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 에세이 - 잎새 위 빗방울

2020.03.03 09:01

서경 조회 수:23


 잎새 위의 빗방울.jpg



임교선 작가님이 잎새 위에 맺힌 빗방울 사진을 올렸다.
한 방울이 아니고 나란나란한 세 빗방울이다.
영롱한 빛을 담은 모습이 아름답다.
그러면서도, 곧 없어질 빗방울이기에 한편 슬프다.
가만히 들여다 보고 있자니, 이국땅에서 엄마 없이 살아가는 우리 세 자매를 연상케 한다.
또르르 구르면 없어질 한 방울의 빗방울.
남은 두 빗방울은 슬픔에 겨워 울겠지.
작은 빗방울의 동그란 세계에 무지개빛 우주가 담겨 있듯, 우리들 마음에도 얼마나 많은 이야기와 어린 날 추억이 담겨 있나.
어디 기쁘고 좋은 사연만 있을라구.
가깝기에, 남보다 더 상처 주고 상처 받은 일도 많았을 테지.
지나가면 다 후회할 일.  
그러면서 하루하루 아무 일 없다는 듯이 쓴뿌리를 안고 살아가는 게 우리네 삶이다.
어려서 한 이불 끌어 당기며 한 방에 뒹굴던 우리.
오두막 같은 집이지만, 우리 여섯 형제가 있고 엄마 아빠 할머니 삼촌까지 같이 살던 그 시절이 그립다.
잎새 위의 빗방울이 위태롭다.
한줄기 바람 훅 불고 가면 곧 떨어질 빗방울.
빗방울의 수명은 이슬 만큼이나 짧다.
우리네 수명도 그만큼 짧다.
남들은 백세 시대라 호언장담하지만, 한 치 앞날을 못 보는 게 우리네 삶이 아닌가.
언제나 ‘껄,껄’하며 사는 후회의 삶이라 한다.
‘이럴 걸, 저럴 걸...’
‘더 사랑해 줄 걸, 미워하지 말 걸...’
사랑은 언제나 후회와 미안함이 사리로 남는 묘한 일이다.
서로의 귀함을 알고 좀더 가까이 더 가까이 마음 주고 받으며 살고 싶다.
비가 오는 날은 혼자 떠돌던 구름도 외로워 다른 구름 불러와 끌어 안는다.
사랑을 주고 받으며 살아가야할 이가 어디 우리 세 자매 뿐이랴.
오늘 만나는 사람마다 한 사람 한 사람이 다 귀하다.
비록 레몬 향기는 지니지 못했어도 만나는 사람들에게 상큼한 미소를 날리고 싶다.
오늘을 그토록 갖고 싶었어도 갖지 못하고 어제 떠난 사람들.
그에 비하면, 우린 오늘 또 한 번 상같은 하루를 받았다.
오늘이 마지막인 듯이, 형용사가 아닌 힘찬 동사로 살아야 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08 수필 - 해묵은 편지 file 서경 2020.06.14 513
707 아버님께 지희선 2009.05.03 513
706 연시조 - 단풍잎 지희선 2007.12.23 513
705 두 종류의 선생과 어머니 지희선 2011.06.01 507
704 연시조 - 풍경소리 고* 지희선 2007.09.20 491
703 시조가 있는 수필 - 그대의 창 지희선 2007.09.05 487
702 지희선 수필선 연결 - 눈물은 성수입니다/새벽 전람회 지희선 2012.11.06 485
701 (포토 에세이) 오대산 겨울 풍경/사진;김동원 지희선 2012.10.01 485
700 합평에 대하여 - 소설가 '임영태' 지희선 2011.11.13 484
699 개구리 울음 같은 왁자한 박수를 보내며 (축사) 지희선 2008.11.25 482
698 시조 - 석류 지희선 2007.12.23 482
697 수필 - 미주문학 여름 캠프를 마치고 file 서경 2019.10.08 481
696 (포토 에세이) 외줄기 담쟁이 - 사진/김동원 글/지희선 지희선 2011.11.23 481
695 (포토 포엠) 계단을 오르는 은행 낙엽- 사진/김동원 지희선 2011.12.15 476
694 (포토 포엠) 성벽과 오솔길- 사진/김동원 지희선 2012.01.05 473
693 67.우리말 바로 쓰기 - ‘해야 겠다.’인가 ‘해야겠다.’인가. 지희선 2011.11.16 472
692 내 마음의 영적 지도자님께 지희선 2009.05.03 471
691 (명시 감상) 보오들레에르 - 유정 지희선 2011.12.25 466
690 포토 에세이 - 진달래 오솔길 file 서경 2022.04.04 463
689 <독자마당>과 <커뮤니티-갤러리>에 좋은글, 좋은 사진 함께 나눕시다. 지희선 2012.01.08 463

회원:
4
새 글:
0
등록일:
2015.06.19

오늘:
3
어제:
1
전체:
1,317,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