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마광수

2007.02.12 03:57

미문이 조회 수:1077 추천:14

[손민호기자의문학터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마광수 마광수(사진)에 열광하던 시절이 있었다. "나는 야한 여자가 좋다"고 떠들고 다녀서, 장미여관으로 가자고 뭇 여성을 선동해서 마광수를 찾아 읽은 건 아니었다. 마광수는 게릴라였다. 고지식하고 점잖은(혹은 그러한 척만 하는) 사회와 혼자만의 방식으로 싸움을 벌인 문화 게릴라였다. "그럼 당신은 야한 여자가 싫으냐"고 되묻는 그의 뻔뻔한 질문엔, 온갖 종류의 허위의식을 비웃는 삐딱한 시선과 사회 금기와 한판 붙겠다는 다부진 결의가 담겨있었다. 그는 전사였다. 문화 민주주의를 쟁취하기 위해 떨쳐 일어선 민주화 투사였다. 민주화 열기가 문화 영역으로 번지던 1990년대 들머리, 마광수는 시대의 아이콘이었다. # 영웅, 겁먹다 2000년 늦가을 어느 허름한 술집. 그는 불안해 보였다. 심하게 손을 떨었고 눈동자는 자주 흔들렸다. 마광수를 응원하는 몇몇이 어렵사리 만든 자리였지만 그는 끝내 웃음을 보여주지 않았다. 연방 담배만 꺼내 물었다. 그가 구속된 건 92년 10월 29일이었다. 91년 발표한 장편 '즐거운 사라'가 음란물 판정을 받으면서 두 달간 옥살이를 했다. 93년 2월엔 연세대 국문과 교수에서도 해직됐다. 그러나 98년 3월 사면.복권됐고, 같은 해 5월 대학에 복직했다. 한국에서 판매금지됐던 '즐거운 사라'는 일본에서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하여 어느 정도 상처가 여문 줄 알았다. 그의 아픔을 모르는 바 아니었지만, 툴툴 털고 일어섰으리라 믿었던 것이다. 그러나 그는, 여전히 우울증과 대인기피증을 앓고 있다고, 자신을 기억하는 몇몇 앞에서 겨우 말했다. 겁먹은 영웅의 얼굴은 초라했다. # 야함과 음란함 2005년 5월 장편 '광마잡담'이 출간됐다. '마광수가 '즐거운 사라' 이후 13년 만에 내놓은 야한 소설'이라는 광고 문구에도, 소설은 하나도 야하지 않았다. 표현의 수위나 상상력의 문제가 아니었다. 마광수에 따르면, 일탈과 모반의 기운을 동반해야 비로소 야해질 수 있었다. 하나 소설은 그렇지 못했다. 다만 음란할 뿐이었다. 최근에 발표한 장편 '유혹'도 야하지 않았다. 섹스클리닉이란 선정적인 소재도 소설을 야하게 만들지는 못했다. 표지 상단 '19세 미만 구독불가'란 문구가 되레 낯설었다. 소설은 밋밋했고, 지루했다. 그렇다고 마광수가 변절한 건 아니었다. 10년 전과 똑같은 얘기를 되풀이하는 게 문제였다. 반짝이는 여성의 긴 손톱에서 성적 상징을 읽어냈던 90년대, 마광수는 변태란 소릴 들었다. 그러나 지금은 아니다. 네일아트는 이 시대 젊은이들의 지배적인 문화코드 중 하나다. 아무도 섹스를 말하지 않던(또는 못하던) 시절이었기에 마광수는 야했던 것이다. #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제 아무리 낯 뜨겁고 망측한 얘기를 쏟아내도 마광수는 지저분해 보이지 않았다. 돈 욕심도 없었고, 돈을 많이 벌지도 못했다. 그에겐 소년 같은 구석이 있었다. 밤하늘 별을 세는 윤동주의 여린 마음 같은 게 있었다. 마광수는 윤동주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더 이상 야하지 않다고 마광수를 비난할 수는 없다. 변한 건 그가 아니라 세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젠 모든 게 달라졌다. 제자들의 시를 거의 그대로 자신의 시집 '야하디 얄라숑'에 실은 그의 모습에서 실망을 넘어 분노를 느낀다. "내가 미쳤나 보다"며 변명을 늘어놓을 땐 차라리 슬펐다. 한 시대가 저물었다. 손민호 기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2017 문학축제 김종회 교수 강의 원고 미주문협 2017.08.24 257
공지 미주문학 USC 데어터베이스 자료입니다. 미주문협 2017.08.14 236
92 2019 문학캠프 & 문학여행 공지 [1] file 미주문협 2019.08.11 74
91 최정례시인 문학강좌 file 미주문협 2019.08.25 90
90 이전 문학서재 메뉴얼 압축파일(보관용)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1 254
89 술이 없다면 詩人도 없다? /경향신문 미문이 2005.03.03 270
88 『05년 조선일보 당선작』소백산엔 사과가 많다.. 김승해 미문이 2005.03.14 307
87 ‘가장 따뜻한 책’… “아무렴,사람보다 꽃이 아름다울까” / 국민일보 미문이 2005.03.03 330
86 김광수 / 시조의 존재 이유는 형식 미문이 2004.07.29 435
85 [2005년 전남일보 신춘문예] 당선시/심사평 미문이 2005.01.18 436
84 아버지와 딸 2대째 '이상문학상' / 경향신문 미문이 2005.01.18 496
83 신춘문예 詩 가작 시각장애인 손병걸 씨/부산일보 미문이 2005.01.18 501
82 정현종 시인의 육필 수제본 시선집 미문이 2005.01.22 514
81 위트와 유모어의 문학/수필 미문이 2005.01.14 785
80 민속문학작가회의 30주년 기념다큐 미문이 2006.06.29 828
79 2008년 벽두, 남북 문화예술교류에 관한 밝은 소식 미문이 2008.05.14 853
78 대선후보들은 어떤 책을 읽을까 미문이 2008.03.20 875
77 『05년 동아일보 당선작』단단한 뼈.. 이영옥 미문이 2005.03.14 894
76 현대시 100년/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이상화 미문이 2008.04.25 904
75 지식인의 말 미문이 2007.10.09 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