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가 나를 살린다/이대흠

2007.01.08 03:47

미문이 조회 수:1447 추천:24

-60년만에 한번 핀다는 대나무꽃. 상처가 나를 살린다 / 이대흠 모서리를 돌아서다가 튀어 나온 돌멩이를 보지 못하고 무릎이 찍혔다 아직 손등의 상처가 다 아물지 않았는데 몇 방울 피 맺힌 것을 보고 아내는 칠칠맞다고 했다 나는 몸에 큰 흉터 있으면 오래 살 거라던 점쟁이의 말을 들어 다 내가 살아 남으려고 액땜한 거라 말했다 기억의 아슴한 산모롱이를 돌아 나올 때부터 지금까지 몸의 어디건 상처 하나는 가지고 살아왔다. 뒤돌아보면 상처의 길이 아득하다 지나간 희망이나 사랑은 모두 내 몸에 붉은 금을 그었다 아프다 내 오랜 사랑인 그대를 생각하면 세상을 다시 살고 싶어 진다 아픈 것이 어디 내 몸뿐이랴 내 발에 채인 돌은 느닷없는 발길질에 얼마나 놀랐을까 나와 만나 깨어 지거나 버려진 자들은 얼마나 많았던가 나와 만나면 모든 것이 망가졌다 타버린 폐차된 자동차 망가진, 그대 으스러지거나 커다란 흉터가 남은 게 아닌데 작은 상처에 아파했던 것은 죄스러운 일이다 혼자인 밤이면 상처 입은 짐승들이 주위를 가득 채운다 따듯하다 이대흠 - 1968년 전남 장흥 만손리 출생. 서울예전 문예 창작과 졸업. 1994년 「창작과 비평」 봄호에 「제암산을 본다」 등을 발표하면서 등단함. '시힘'동인. 시집'눈물 속에 고래가 산다', '상처가 나를 살린다'등. 이대흠의 시는 현실과 꿈, 집단과 개인, 좌와 우 사이의 터질 듯한 긴장 한가운데 있다. 그의 시만큼 언어의 뼈대와 살점이 고루 균형을 이루고 있는 시를 나는 근래에 만나보지 못하였다. 그의 시가 휘발유 같은 상상력을 드러낼 때 우리의 가슴은 뜨거워지고, 노련한 장인적 세공 기술을 보일 때 우리의 정신은 서늘해진다. 뭔가 큰일을 저지를 것 같은 시인 한 사람이 출현했다. ―안도현 시인 이대흠 시인은 객체인 대상들을 통해 주체인 나의 허구성을 밝혀 내려 한다. 그는 소외된 채 소멸해가는모든 사물들, 사람들, 시대의 고독과 상처를 냉철하게 읽어내고 거기에 자신의 의식을 투영시켜 뒤섞고는 살짝 비틀어놓는다. 이러한 시작 과정을 통해 그는 탄생과 죽음의 과정을 거쳐가는 세상 모든 것들의 존재가치와 비극성을 동시에 파헤치려 한다. ―함기석 시인 (Summer Time 연주곡-이생강,임동창) 째즈와 국악의만남! 피아노와 대금의 격렬한 사랑이야기...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2017 문학축제 김종회 교수 강의 원고 미주문협 2017.08.24 256
공지 미주문학 USC 데어터베이스 자료입니다. 미주문협 2017.08.14 235
34 국내 시인들의 시창작법 소개 제1탄!!! - 詩的 동기는 어디서 오는가? / 박이도 시인 - 미문이 2006.02.28 1464
33 2006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 모음 미문이 2006.01.20 1547
32 신춘문예 당선시 연도별 감상하기 미문이 2006.01.13 1283
31 2006 신춘문예 시 당선작 모음(24개 신문) 미문이 2006.01.13 2538
30 우리는 왜 문학을 갈망하는가 미문이 2005.12.02 1415
29 한국시인협회 독도지회 설립 미문이 2005.10.03 1317
28 현대시 100년사 최고 시집은? 미문이 2005.10.03 1207
27 "아직도 빛나는 건 별과 시 뿐" 미문이 2005.09.10 1094
26 吳圭原의 '새와 나무와 새똥… 돌멩이' 미문이 2005.09.09 1579
25 시(詩)를 쓰려거든 여름바다처럼 / 이어령 미문이 2005.07.15 1247
24 시인이 시인에게 물었네 ‘시시(詩詩)콜콜’ 미문이 2005.07.11 1364
23 시,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장태숙 미문이 2005.07.04 1623
22 영시감상<누군가의 상처를 이해한다는건> 미문이 2005.06.05 1748
21 ‘첫사랑’찾아 중국 다녀온 95세의 피천득시인 미문이 2005.06.05 1235
20 詩的 세계관이란 무엇인가 미문이 2005.05.04 1426
19 처음 시를 배울 때 고쳐야 할 표현들 / 도종환 미문이 2005.05.04 1502
18 문인이 뽑은 가장 좋은시! 가재미/문태준 미문이 2005.05.04 1357
17 페미니즘(feminism)문학이란 무엇인가?/이승하 미문이 2005.04.05 1355
16 <font color=blue>좋은시의 조건 </font> 미문이 2005.04.05 1046
15 <font color=red>삼월, 그대에게</font> 미문이 2005.03.18 1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