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차별 기형도 따라하기/김진학
2007.03.07 09:52
지난 이야기 지만
난 문학을 전공하기 않았기에 늦은 나이에 시평론, 시창작 과정을 대학에서
다시 공부하였다. 지금도 그렇지만 그 때도 학부의 학생들이 하나같이 들고 다니는
시집 ‘잎 속의 검은 잎’은
요절시인 기형도가 죽은 뒤에 나온 그의 시집이다.
아마 지금까지 이 시집만큼 꾸준히 팔리는 시집도 없을 것이다.
서점에 가면 언제나 신간코너의 구석에 얌전히 쌓여 있으니까...
기형도.... 그의 형상언어는 한국시단의 역사를 바꿀 만큼 대단한 인기를 누렸고
아직도 많은 문학도들이 그를 추종한다.
그 전의 신춘문예는 말할 것 도 없고, 2007년 신춘문예 당선시 중에서 문화일보의 <구름에 대한 몇 가지 오해 / 김 륭>이 그 좋은 예이다.
위에 소개한 시를 작가의 이름을 떼고 기형도의 미 발표작이라고 한다면
사람들의 반응은 어떨까? 아마 열의 아홉은 고개를 끄덕일 것이다.
형상언어의 사용방식과 시의 전개방식, 발상 등이 기형도의 시와 매우 닮았다고 본다.
그렇다면 왜 이런 시가 신춘문예에 당선 됐을까?
창원대 민병기 교수는 <신춘문예는 개선되어야 한다>에서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매년 당선되는 작품들이 독자들에게 끼치는 영향도 연구 대상이다. 시의 경우, 당선작 대부분이 독자들에게 외면 당하고 있다. 많은 역대 당선작 중에 독자들에게 애송되는 시가 없다. 이 사실은 신춘문예 제도가 독자 반응이 좋지 않은 작품과 작가를 양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춘문예 당선은 문학적 사건은 될 수 있어도, 문학성 그 자체일 수는 없다. 그것이 동일시된다면, 문학성은 무의미해지고, 문학성에 대한 독자들의 공신력은 사라질 것이며, 결국 문학은 생명을 잃게 된다. 이는 신춘 제도가 문학의 생명력을 높이기 보다 오히려 그 반대로 작용했다는 것을 시사한다.>
결국 심사위원들의 자질이 떨어진다는 이야기다.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필자 역시 그렇게 생각한다, 실력 있는 문인이 아니라 유명문인이 최종심사를 보는 신춘문예....
유명문인이라고 다 실력이 있는 시인인가? 좀 깊은 생각을 해 봐야 겠다.
그런 신춘문예라면 차라리 없는 것이 낫다는 극단적인 생각도 해 본다,.
무차별 기형도 따라하기..... 웃기는 말이다.
어느 날 나는 모 대학 문창과 졸업반 학생에게 '잎 속의 검은 잎'이 좋은 시냐고 물었다.
입에 침이 마르도록 좋은 시라고 찬양하였다.
그 시를 외울 수 있냐고 물었다. 당연한 것 아니냐고 말했다,
그러면 그 시의 깊은 뜻을 내게 설명해 줄 수 있는냐?고 물었다.
그러자 학생은 모른다고 대답했다. 그건 작가만이 알 수 있는 영역이라며....
작가 혼자만 알 수 있는 시, 그런 시를 쓴 한 요절 시인이 이 나라 최고의 시인으로
문학지망생들에게 추앙 받고 있다.
이런 아이러니라니.... 무슨 뜻인지도 모를 시를 찬양하다니...
그리고 무차별 따라하기라니....
어느 해 모 신문사 신춘문예 심사위원을 하신 분을 우연한 기회에 저녁을 함께 하였다.
그 해의 그 신문사 신춘문예 당선시는 아무리 읽어도 도무지 무슨 말을 하는 건지
알 수 없을 정도로 난해하였다.
내가 물었다.
