느 날 시커멓게 된 제 엉덩이를 보더니, 당신은 죽으면 엉덩이가 제일 빨리 썩을 거라고 그랬지요. 시 쓴답시고 오래도록 앉아 있으니까 시라는 게 몇 줄 되지도 않지만 한 문장 가지고 하룻밤을 꼬박 새우기도 하잖아요. 시라는 게 원고지가 팍팍 넘어가는 것도 아니면서 한 줄 두 줄 가지고서 밤을 새워야 할 때가 있다는 거죠. 제가 첫 시집에 썼던 <사마귀>같은 작품은 무려 아흐레 동안 계속 썼어요. 쪽수로는 겨우 두 쪽 분량의 시인데, 행으로 따지면 한 삼십 행쯤 되지요. 이 시를 아흐레 정도 썼다는 것이죠. 물론 계속 쓴 것은 아니고, 이틀 밤에 어느 정도 썼는데, 고치고 또 고치고 계속 들여다보며 수정을 한 것이지요. 아무튼 그렇게 열 몇 시간씩 앉아서 창작을 했는데, 그렇게 하다가 나가서 시인들 만나보니 나처럼 열심히 쓴는 사람이 손가락 꼽을 정도밖에 안 되더라고요. 그래서 아, 내가 열심히만 하면 길이 있겠구나! 생각을 하며 문학을 해 왔는데 여기까지 왔죠. (이하 생략)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2017 문학축제 김종회 교수 강의 원고 미주문협 2017.08.24 256
공지 미주문학 USC 데어터베이스 자료입니다. 미주문협 2017.08.14 235
74 ‘첫사랑’찾아 중국 다녀온 95세의 피천득시인 미문이 2005.06.05 1235
73 영시감상<누군가의 상처를 이해한다는건> 미문이 2005.06.05 1748
72 시,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장태숙 미문이 2005.07.04 1623
71 시인이 시인에게 물었네 ‘시시(詩詩)콜콜’ 미문이 2005.07.11 1364
70 시(詩)를 쓰려거든 여름바다처럼 / 이어령 미문이 2005.07.15 1247
69 吳圭原의 '새와 나무와 새똥… 돌멩이' 미문이 2005.09.09 1579
68 "아직도 빛나는 건 별과 시 뿐" 미문이 2005.09.10 1094
67 현대시 100년사 최고 시집은? 미문이 2005.10.03 1207
66 한국시인협회 독도지회 설립 미문이 2005.10.03 1317
65 우리는 왜 문학을 갈망하는가 미문이 2005.12.02 1415
64 2006 신춘문예 시 당선작 모음(24개 신문) 미문이 2006.01.13 2538
63 신춘문예 당선시 연도별 감상하기 미문이 2006.01.13 1283
62 2006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 모음 미문이 2006.01.20 1547
61 국내 시인들의 시창작법 소개 제1탄!!! - 詩的 동기는 어디서 오는가? / 박이도 시인 - 미문이 2006.02.28 1464
60 유치진의 토막 미문이 2006.02.28 8804
59 "내게 문학적 선배는 없다"… 문법 거부한 '사생아' 미문이 2006.03.16 1245
58 책도 이젠 맛보고 산다 미문이 2006.03.16 1806
57 남의 논문에 공동저자 무임승차 미문이 2006.03.16 1218
56 소월시문학상 대상에 문태준 시인 미문이 2006.04.15 1223
55 집보다 사랑받는 문인들의 쉼터 미문이 2006.04.22 1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