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의 시

2020.11.29 21:12

정국희 조회 수:46

매운 계절의 채찍에 갈겨 / 마침내 북방으로 휩쓸려 오다.

하늘도 그만 지쳐 끝난 고원 / 서릿발 칼날진 그 위에 서다.

어디다 무릎을 꿇어야 하나 / 한 발 재겨 디딜 곳조차 없다.

이러매 눈 감아 생각해 볼밖에 /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이육사의 <절정(絶頂)>


 

         1940문장에 발표된 <절정(絶頂)>은 일제 강점기하에서 고통받는 민족수난을 주

제로 한 시 가운데 가장 뛰어난 시라고 평가받고 있다. 다시 말하면, 조국 상실과 극한의 상

황에 처한 역사적 현실을 배경으로 괴로운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와 저항의식을 담은 시로

가혹한 위기상황을 처절하게 표현하고 있는 시라고 하겠다.

 

             이 시를 읽으면서 시는 앎이고 구원이며 힘이고 포기이다라는 말이 떠올랐다.

타비오 파스가 쓴 시론 <활과 리라> 첫 장 첫 줄에 나와 있는 이 문구는 이육사의 <절정>

너무나 정확하게 들어맞는다. , 이 시 전체가 바로 앎이고 구원이며 힘이고 포기이기 때문

이다. 색깔도 소리도 없이 파고드는 시의 몸짓이 마치 내가 겪고 있는 것처럼 생생하게 몸속

으로 파고 들어온 까닭은 바로 한 핏줄을 나눈 동족이기 때문이다. 비록 내가 겪어보지 못한

저 먼 시대, 분노와 통곡이 만무하던 그 시대는 내 어머니가, 내 동포가 겪었던 참혹한 현실

이었기에 같은 감정으로 스며든 것일 게다.

    

                    어찌 시뿐이겠는가. 올해는 3.1 운동 및 상하이 임시정부 100주년이 되는 해로 한국

과 외국의 여러 곳에서 민족 시인과 열사들을 기렸다. 1919411일에 임시정부가 수립되

27년간 항의투쟁으로 고난의 여정을 겪은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일이다. 86년 전 오늘 4

 29일은 윤봉길 의사가 대한 독립을 위해 생때같은 자신의 몸을 던진 날이다. 윤봉길 의사는

 일본 천왕의 생일 연과 상하이 점령 기념식에서 일본 국가가 막 울려 퍼지는 순간 단상에

 폭탄을 투척하고 헌병에게 피투성이가 되어 끌려간 날이다.


      장부출가생불환(丈夫出家生不還)사내대장부는 집을 나서면 뜻을 이루기 전에는

살아 돌아오지 않는다는 뜻으로 <매헌 윤봉길> 의사가 집을 떠나면서 남긴 글이다. 김구

 선생은 백범일지에 최후의 식탁을 같이 했다. 일터에 나가려고 밥을 먹는 모양과 같았다’.

고 윤봉길의사와의 마지막 식사 장면을 썼다. 시인이기도 했던 윤봉길 의사는 거사하러 떠나

기 전 자기의 새 시계를 김구 선생에게 드리고 김구선생의 헌 시계를 바꿔서 차고 나갔다고

한다. 살아서 돌아오지 못할 것을 미리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처럼 25세의 나이로 조국

을 위해 몸을 바친 윤봉길 의사나, 저항의식을 글로 승화시킨 민족 시인들의 곧은 정신은 길

이길이 우리 민족의 자산으로 영원히 남을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 모녀 정국희 2008.08.29 626
22 미역 정국희 2008.08.28 657
21 요지경 세상 정국희 2008.08.21 623
20 정국희 2008.08.21 565
19 질투 정국희 2008.08.21 628
18 위층 남자 정국희 2008.03.27 644
17 한국에서3 정국희 2008.03.27 576
16 Office 에서 정국희 2008.03.20 573
15 동병상련 정국희 2008.03.13 580
14 정국희 2008.03.12 567
13 소포 정국희 2008.03.05 590
12 소리3 정국희 2008.02.28 517
11 소리2 정국희 2008.02.28 491
10 소리 정국희 2008.02.23 602
9 맥시코 국경에서 정국희 2008.02.23 558
8 아버님 전상서 정국희 2008.02.17 591
7 세상에서 가장 짧은 길 정국희 2008.02.15 610
6 중딸기 정국희 2008.02.15 587
5 아무도 기다리지 않는데 정국희 2008.02.12 567
4 신호등 정국희 2008.02.12 558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5
어제:
7
전체:
88,486