"선생님, 이번 xxx신문사에서 당선작으로 뽑으신 시가 도무지 무슨 뜻인지 알 수가 없던데
선생님은 아시니까 뽑으셨지요?"
"예심에서 걸려내고 수백 편이 제 손에 왔는데.... 저도 사실 좀 그렇습니다.”
"네???”
"요즈음 시의 흐름이 그래서....."
말문이 막혔다.
입에 침이 마르도록 심사평에서 극찬을 하여 놓고 심사위원이 모른다니.....
이렇게 말하면 어떤 시인들은 김춘수의 <무의미의 시>를 논하며
작가도 모르는 시를 독자가 마음대로 상상하게 만들라고 말한다.
무의미의 시, 정작 무의미의 시를 논한 김춘수 시인의 시 역시
무의미의 시보다는 의미 깊은 시가 더 많다.
무차별 형상언어를 난사하는 시인들만 실력 있고 좋은 시인이란 말인가?
기형도는 기형도의 색깔이 있고 나는 나의 색깔이 있어야 한다.
어느 나라든 시가 어느 한 방향으로 흘러간다면 그 나라의 문학은
퇴보한다. 문학은 그 나라의 국민들의 정서이기 때문이다.
형상언어도 있어야 한다. 그렇다고 그런 형상언어의 시만
제일이어서도 안 된다.
무차별 기형도 따라하기...
새해 벽두부터 왠지 찝찌름하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2017 문학축제 김종회 교수 강의 원고 | 미주문협 | 2017.08.24 | 311 |
공지 | 미주문학 USC 데어터베이스 자료입니다. | 미주문협 | 2017.08.14 | 287 |
74 | 지식인의 말 | 미문이 | 2007.10.09 | 927 |
73 | ‘문학관광’ 시대 활짝 | 미문이 | 2007.09.08 | 916 |
72 | 두 편의 시가 주는 의미-성기조 | 미문이 | 2007.08.20 | 959 |
71 | 시인 선서(1990년)/김종해 | 미문이 | 2007.08.13 | 999 |
70 | 시인과 사랑/정용진 | 미문이 | 2007.07.23 | 1129 |
69 | 올해 문학계 ‘대표주자’ 누굴까 | 미문이 | 2007.07.03 | 949 |
68 | 밀양 - 허영과 탐욕의 잘못된 만남이 빚어낸 비극 - | 미문이 | 2007.06.06 | 1197 |
67 | 정다혜 시집 '스피노자의 안경' | 미문이 | 2007.05.21 | 1555 |
66 | 시를 쓰려거든 여름 바다처럼 /이어령) | 미문이 | 2007.05.16 | 963 |
65 | 다시 2007년 기약한 고은 시인 "그래도 내 문학의 정진은 계속될 것" | 미문이 | 2007.04.25 | 1019 |
64 | 윤동주 3형제는 모두 시인이었다 | 미문이 | 2007.04.25 | 1423 |
63 | 문단 대가들 장편 들고 잇달아 귀환… 침체 문학계에 활력소 | 미문이 | 2007.04.25 | 1029 |
62 | 이문열 씨! 멋진 보수주의자가 되세요 | 미문이 | 2007.04.25 | 1015 |
61 | 2007년 국제신문 신춘문예 응모작 살펴보니… | 미문이 | 2007.04.25 | 1266 |
60 | 도대체 순수란 무엇인가? -한국 문학에서 순수의 의미 | 미문이 | 2007.03.21 | 1084 |
59 | 미당의 죽음을 통해서 본 '순수문학'의 허구성에 대한 단상(短想) | 미문이 | 2007.03.21 | 1194 |
58 | 순수문학과 대중 | 미문이 | 2007.03.21 | 1215 |
57 | ‘편지 쓰는 작가들의 모임’ 신선한 활동 | 미문이 | 2007.03.07 | 1140 |
» | 무차별 기형도 따라하기/김진학 | 미문이 | 2007.03.07 | 1120 |
55 |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마광수 | 미문이 | 2007.02.12 | 108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